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트럼프는 삼시세끼 뭘 먹을까?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트럼프는 삼시세끼 뭘 먹을까?

  • 승인 2024-09-11 09:58
  • 수정 2024-09-11 10:31
  • 신문게재 2024-09-12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b237aa67-a58f-4b14-b299-b245dc380ccd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 재직 당시 백악관에 아메리칸 풋볼 우승팀을 초청해 햄버거,감자튀김, 샌드위치를 주문해 대접했다. 연합뉴스 제공
친구의 언니 가족은 1980년대 중반 미국으로 이민 갔다. 친구의 형부는 한국에서 꽤 괜찮은 직장에 다녔으나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 땅을 밟았다. 한국 이민자 대부분이 그렇듯 친구 언니네도 세탁소부터 시작했다. 열심히 일한 덕분에 수영장이 딸린 집도 장만하고 큰 마트도 운영하는, 그야말로 성공한 이민자로 살게 됐다. 친구는 종종 두어 달 정도 미국을 다녀오곤 해 나의 부러움을 샀다. 오래 전, 한번은 친구에게 물었다. 언니네는 뭐 먹느냐고. "여기랑 똑같이 밥 먹어. 한인 마트에 된장, 고추장, 채소 같은 거 다 있어." 스테이크 먹는 거 아녔어?

미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아침에 가족이 식탁에 둘러앉아 계란 프라이에 베이컨 한 조각, 커피 한 잔, 구운 빵에 버터를 발라먹는다. 아이들은 기껏 우유에 시리얼을 말아 퍼먹는 모습. 채소는 눈 씻고 봐도 없다. 미국인은 기름에 튀기고 단짠단짠한, 몸에 안 좋은 음식을 먹는 사람들로 각인된다. 이번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는 햄버거 마니아로 유명하다. 대통령 재직 당시 백악관 요리보다 햄버거가 더 좋다고 말했을 정도다. 2016년 대선 유세전에서 "대통령이 되면 북한 김정은과 햄버거를 먹으며 협상하겠다"고 호언장담했다. 맥도날드 햄버거 TV 광고에도 출연해 '맥 성애자'란 닉네임도 붙었다. 먹었다 하면 4개를 먹어치우고 입가심으로 초콜릿 셰이크를 들이킨다고. 감자칩은 상비해 두고 먹고 다이어트 콜라를 하루에 12캔씩 마신다나. 아메리칸 풋볼 우승팀을 백악관에 초청했을 땐 햄버거, 감자튀김, 샌드위치를 산더미처럼 시켜놓고 "나와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 미국회사가 만든 위대한 음식"이라고 큰소리쳤다. 트럼프는 그 많은 음식을 순식간에 먹어치우는 선수들을 보며 "훌륭하고 먹성좋은 녀석들!"이라며 흐뭇해했다고.

햄버거와 코카콜라는 미국의 상징이자 문화다. 달콤한 자본주의의 맛. 미국은 간편식의 원조다. 현대자본주의의 욕망의 발현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대량생산 시스템이 시작되면서부터다. 이 구조는 2차 대전 후 미국이 가장 강력한 패권국가가 되면서 전 세계로 확대 재생산됐다. 맥도날드와 코카콜라는 미국식 표준화로 미국의 브랜드가 됐다. 이 시스템의 속내는 이윤의 극대화다. 설탕을 들이부은 콜라와 고칼로리에 나트륨 범벅인 햄버거가 '정크푸드'라는 오명을 얻은 이유다. 미국은 패스트푸드 산업이 발달하면서 비만율이 세계 최고다. 프라이드 치킨, 감자튀김, 냉동피자, 핫도그, 햄, 육즙이 줄줄 흐르는 선홍색의 다진 소고기를 둥근 빵 속에 넣은 햄버거는 한번 맛보면 잊을 수 없게 만든다.

영화 '미이라'의 브랜든 프레이저는 '더 웨일'에서 272kg의 초고도비만인으로 나온다. '웨일'은 고도비만을 뜻하는 비속어다. 뚱땡이. 턱과 목의 경계는 사라지고 살이 축축 늘어진 몸은 혼자서는 감당을 못한다. 매일 피자를 시켜먹는 그의 몸은 역겨움을 준다. 영상매체에서 길거리 음식을 주문하는 거대한 몸집의 미국인은 낯설지 않다. 어기적어기적 걷는 모습은 보는 것만으로도 숨이 찬다. 그런데 한국도 미국인의 체형을 따라가는 것 같다. 코로나 후 고도비만의 학생이나 청년들이 부쩍 늘었다. 집콕 하면서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로 끼니를 때우고 움직이지 않은 결과인 듯하다. 회사 근처에 햄버거 가게가 있는데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햄버거 먹는 모습도 자주 눈에 띈다. 햄버거의 위력을 보는 것 같다. '돈 사냥꾼' 워런 버핏도 "나는 6살 아이처럼 먹는다"고 고백했다. 콜라와 햄버거를 즐겨 먹고 후식으로 초콜릿이나 캔디를 먹을 때 행복하다고. 맛있고 좋은 음식의 명성은 요리의 질과 비례하진 않는다. 역시 초딩 입맛 트럼프는 일 년에 당근을 몇 개 먹을까?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이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저력 있게 변모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프라의 중심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비롯해 연구소, 대학, 병원, 기업이 유기적으로 얽히며 기술창출부터 창업, 임상, 제조까지 이어지는 국내 유일한 풀 밸류체인 바이오산업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30여 년 전 LG생명과학, KA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연구중심기관에서 박사출신 연구자들의 창업이 잇따랐던 대전은 현재 300여 개 이상의 딥테크 기반 바이오벤처가 집적돼 있고, 이 가운데 최근 상장기업 수가 60곳까지 확대됐으며 지역 시가총액에서도 두드러진 비중을..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