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산업계 10곳 중 8곳 추석 연휴 생산라인 중단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지역 산업계 10곳 중 8곳 추석 연휴 생산라인 중단

평균 5일 휴무... 일부 기업은 공장 특성상 정상근무 돌입

  • 승인 2021-09-14 16:49
  • 수정 2022-04-29 09:44
  • 신문게재 2021-09-15 6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2020020401000353600014421
[사진=연합뉴스 제공]
코로나19 사태에도 쉼 없이 달려온 대전지역 산업계가 민족 대명절인 한가위를 맞아 생산 설비를 잠시 멈춘다.

대다수 제조업체는 연초 사업계획에 따라 직원에게 휴무를 제공해 가족과 함께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생산 시설 특성상 가동이 불가피한 일부 근로자들은 연휴도 반납한 채 밤낮으로 제품 생산을 위해 현장을 지킨다.

14일 대전·대덕산업단지 내 입주기업과 지역 제조업계 등에 따르면 18일부터 22일까지 추석 황금연휴가 시작되는 가운데 대부분 기업이 공장가동을 중단하고 5일간 휴무에 들어간다.



먼저 대전산단 내 입주기업 82.7%는 5일 이상 쉬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리공단은 최근 311개사 중 표본기업 135개 사를 대상으로 추석 휴무를 조사한 결과 이 중 110개 사가 5일 이상 휴무에 들어간다고 응답했다. 3일 이하는 7개사(5.3%), 4일 8개사(6.0%), 5일 100개사(75.2%), 6일 이상 10개사(7.5%) 등으로 조사됐다.

추석 연휴에도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업체는 15개사로, 이들 기업은 설비 특성상 가동이 불가피한 이유 때문으로 파악됐다. 이 중 9개 사는 부분 가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솔제지는 사무실 근무자를 제외하고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평상시와 다름없이 공장을 가동한다.

대전산업단지 내 입주 기업들도 짧게는 3일 길게는 5~6일간 휴무에 돌입한다.

정비사업소와 택배 회사 등은 업무 특성상 정상가동 된다.

대전산단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명절까지 쉬지 않고 공장을 정상가동하는 업체는 많지 않다"며 "입주 업체 대부분이 명절 기간 셧다운 한다"고 말했다.

대전과 금산에 공장을 둔 한국타이어는 20~22일까지 3일간 생산시설 가동을 중단한다.

사업계획에 휴무를 반영함에 따라 이 기간 공장문을 닫는다.

대전에 본사를 둔 KT&G는 최장 9일간 공장 가동을 멈추고 연휴에 들어간다.

3교대로 돌아가는 생산시설은 명절 연휴 전인 18일 오전 7시부터 문을 닫아 27일 재가동한다.

이와 달리 생산설비를 멈출 수 없는 공장들은 명절 연휴에도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린다.

대덕산단 내 입주한 한솔제지는 이 기간 4조 3교대로 시설을 정상적으로 돌린다.

한솔제지 관계자는 "연휴 기간 시설을 멈췄다 재가동하기가 공장 특성상 어려운 부분이 있어 휴일 없이 24시간 정상 가동한다"며 "이들 근로자는 명절을 전후해 고향에 다녀오고, 평상시처럼 근무한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3.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4.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5.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1.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2.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3.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4.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헤드라인 뉴스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시도별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달 총전입 1만 9473명, 총전출 1만 8429명으로 순유입 1044명을 기록했다. 순이동률 0.9%인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국에서 대전이..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