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인구, 1년 반만에 처음으로 전월대비 증가

  • 정치/행정
  • 대전

대전 인구, 1년 반만에 처음으로 전월대비 증가

대학생 등 동구, 유성구 전출입 인구 증가해 8월대비 379명 인구 증가
세대도 5개 자치구 전부 늘어 총 1970세대 증가
세종, 충남으로의 지속적인 순유출 추세는 여전히 해결과제

  • 승인 2021-10-06 16:01
  • 수정 2021-10-06 16:49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2021-10-06 14;31;32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의 인구가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 대비 증가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어왔다.

다만, 9월 대학 개강시즌에 맞춰 학생들 전입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우세하다.



또 세종, 충남으로의 인구 유출은 올해도 어김없이 이어진다는 점은 여전히 해결 과제라 할 수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의 인구는 출생 588명, 사망 643명, 전·출입 434명 등 총 145만 5058명으로 8월 대비 379명의 인구가 증가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서구(47만4444명), 중구(23만2077명), 대덕구(17만4791명)에서 각각 60명, 232명, 60명 감소했지만 동구(22만3409명)와 유성구(35만337명)에서 각기 203명, 528명 등으로 크게 늘었다. 세대 수도 유성구 816세대, 서구 513세대를 포함해 5개 구 전부 증가하면서 총 1970세대가 늘었다.

세대별 구분으로는 총 66만 1948세대로 나타났다. 1인 세대가 27만 738세대로 전 세대 중 40.9% 비율을 차지해 가장 많았고, 2인 세대가 15만3943세대로 23.2%, 3인 세대는 11만1219세대(16.8%)로 뒤를 이었다.

동구와 유성구에서 증가한 요인은 대학생 개강으로 기숙사와 인근 원룸 전입 등으로 보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소재 대학 기숙사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전에 주소 이전을 하도록 대학과 협업하며 '대학생 인구 늘리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을 제외한 특·광역시 인구변동 현황 조사에서는 서울의 경우 8월 대비 7971명이 빠져나가 955만명 대를 유지했고, 부산(335만9527명)과 대구(2393626명)도 각각 764명, 839명씩 감소했다. 인천(293만8429명)과 광주(144만1970명)는 각각 3366명, 857명 증가해 대전과 같이 전월대비 인구가 늘어난 광역시로 묶였다.

반면 9월까지 기준으로 올해도 세종과 충남으로의 인구 유출은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에서 세종으로의 인구 유출은 2012년 7월부터 지속돼 올해도 벌써 4551명의 인구가 유출됐고, 현재까지 총 11만 909명의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의 경우에도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충남으로부터의 순유입이 많았지만, 올해는 빠져나가는 인구가 더 늘어나 지역 인구 유출이 이어졌다.

임재진 대전시 자치분권국장은 "일시적인 인구증가 현상일 수 있어 좀 더 세부 분석이 필요하지만, 장기간 계속되던 인구감소에 변화가 있는 만큼, 10월 인구 변동 추세를 면밀히 살펴 다양한 인구 정책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와 협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4월, 2021년 대전형 인구정책으로 4대 분야 17개 과제 100개 사업을 마련해 약 10년 동안 줄고 있는 대전의 인구를 늘리기 위해 대응하고 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2.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3.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4.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5.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1.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2. 세종충남대병원, '당뇨병 예방과 공연' 이벤트..건강한 삶 이끈다
  3. 세종도시교통공사, 저출산·지방소멸 해결 위한 시민 소통 강화
  4. 세종테크노파크, 네트워킹데이 개최...입주기업 성장 돕는다
  5.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