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회전 안돼요?" 운전자 혼란…유등교 임시교량 양방향 개통 첫날 가보니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좌회전 안돼요?" 운전자 혼란…유등교 임시교량 양방향 개통 첫날 가보니

유등교 구간 '좌회전 금지' 모르고 역주행
횡단보도 정식신호 아닌 점멸등으로 초조

  • 승인 2025-03-01 09:10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KakaoTalk_20250228_183611047
2025년 2월 28일 완전 개통된 유등교 임시교량 현장은 아직 어수선했다.  사진=이은지 기자
"여기는 좌회전 안돼요. 차 돌리세요."

2월 28일 유등교 임시교량의 양방향 개통 첫 날, 교통 정체는 풀려 한산한 모습과 대조적으로 교량 진출입로는 좌회전 혼선으로 교통사고 직전의 아찔한 모습이 관찰됐다. 지난해 여름 폭우 때 기울어진 유등교를 대신해 지난 1월 도마동 방면으로 임시교량이 개설됐고, 이번에 태평동 방면 편도 3차로마저 개통하면서 유등교는 임시교량을 이용해 양방향으로 완전 연결됐다.

태평동 방면 임시교량까지 양방향 완전 개통 첫날 오후에 찾은 현장은, 교량 진출입로에서 동·서부모범운전자회 소속 교통지도원 2명씩 총 4명이 보행자와 차량을 안내하고 있었다. 도마동 방향 교량 우선 개통으로 그간 허용됐던 유등천동로에서 버드내네거리 방향 좌회전이 이날부터 금지됐고, 유등로와 유등천동로를 이용해 유등교에서 좌회전해서 도마네거리 방향으로 진출하는 게 역시 금지됐다. 그러나 운전자들은 오랜 운전습관대로 금지된 구간에서 좌회전해서 역주행에 가깝게 움직이다가 교통지도원의 수신호를 보고서야 급하게 멈추곤 했다. 현장에 좌회전 금지 표지판이 설치돼 있지만, 운전자들이 이를 충분히 관찰하지 않는 것이다. 이곳에 보행자 횡단보도는 정신호가 아닌 적색 점멸 신호등이 설치돼 시장을 보고 돌아오거나 등하교 하는 학생들이 차량 소통을 관찰하며 눈치것 건너는 실정으로 적극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모습도 관찰됐다.

2
왼쪽부터 비좁은 보행자 횡단보도 대기공간과 한 시민이 바닥에 떨어진 교통사고 파편을 관찰하고 있다.  사진=이은지 기자




현장에서 교통지도 하는 오한규 서부모범운전자회 지도부장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차량 안내를 하고 있다"라며 "유등교 진입 전 좌회전 금지 안내판을 확인 못 한 운전자들이 여전히 이곳에서 금지된 좌회전을 많이 하고 있어 그때마다 운전자들에게 지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개통된 태평동 방향 교량 난간엔 초록색 안전그물이 설치돼 있었고, 진입로부터 교량이 끝나는 바닥 부분은 보행에 걸림돌이 되는 턱이 없어 휠체어나 자전거가 드나들기 수월해 보였다.

현장서 만난 이갑우 씨(72·중구 산성동)는 "오늘 임시다리 개통 소식을 듣고 반가운 마음에 나와봤다"며 "도마시장으로 장을 보러 가거나 산책도 많이 다녔지만 다리가 끊긴 이후엔 한참이나 돌아가야 해 불편했다. 유등천변 도로도 차량으로 꽉 막혀 답답했는데 개통되자마자 한산해져 한결 숨통이 트인다"고 미소를 띠었다.

난간
임시교량 난간에 설치된 녹색 안전그물 높이가 최근 개통한 태평동 방면(사진 왼쪽)과 도마동 방면(오른쪽) 사이에 차이가 있다. 도마동 방향 보행자 난간에 안전그물이 유독 낮게 설치되어 있다.  사진=이은지 기자
그러나 여전히 안전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여러 곳에서 발견됐다. 훗날 정식 교량을 놓을 자리를 비워놓고 임시교량을 세우다보니 일반적인 다리와 달리 유등교 임시교량은 도로 선형이 급하게 꺾인 형태로 자칫 차선 침범으로 충돌사고 가능성이 높다. 또 우선 개통된 도마동 방면 가설 난간 안전그물은 사람 키 높이에 미치지 못하게 낮게 설치돼 보행자 추락 위험이 도사렸다. 더불어 신호등 밑 보행자 대기공간도 좁아 3~4명만 대기해도 차선 밖으로 나갈 소지가 있어 보였다. 부서진 자동차 부품과 여러 파편들이 다리 위와 횡단보도 끝에 나뒹굴어 이미 여러 차례 교통사고가 있었음을 짐작케했다.

이와 관련해 이인규 대전서부경찰서 교통과장은 "출퇴근 시간엔 경찰이 현장에서 교통지도를 펼치고 있다"며 "보행자 안전을 위해 교량 위 환경을 정비하고, 도로 내 좌회전 금지 등 안내판을 대폭 보강해 운전자들의 혼선을 최소화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교원임용시험 합격 응원해요" 공주대 사범대 응원 간식 선물
  2. 우승 겨냥한 한화이글스 응원전 대전이 '들썩'…야구장에 7천명 운집
  3. [2025 국감] R&D 예산 삭감 여파·포스트 PBS 대응 등 과기계 현안 점검
  4. '아쉬운 첫 출발'…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1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5. [르포] 한남대 학생이 체험한 행복동행 힐링축제
  1. [대전시 국감]농수산물시장 도매법인과 하역노조 갈등 수면 위
  2. 대전 동구, '2025 대전 동구동락 축제'… 3년 연속 흥행
  3. [월요논단] 대전체육 역대 최고 성적, 최고 흥행
  4. [대입+] 의대 쏠림 꺾이고 이공계 부상하나… 과기원 수시 지원 5년 새 최고치
  5.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전국 최고 사회복지 서비스에 감사"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용이 여전히 고가에 머물고 있다. 김치찌개 백반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비싼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전국에서 높은 가격으로 순위권에 올라있다. 2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1만 2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김치찌개 백반은 점심시간 직장인 등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으로, 1만원 한 장으로 점심을 해결하기 어렵다. 대전 김치찌개 백반은 1년 전(9700원)과 비교하면 5.1% 오른 수준이다. 점심 단골 메뉴인 비빔밥 역시 1만..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