천안 대학 대다수 신입생 정원 미달

  • 전국
  • 천안시

천안 대학 대다수 신입생 정원 미달

  • 승인 2021-03-03 11:20
  • 수정 2021-05-03 13:37
  • 박지현 기자박지현 기자
천안지역 대학들이 2021학년도 대입 추가 모집을 실시한 결과 대다수 대학이 '경쟁률 미달'로 고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지난달 22~27일 1~5차례에 걸쳐 정시 추가 모집한 결과 신입생 미달 규모가 127명으로 집계됐다.



지역 대학 6곳 중 한국기술교육대학교(코리아텍)를 제외한 5곳이 신입생을 100% 충원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코리아텍은 지난달 22~24일 일반전형 4명을 추가 모집한 결과 143명이 지원하며 35.7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기계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컴퓨터공학부, 산업경영학부에서 각 1명, 총 4명을 모집한 결과 최소 31대 1에서 최대 43대 1까지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지역에 본 캠퍼스를 둔 A 대학은 22~25일 1차례에 걸쳐 6명을 추가 모집한 결과 235명이 지원하며 39.17대 1의 경쟁률을 보였지만, 1명이 미달 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지역에 본 캠퍼스를 둔 B 대학은 22~23일 추가 모집을 추진한 결과 51명 모집에 1237명이 지원, 24.2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6명이 등록하지 않았다.

C·D 대학은 4차례에 걸친 추가 모집을 실시한 결과 각각 25명, 58명이 미달 되며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E 대학도 5차례에 걸쳐 신입생 추가 모집을 실시했지만, 37명이 미달했다.

대학 관계자는 "지난해 천안지역 대다수 대학이 100%의 신입생 충원율을 보였지만 올해는 이들 대학이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했다"며 "내년엔 올해보다 상황이 더 안 좋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했다.

이어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쏠림 현상 등으로 앞으로 지방사립대는 더욱더 어려운 상황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며 "학과 구조개편, 학과 경쟁력 높이는 방안 등의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천안권 4년제 대학의 2020학년도 평균 신입생 충원율은 99.7%다.
천안=박지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