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신문으로 본 설날 선물 변천사, 어떻게 변했나?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옛날 신문으로 본 설날 선물 변천사, 어떻게 변했나?

60년대 중반 설탕, 조미료 등 생필품 인기
80년대 유명 제과점 케이크 주문, 성심당 명절 선물세트 돋보여

  • 승인 2023-01-23 01:18
  • 수정 2023-01-23 11:04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67년 삼앙사
1967년 12월 27일 중도일보 1면에 게시된 설날 상품 광고.(중도일보DB)
"연말연시 연이은 즐거운 날이 옵니다. 다정한 벗에게 ○○설탕을 보냅시다."

1960년대 중반 설날을 맞아 신문광고에 실린 명절 선물용 신문광고 문구다.



신문 광고는 그 시대 경제와 생활상을 반영한다. 먹고 살기 힘들었던 시절이지만, 가족, 친지, 이웃과 선물을 주고받는 풍습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모든 것이 부족했던 당시에는 설탕, 조미료 같은 생필품이 가장 인기 좋은 명절 선물이었다. 1967년 12월 27일 중도일보 1면 하단에는 삼양사의 선물용 설탕 광고가 크게 자리하고 있다.



67년 조미료세트
1967년 12월 28일 중도일보 1면에 게시된 설날 상품 광고.(중도일보DB)
다음날 실린 신문에도 설날 선물 광고가 자리하고 있다. 당시 가장 인기 좋았던 미풍 조미료 선물세트로 설탕과 맛소금, 감미료 등이 담겨있다. 가격은 750원부터 1600원까지 다양하다. 1967년 1월 1000원의 가치는 현재의 3만5000원으로 환산할 수 있다. 광고 하단에는 상품을 판매하는 대전 시내 판매점 연락처가 적혀있다.

67년 12월29일
1967년 12월 28일 중도일보 1면에 게시된 설날 상품 광고.(중도일보DB)
당시 어린이들에게는 과자 선물세트가 가장 인기 상품이었다. ○○제과의 종합과자 선물세트는 커피 향 캐러멜, 쿠키, 후르츠 캔디, 종합캔디, 초콜릿, 비스킷 등 100여 가지의 과자가 상자에 담겨있다. 광고 문구에는 "○○과자를 하루도 빼놓지 않고 사주신 아빠의 정성을 잊을 수 없다"는 카피가 실려 있다.

71년 대영상가
1972년 12월 28일 중도일보 1면에 게시된 대전 대영상가와 백화점 행사 광고.(중도일보DB)
1972년 12월 26일자 신문 하단에는 당시 대전 시내 중심에 위치하고 있던 '대영백화점' 광고가 자리하고 있다. '연말연시 선물부 대특매'라는 문구가 돋보이고, '정찰제를 실시하여 믿고 쇼핑할 수 있습니다'라는 부연 설명이 있다. 지금은 대형마트에 흔하게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비중 있게 실은 부분이 인상적이다.

88년 삼원찹살 태극당
1988년 12월 28일자 게시된 대전 태극당의 설 맞이 케이크 주문 광고.(중도일보DB)
나라 살림이 다소 여유를 찾은 1980년대에는 유명 제과점의 주문용 케잌이 1면 광고를 장식하고 있다. 1988년 당시 성심당과 함께 지역 제빵업계를 주름잡았던 태극당이 행사용 케이크를 주문받는다는 광고를 1면 하단 광고에 실었다. 당시 태극당은 대전 최대의 번화가인 은행동과 중앙극장 골목에서 성업 중이었다.

대전의 대표 브랜드인 성심당은 1990년대 중반 '성심당 방앗간'을 연말 상품으로 내놓았다. 성심당 방앗간에는 떡국 떡과 한과세트, 민속 떡 세트가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고 상단에는 현금인출기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는 문구가 보인다. 카드보다 현금이 보편적으로 통용됐던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명절 선물용 광고가 눈에 띄게 줄어든 모습을 볼 수 있다. 1면 하단을 장식했던 명절 선물 광고 대신 백화점 세일 광고나 일반 상품 광고가 자리하고 있다. 홈쇼핑과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광고 시장도 신문이 아닌 다매체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3.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