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대학 '예비 살생부' 발표…공포 커지는 지방대

  • 사회/교육
  • 교육/시험

4월 대학 '예비 살생부' 발표…공포 커지는 지방대

올해 지역대 미살사태 발표 암담할듯
재정지원제한 대학 낙인 우려
신입생 충원 더 어려워질 것

  • 승인 2021-03-07 15:41
  • 수정 2021-04-30 10:56
  • 신문게재 2021-03-08 5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2019032001001896500082631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신입생 미충원으로 지역대학들이 휘청이고 있는 가운데 올해 이뤄진 3주기 평가 결과 발표를 앞두고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른바 '예비 살생부'로 불리는 재정지원제한 대학이 오는 4월 발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대학구조개혁평가, 이른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는 2015년부터 3년 단위로 시행되는데, 일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대학은 교육부의 재정 지원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사실상 '대학 구조조정의 척도'라는 평가를 받는다.



대학들은 평가에서 신입생·재학생충원율, 교육비 환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등 지표에서 일정 기준을 넘겨야 한다.

교육부가 제시한 최저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하위 10%' 대학은 재정지원제한 대학 명단에 포함된다.

문제는 올해 3주기 평가는 2주기 때보다 지역대들이 훨씬 더 불리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평가 지표에서 점수가 가장 큰 것이 학생충원율(20점)이다. 신입생 충원율이 12점이며, 재학생 충원율은 8점이다.

이런 가운데 학령인구 급감 여파로 정원보다 한참 못 미치는 수준으로 신입생을 충원한 상황에서 평가에서 '학생 충원율' 배점이 지난 평가보다 배나 높아져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실제로 대전권 일부 대학들은 수백 명대의 미달 사태가 빚어졌고, 사정이 심각한 대학들은 언론에 신입생 충원 자료를 제공하는 것조차 꺼렸다. 이처럼 어떤 유인책을 써도 신입생 미충원 인원이 대거 나올 수밖에 없었던 만큼 진단평가 발표 이후 지역 대학가의 분위기는 더 암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역 사립대 한 입학처장은 "진단평가에서 '재정지원제한 대학' 명단에 오른 대학들은 각종 불이익을 받는다"며 "올해 학생충원율 배점을 높인 것은 사실상 지역대학을 퇴출시키려는 전략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지역대학의 입학 자원 등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수도권대학과 정량적인 수치로 비교하는 평가 방식은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지역 대학 마다 자구책을 마련할 수 있는 여지를 줘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재정지원제한 대학이라는 낙인이 찍히면 앞으로 신입생 충원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줄세우기식 단순 지표를 가지고 모든 재정지원을 끊기 보다는 대학 자체적으로 자구책을 마련하고 대학의 질서 있는 퇴출을 위한 '출구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