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지역과 공존하는 대학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지역과 공존하는 대학

  • 승인 2024-03-05 17:03
  • 신문게재 2024-03-06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KakaoTalk_20230905_091438420
정철호 목원대 산학협력단장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주민등록인구는 2601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0.7%를 차지했다. 대한민국 국토 11.8%에 해당하는 수도권에 인구 절반 이상이 집중해 있는 것이다. 어느 언론사에서는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절반 이상인 122개(53.3%)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고, 주의 단계까지 포함하면 213개(93.0%)에 달하는 등 기초지자체 10곳 중 9곳이 존립을 위협받고 있다는 발표를 하기도 했다. 사실 대한민국의 수도권 집중화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수도권은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점점 비대화하고 과밀화되는 반면 지방은 쇠퇴 속도에 가속도가 붙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우선 지방소멸의 근본적인 원인은 저출산에 있다. 감사원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율이 1이하로 떨어졌던 2018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 0.98명이 지속된다고 가정했을 때, 2047년엔 대한민국의 229개 시·군·구가 모두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2022년 기준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더욱 심각해진 상황이다. 이처럼 날로 심화하는 저출산과 수도권 집중화 문제는 지방소멸의 근본적인 원인이며, 어떻게든 이를 극복하지 않고는 대한민국의 미래는 물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조차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저출산으로 인구는 날이 갈수록 줄어드는데 설상가상으로 젊은이들은 수도권으로 몰려드니 지방은 그야말로 엎친데 덮친 격이다. 수도권은 점점 비대해져 가는 반면 지방은 고사 직전에 이르는 등 비상 상황에 직면했다. 이러한 문제는 비수도권 지역에 있는 대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령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지역의 대학은 매년 신입생 충원을 걱정해야 하고, 대학 등록금 동결이 십수년간 이어지면서 대학의 재정상황 또한 더욱 어려워졌다. 지역소멸 위기는 대학의 위기이며, 대학의 위기는 국가와 사회적 위기로 이어진다. 따라서 대학과 지역이 동반성장하고, 대학이 지역의 혁신을 선도해 나가는 상생협력 거버넌스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

이제는 비수도권 지역과 지역대학이 처한 현실과 위기 대응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고, 지역대학을 살리는 길이 곧 지역을 살리는 길이라는 인식 아래 핵심 주체인 대학과 지역의 각 주체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최근 대학을 둘러싼 정책 환경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글로컬대학30 사업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RISE) 체계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이 가진 인적·물적 인프라와 전문성을 토대로 지역이 가진 수요와 문제에 기반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지역과 대학이 상생하고,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은 물론 정주여건까지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가 소속한 대학 또한 '지역과 함께 하는 상생협력 체계 구축'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대학이 가진 우수한 자원과 전문성을 지역의 수요에 연계하고 맞춤화해 다양한 협력사업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대학생 미래동행 프로젝트, 우수한 청년창업자 발굴·육성을 위한 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 지역 기업과 산학공동 기술개발과제 수행 및 경영·기술 지도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기술 중심의 전통적인 산학협력을 넘어 공유·협업의 대상을 지역사회로 확장해 지역과 대학에 모두 이익이 될 수 있는 관계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것이다.

장기간 저출산 고령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지역과 대학은 모두 큰 위기 상황에 처해 있다. 이제 대학은 기초학문 교육과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상아탑 기능을 넘어 지역사회 혁신을 이끄는 구심체로서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대학은 지역의 혁신과 발전을 주도하는 핵심주체로서, 또한 지역은 대학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지원하는 든든한 후원자로 역할을 충실히 할 때 비로소 지역도 살고 대학도 살 수 있는 것이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지역과 대학의 공존 방안을 찾고 고민해야 할 때이다. /정철호 목원대 산학협력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2.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3. 대전유일 학교돌봄터 간식 부실 논란… "단가는 올랐지만 질은 떨어져"
  4. 대전 유성구서 자격증 빌려 장애인 활동지원사로 근무, 급여 부정수급 사례 발각
  5.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1.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2.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하세요’
  3. 지지부진한 서남부 특수학교 설립… 통폐합 부지 확보 대안될까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헤드라인 뉴스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원활한 학생 출결 관리를 위해 도입한 온라인 출결 시스템에 대한 현장의 반발이 거세다. 미흡한 체계 때문에 여전히 교원이 직접 서류를 처리하고 출결과 관련된 학부모 민원까지 받는 상황으로 제도 개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학생들의 출결 관련 업무처리는 나이스(NEIS) 온라인 출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교원들이 1차로 학생에게 결석 인정 사유서, 진단서 등 서류를 받고 2차로 나이스(NEIS)온라인 시스템에 교원들이 일일이 기록해야 하는 구조다. 교원들은 학생이 제출한 증빙 서류가 미비..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