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찜했슈-태안] 제삿상에서 유래된 우럭젓국, 담백한 맛이 일품

  • 전국
  • 태안군

[여기 찜했슈-태안] 제삿상에서 유래된 우럭젓국, 담백한 맛이 일품

  • 승인 2021-07-28 11:52
  • 수정 2021-08-18 23:18
  • 신문게재 2021-07-29 15면
  • 김준환 기자김준환 기자
컷-찜했슈






해안가 주민들의 '쏘울 푸드'
제사음식서 유래, 간단히 조리가능 구수한 맛 일품





태안반도의 맛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우럭젓국이 있다. 각 지역의 음식에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 생활습관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산이 많은 지역에는 산에서 채취하는 각종 나물과 버섯 등 임산물이 음식에 사용되고, 물산이 풍부한 드넓은 평원지역에는 쌀과 각종 채소 등을 활용한 음식이, 해안가에는 갖은 생선을 이용해 만든 음식이 전해져 내려온다. 태안에서 잘 잡히는 생선은 우럭(학명 조피볼락)으로 맛은 물론 식감도 좋고 먹는 방법도 다양해 회로 먹어도 좋고 굽거나 탕과 찜으로 먹는다.

우럭젓국 (5)
우럭젓국1
우럭젓국 (4)
우럭젓국
생선 기름이 동동 뜨고 뽀얗게 우러난 우럭 맑은탕을 두고 “보리누름에 우럭국을 먹지 못하면 삼복(三伏)을 나지 못한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온다. 하지만 우럭이 태안을 대표하는 전통음식으로 거듭나게 된 것은 우럭젓국이다. 우럭젓국은 젓갈 넣어 끓인 탕이나 국으로 생각하겠지만 우럭을 잘 손질해 갯바람에 말린 우럭 포에 간단한 양념을 해서 끓여 만든다. 태안반도를 비롯한 인근 서산지역 등 서해안 지역에서는 제사상에 우럭 포가 반드시 올라간다. 그래서 우럭 포를 올리지 않은 제사는 반(半)만 지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요한 제사음식이다.



우럭포 말리는 현장
우럭포 말리는 모습.
우럭젓국의 유래는 제사음식에서 비롯됐다는 게 정설이다. 조상에 대한 제사를 모시고 난 뒤 음복술을 나누면서 안주로 제사상에 올린 우럭 포의 살점을 발라 먹었다. 밤늦도록 돌아가신 조상과 자손들 삶의 이야기를 나누면서 살점을 대충 발라먹은 우럭 포의 머리와 뼈는 다음날 우럭젓국으로 변신해 밥상 위에 놓였다.

우럭젓국을 만드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살점을 발라 먹고 남은 우럭 포의 머리와 뼈만 남은 몸통 등과 제사상에 올렸던 두부, 전 종류를 넣고 쌀뜨물에 끓이는데 양념은 마늘과 파를 곁들이고 간은 소금이나 새우젓을 조금 넣는다. 우럭젓국은 비린내가 없고 담백하며 구수한 맛을 낸다. 조상을 모시는 제사상에서 유래된 우럭젓국을 태안 사람들은 자주 끓여 먹었다.

우럭포
우럭포
먹거리가 넉넉하지 못했던 시절, 친척이나 외지에 나가 사는 자식들이 집에 오면 광이나 헛간에서 우럭포를 꺼내 뚝딱 만들어 내놓던 음식이 우럭젓국이다. 요리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맛도 좋아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 고향의 맛을 대표하는 음식이 된 것이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