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길식]환경(環境)은 실천이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이길식]환경(環境)은 실천이다

[기고]이길식 대전 '찾아가는 기후학교' 환경강사

  • 승인 2012-01-15 13:40
  • 신문게재 2012-01-16 21면
  • 이길식 대전 찾아가는 기후학교 환경강사이길식 대전 찾아가는 기후학교 환경강사
▲ 이길식 대전 '찾아가는 기후학교' 환경강사
▲ 이길식 대전 '찾아가는 기후학교' 환경강사
21세기의 화두는 우리의 삶은 지속 가능한가를 논할 때 환경은 가장 중요한 화두 중 하나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이자 인류의 생존권과 직결되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은 눈앞에 현실로 나타나 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올바른 이해와 지혜가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 산업문명의 발달로 지구촌 곳곳에서 진행돼 온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은 물론, 자연생태계의 파괴, 에너지와 먹을거리의 위기, 이 모든 문제와 직간접으로 연결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는 실로 우리 삶의 근간이 되는 많은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는 멀리는 남미의 아마존 숲 파괴와 북극의 소멸위기부터 가까이는 우리 밥상에 오르는 먹을거리, 자동차 이용 등 일상의 문제에 이르기 까지 석유와 대량생산 및 소비를 바탕으로 구축된 현대산업 사회의 문명과 삶의 양식 전반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키워드이기도 하다.

석유자원의 고갈과 함께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지금, 기후변화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극복해야 할 주요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007년 미국 전 엘 고어 부통령이 '불편한 진실' 이라는 다큐멘터리로 화제를 모았던 일은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세계에 알림으로써 노벨평화상을 수상한바 있어 우리 인류에게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었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증가라는 원인에 의해 지구온난화 기후변화라는 문제를 상관관계 측면에서 명확하게 인식해야한다. 즉 우리인간이 원인자이자 피해자인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지구촌에서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그러나 현실은 많은 변화된 모습을 실감케 하고 있다. 여름은 103일에서 122일로 19일이 늘었고, 반면에 가을은 70일에서 68일로 2일이 줄었으며 겨울은 108일에서 91로 17일이 줄었다. 또한 봄 꽃의 개화시기가 빨라지고 단풍이 늦어짐을 비롯해 겨울철 난방수요는 감소한 반면 냉방수요는 증가했으며 여름철 강수일은 감소했으나 강수량은 증가했다. 그뿐만 아니라 아열대 나비가 설악산과 백령도에서 발견되었는가하면 해수면 온도가 10년에 최근 0.2 상승했고 각 농작물재배도 북상하고 있는 상태로 특히 사과재배의 경우 재배면적이 북쪽으로 올라가 사과 재배가 불가능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우리 고장 대전에서는 대설이 지났는데도 담 벽에 개나리가 피고 초복더위에도 코스모스가 만개해 오가는 시민의 눈을 사로잡는 진풍경도 연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자동차에서 내뿜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화석연료과다의 원인으로 지구를 온난화 하는 온실효과로 빚어지는 결과로 폭우와 홍수, 가뭄과 폭염 등 기상재해는 매년 갈수록 극심해지고 양극화 되면서 수많은 사상자를 초래하여 인류문명을 위협하고 있다. 결국 이를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선 환경은 곧 실천해야 한다. 훌륭한 정책과 좋은 시책을 펴도 이를 실천하는 시민이 없다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시민각자 실천 가능한 '작은 일을 나부터' 생활화되도록 노력과 슬기로운 지혜가 필요하다. 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선 화석연료인 에너지 절약부터 대중교통이용과 친환경제품 이용하기 등 녹색생활실천이 유일한 대안이다.

지구환경의 변화가 귀중한 인명과 재산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 지구온난화의 대처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시민의 선진화된 의식전환이 선행되어 인류의 생존권과 직결되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삶의 질을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해서는 임진년 새해를 맞아 우리 모두의 녹색생활실천'만이 유일한 대안이자 후손들을 위한 소중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음을 재삼 강조하며 이에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재선출'
  3.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4.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5. 천안교육지원청, 호우 특보 관련 비상대책회의 개최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3. 19일까지 충청권에 180㎜ 더 퍼붓는다…침수 피해 '주의'
  4. 새솔유치원, '북적북적 BOOK 페스티벌'로 독서 문화 선도
  5. [문예공론] 점심 사냥

헤드라인 뉴스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충남권 전 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중인 가운데, 밤사이 강수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우려했던 추가 침수 피해는 가까스로 피해갔다. 그러나 서해상에서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구름대가 점차 접근하는 중으로 오늘(18) 오후부터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예상돼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태다. 18일 대전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우려했던 강수는 밤사이 소강상태를 보이며 지역에 간헐적으로 비를 뿌렸다. 17일 오후 9시부터 18일 오전 8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서천 춘장대 30㎜, 연무 16㎜, 태안 14.5㎜, 부여 10.9㎜, 대전 정림 9..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