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휘발유 가격 동일 현상...지역 화물·운송업계 부담 가중

  • 경제/과학
  • 지역경제

경유=휘발유 가격 동일 현상...지역 화물·운송업계 부담 가중

경유 재고 부족으로 국내 가격 급등탓
업계 "요소수 사태이어 경유값까지 큰 타격"

  • 승인 2022-05-09 16:17
  • 신문게재 2022-05-10 7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기름넣는사진
대전·세종·충남지역에서 판매하는 주유소 경유가격이 휘발유를 추월하거나 같아지면서 지역 화물·운송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라 경유 재고가 부족해 국제 경유 가격 급등이 국내 가격에 영향을 준 탓이다.

9일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8일 기준 지역의 평균 리터당 휘발유 가격과 경유 가격이 20원 안팎까지 좁혀졌다. 통상 200원가량 저렴하던 경유 가격이 휘발유와 같아진 건 이례적인 현상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전의 휘발유 가격은 8일 현재 리터당 평균 1924원으로, 경유 평균가격인 1920원과 4원 차이다. 세종은 1930원으로 경유(1915원)와 비교하면 15원, 충남은 휘발유 1945원, 경유 1931원으로 14원 각각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일각에선 조만간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엇박자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평균 휘발유 가격은 4월 8일 리터당 1979원에서 5월 8일 1924원으로 55원 내렸다. 세종도 1985원에서 1930원으로 65원, 충남도 1991원에서 1945원으로 46원 하락했다. 이 기간 경유는 대전의 경우 1899원에서 1920원으로 21원 인상됐다. 세종은 1912원에서 1915원으로 3원, 충남은 1910원에서 1931원으로 21원 각각 상승했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가 영향을 미쳤다. 유럽의 경유를 주로 수입하던 러시아의 공급이 줄면서 국제 시장 경유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또 5월부터 정부의 유류세 30% 인하 확대 조치에도 휘발유 대비 경유는 인하 폭이 적었다. 국내 유가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유가도 5월 첫 주, 전주보다 3.6달러 오른 배럴당 105.7달러로 집계됐다.

상황이 이렇자 화물·운송업계는 한숨을 내뱉고 있다. 연초랑 비교 시 경유 가격이 500원가량 급등했기 때문이다. 대전은 1월 1일 경유의 평균 리터당 가격은 1427원에서 현재까지 493원이나 올랐으며, 세종은 1440원에서 475원, 충남은 1445원에서 현재 486원 상승했다.

김정선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대전지역본부장은 "경유 가격이 올해초와 현재를 비교하면 500원가량 올랐고, 이에 따라 화물차의 수입도 월 150만원에서 많게는 200만원가량 감소한 상황"이라며 "경유차에 들어가는 요소수 사태에 이어 경유 가격까지 올라 많은 이들이 수입 감소로 고통을 받고 있어 가격하락이 이어지지 않으면 앞으로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정유업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라 가격 변동이 앞으로 더 일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거나 오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섣불리 예측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3.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4.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5.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1.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