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찜했슈-태안] 제삿상에서 유래된 우럭젓국, 담백한 맛이 일품

  • 전국
  • 태안군

[여기 찜했슈-태안] 제삿상에서 유래된 우럭젓국, 담백한 맛이 일품

  • 승인 2021-07-28 11:52
  • 수정 2021-08-18 23:18
  • 신문게재 2021-07-29 15면
  • 김준환 기자김준환 기자
컷-찜했슈






해안가 주민들의 '쏘울 푸드'
제사음식서 유래, 간단히 조리가능 구수한 맛 일품



태안반도의 맛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우럭젓국이 있다. 각 지역의 음식에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 생활습관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산이 많은 지역에는 산에서 채취하는 각종 나물과 버섯 등 임산물이 음식에 사용되고, 물산이 풍부한 드넓은 평원지역에는 쌀과 각종 채소 등을 활용한 음식이, 해안가에는 갖은 생선을 이용해 만든 음식이 전해져 내려온다. 태안에서 잘 잡히는 생선은 우럭(학명 조피볼락)으로 맛은 물론 식감도 좋고 먹는 방법도 다양해 회로 먹어도 좋고 굽거나 탕과 찜으로 먹는다.

우럭젓국 (5)
우럭젓국1
우럭젓국 (4)
우럭젓국
생선 기름이 동동 뜨고 뽀얗게 우러난 우럭 맑은탕을 두고 “보리누름에 우럭국을 먹지 못하면 삼복(三伏)을 나지 못한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온다. 하지만 우럭이 태안을 대표하는 전통음식으로 거듭나게 된 것은 우럭젓국이다. 우럭젓국은 젓갈 넣어 끓인 탕이나 국으로 생각하겠지만 우럭을 잘 손질해 갯바람에 말린 우럭 포에 간단한 양념을 해서 끓여 만든다. 태안반도를 비롯한 인근 서산지역 등 서해안 지역에서는 제사상에 우럭 포가 반드시 올라간다. 그래서 우럭 포를 올리지 않은 제사는 반(半)만 지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요한 제사음식이다.



우럭포 말리는 현장
우럭포 말리는 모습.
우럭젓국의 유래는 제사음식에서 비롯됐다는 게 정설이다. 조상에 대한 제사를 모시고 난 뒤 음복술을 나누면서 안주로 제사상에 올린 우럭 포의 살점을 발라 먹었다. 밤늦도록 돌아가신 조상과 자손들 삶의 이야기를 나누면서 살점을 대충 발라먹은 우럭 포의 머리와 뼈는 다음날 우럭젓국으로 변신해 밥상 위에 놓였다.

우럭젓국을 만드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살점을 발라 먹고 남은 우럭 포의 머리와 뼈만 남은 몸통 등과 제사상에 올렸던 두부, 전 종류를 넣고 쌀뜨물에 끓이는데 양념은 마늘과 파를 곁들이고 간은 소금이나 새우젓을 조금 넣는다. 우럭젓국은 비린내가 없고 담백하며 구수한 맛을 낸다. 조상을 모시는 제사상에서 유래된 우럭젓국을 태안 사람들은 자주 끓여 먹었다.

우럭포
우럭포
먹거리가 넉넉하지 못했던 시절, 친척이나 외지에 나가 사는 자식들이 집에 오면 광이나 헛간에서 우럭포를 꺼내 뚝딱 만들어 내놓던 음식이 우럭젓국이다. 요리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맛도 좋아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 고향의 맛을 대표하는 음식이 된 것이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2.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3.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4.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1.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2.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배움과 나눔이 어우러진 '평생학습주간 행사' 성료
  3. 대전학원연합회 '제1회 진로체험 한마당' 성황…직업현장 생생한 경험
  4. "한국문화 체험하며 한국을 더 사랑하게 됐어요"
  5. 아산시, 베트남 닌빈성과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MOU' 체결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