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리포트 충청지대] 역대 대전시장 최연소 출마자와 사전투표율은?

[2022 리포트 충청지대] 역대 대전시장 최연소 출마자와 사전투표율은?

사전투표 2014년 시행… 제7회 선거에선 20% 육박
인구 제6회 지선까지 증가… 유권자는 2018년까지 늘어나
내년 6·1지선 대전시장 후보 40대부터 60대까지 나올까?

  • 승인 2021-12-15 13:41
  • 수정 2021-12-15 14:34
  • 신문게재 2021-12-16 10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clip20211215100129
민선 1기 1995년 이후 역대 대전시장. 대전시 홈페이지
2022년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열린다. 역대 대전시장 선거에서 달라진 인구수, 사전투표율, 나이별 후보 등에 대한 통계를 살펴본다.

2014년부터 시행한 사전투표율이 내년 지방선거에선 어느 정도 비율까지 높아질지, 그리고 인구수 변화에 따른 유권자 수 변화는 어떻게 달라져 영향을 미칠지 등이 관심사다. 또 역대 대전시장에 출마한 후보들의 나이로 최연소 출마자와 그 결과를 통해 다음 6·1 지방선거에 출마할 대전시장 후보들의 결과까지 예측해본다. <편집자주>

clip20211215101258
2018년 제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 대전시장 선거 사전투표율표. 자료=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계속 높아지는 사전투표율 유불리는?

사전투표는 2014년 제6회 전국동시 지방선거부터 시행한 제도다. 선거 당일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없는 유권자를 위해 마련됐으며, 이전엔 공직선거법에 따라 사전 서면으로 부재자 신고를 한 뒤 부재자 투표를 해야 하는 절차가 있기도 했다.



대전의 경우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선 사전투표 비율이 첫째 날 4.51%, 둘째 날 6.69%로 평균 5.6%를 보였으며, 2018년 제7회 선거에선 첫째 날 8.26%, 둘째 날 11.4%, 평균 9.83%로 크게 늘었다.

처음 시행한 2014년 지선에서 첫째 날엔 4.51%에 그쳤는데, 자치구별로는 동구 4.45%, 중구 4.64%, 서구 4.56%, 유성구 4.6%, 대덕구 4.15%를 보였다. 둘째 날엔 이보다 소폭 늘어 전체 6.69%로 동구 6.2%, 중구 6.61%, 서구 6.55%, 유성구 7.88%, 대덕구 5.58%를 기록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선 첫날 사전투표율이 이전 제6회 지선 둘째 날보다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전 전체 8.26%로 동구 8.51%, 중구 7.89%, 서구 8.2%, 유성구 8.27%, 대덕구 8.54%였다. 2018년 지선 사전투표 둘째 날엔 제도 시행 후 처음으로 10% 이상 투표율을 기록했다. 대전 전체 11.4%, 동구 10.58%, 중구 10.33%, 서구 11.25%, 유성구 13.4%, 대덕구 10.7%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 사전투표 양일간 투표율이 대전 전체 19.66%에 달해 20%에 육박했으며, 동구 19.09%, 중구 18.22%, 서구 19.45%, 대덕구 19.24%였다. 유성구의 경우 2018년 지방선거 사전투표율은 21.67%로 대전 자치구 중에선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clip20211215100721
2020년 대전시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
▲인구 감소하는 대전, 제8대 지선 유불리는 어떻게 작용할까?

대전의 인구 수는 제6회 지방선거가 열린 2014년까지는 늘었고, 이후 일부 감소했지만 제7회 지방선거인 2018년까지 19세 이상 주민인 유권자 수는 늘기도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는 대전 인구수는 148만 5646명으로 투표권이 주어지는 19세 이상 주민은 112만 4919명이었다. 세대수로는 53만 9566세대로 예상 부재자 수는 3만 2000여 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대상자 통계에선 인구수 154만 427명이었으며, 19세 이상 주민 수는 120만 7006명이었다. 세대수는 58만 9560세대, 예상 거소 투표자는 3098명이다.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선 직전 선거 통계보다 인구수는 감소했지만, 유권자 수는 오히려 증가했다. 대전 전체 인구는 150만 3200명이며, 19세 이상 주민은 122만 348명이다. 세대수도 크게 늘었는데 61만 6108세대며, 예상 거소투표자 수도 3259명으로 늘었다.

clip20211215100941
 2020년 대전시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 자치구별
자치구별로는 2018년 제7회 지선에서 동구 23만 680명 중 19세 이상 주민은 19만 2634명, 중구 24만 9135명 중 19세 이상은 20만 7041명, 서구 48만 7698명 중 19세 이상은 39만 4162명, 유성구 34만 8664명 중 19세 이상 27만 1787명, 대덕구 18만 7023명 중 19세 이상은 15만 4734명이었다.

앞선 2014년 선거에선 대전 전체 154만 중 동구 25만 924명 전체 인구 중 19세 이상 투표권자는 20만 3211명, 중구 26만 5368명 중 21만 21957명, 서구 49만 9424명 중 38만 9292명, 유성구 32만 205명 중 24만 044명, 대덕구 20만 4506명 중 16만 1502명에 투표권이 주어졌다.

clip20211215101119
 사진 제공=대전시 홈페이지
▲역대 대전시장 선거 출마자, 최연소는 누구?

대전시장의 경우 2006년 처음 40대 후보가 출마했다. 제4회 대전시장 선거에서 박춘호 후보가 1962년 6월 15일생 당시 43세 나이로 출마했다. 다음 2010년엔 제5회 지방선거에서 진보신당 대전시장 후보로 김윤기 후보가 1974년생 당시 36세로 최연소로 대전시장 출마 기록을 가지고 있다.

40대 출마는 제6회 지선에서도 나왔는데, 정의당 한창민 후보가 1973년생으로 당시 만 40세로 출마했다. 다음 선거 제7회 지방선거에는 정의당 김윤기 후보가 다시 44세로 나이로 출마해 40대 출마 기록을 이어갔다.

최연장자 출마는 70대는 없었으며, 60대 출마자는 다수 나왔다. 민선시장의 시초인 제1회 지방선거에는 염홍철·홍선기 후보 등 모두 50대 출마자였으며, 2회 때는 홍선기 전 시장이 61세로 재선에 출마했고, 조명현 전 충남대 교수가 만 60세로 출마했다.

제3회 지선에선 홍선기 전 시장이 자민련으로 65세로 출마했으며, 제4회 지선에선 염홍철 전 시장이 61세 나이로 재선을 도전했고, 51세 나이로 출마한 박성효 전 시장이 당선됐다.

제5회에선 60대 출마자는 2명으로 자유선진당 염홍철 후보와 민주당 김원웅 후보가 나왔으며, 제6회 대전시장 선거는 1955년생 당시 58세 권선택 후보와 1955년 2월생 당시 59세 박성효 후보 대결로 50대 후보 사이 대결로 이어졌다.

가장 최근 지방선거인 2018년 제7회 지선에선 40대에서 60대까지 가장 다양한 연령대 후보가 나왔었는데, 먼저 최연소로는 김윤기 정의당 후보가 40대, 허태정 시장이 50대, 박성효, 남충희 후보가 60대 출마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2.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3.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4.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