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20년간 대전·충남 미술사 기록을 수집해 온 학예사

  • 문화
  • 공연/전시

[인터뷰] 20년간 대전·충남 미술사 기록을 수집해 온 학예사

대전시립미술관 지역미술관 중 가장 많은 미술사 자료 보유
송미경 학예사 2003년부터 20년간 직접 발로 뛰어 사료 수집
대전 아카이브 오픈 소스 플랫폼 부재, 보관 공간, 인력 부족

  • 승인 2023-06-06 09:03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전경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전시립미술관은 지역 미술관 중 가장 많은 미술사 자료를 수집한 기관이다. 미술관에는 194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대전·충남 미술사료 1만여 건 이상이 보관돼 있다. 대전이 이렇게 방대한 자료를 갖게 된 이유는 20년간 지역의 근·현대미술사 자료를 꾸준히 수집해온 한 학예사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전시립미술관에 26년간 근무해 온 송미경 학예사는 2003년 '이동훈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를 준비한 것을 계기로 지역 미술사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송 학예사는 "당시 50~60년대 자료가 필요해 지역신문사에 찾아가 전시 기사들을 찾아보고 유족들을 만나 자료를 얻으며, 전시를 준비하며, 대전 미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30606_085740487
보관된 미술자료 모습
KakaoTalk_20230606_085144703
이동훈 화백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인 카드
현재 미술관에는 대전·충남 근현대미술 일대기를 알 수 있는 연도별 전시 리플릿, 도록, 포스터, 신문기사와 더불어 서신, 수업 노트, 그림 판매 영수증 등 지역 거장 작가들의 개인사적인 자료까지 보관돼 있다. 지역 미술가들의 세밀한 기록까지 갖고 있는 이유는 송 학예사가 직접 발로 뛰어 수집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송 학예사는 "작고하신 분들의 유족들도 찾아간다"며 "생존작가분들이 전해주는 경우도 있고, 인터뷰도 해서 기록을 남기기도 한다. 자료 중에는 작가들의 초등학교 통지서나 미술 교사로서 수업법이 담긴 수업노트도 있는데, 이 분이 왜 미술을 하게 됐는지, 당시 이분의 수업 분위기는 어땠는지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술사료를 수집하며 알게 된 의미 있는 사실도 있었다. 송 학예사는 "1945년 대전으로 내려온 이동훈 화백의 제안으로1953년 충남미술협회가 결성된다. 이는 1962년도에 만들어진 한국미술협회보다 더 이른 움직임"이라며 "자료를 통해 충남미협결성을 기점으로 지역미술이 본격적으로 활발히 전개됐던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30606_083042351_06
1953년 결성된 충남미술협회 전시 리플릿
KakaoTalk_20230606_083042351_04
1982년 목원조각회전 포스터
아쉬운 점은 이 중요한 자료들이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송 학예사는 "미술사적 자료들을 시민들이나 미술학회 등에 공개하고 싶어도 예산 문제로 대전은 아카이브 오픈 소스 플랫폼 구축도 여의치 않다"며 " 그동안에는 오프라인 전시, 도록 제작 등으로만 자료들을 기록하고 공개해 왔었다"고 말했다.

자료실 한 켠에 작은 보관실을 만들어 자료를 보관하고 있었지만, 늘어나는 기증자료들을 보관하기에는 협소하다. 수장고가 아니다 보니 온·습도에 예민한 오래된 자료들은 중성지 박스에 보관하고 있으나, 손상 우려도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6000여 점의 기증자료가 정리돼야 하지만 현재 인력은 송 학예사와 기간제 근로자 둘 뿐이다.

송 학예사는 "아카이브 오픈소스 플랫폼을 구축은 오랜 희망 사항"이라며 "기록되지 않은 역사는 사라진다. 즉 이렇게 수집해서 기록해놓지 않으면 대전미술의 역사가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모아두면 누군가 연구를 하고 연구를 하다 보면 대전미술의 지평의 넓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4.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5.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1.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2.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3.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4.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5. 대전·세종·충청지방공인회계사회, ‘제8회 회계의 날’ 기념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