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원어민강사 400여명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전지역 원어민강사 400여명

초중고 국제교육원 통해·대학 자체 선발… 독일·프랑스 '소수'

  • 승인 2013-07-08 18:00
  • 신문게재 2013-07-09 6면
  • 배문숙 기자배문숙 기자
대전지역 초ㆍ중ㆍ고와 대학에 근무하는 원어민 강사(교원 포함)수가 400여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제2외국어 강사인 독일과 프랑스 출신 원어민 강사수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시 교육청에 따르면 지역 초ㆍ중ㆍ고에 근무하는 원어민 강사는 남자 122명과 여자 128명 등 모두 250여명.

시교육청은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인력풀을 통해 1~3등급단계로 영어권 7개국( 미국ㆍ캐나다ㆍ호주ㆍ 뉴질랜드ㆍ영국ㆍ아일랜드ㆍ남아프리카공화국)출신만 선발하고 있다. 등급은 3등급 학사학위 소지자, 2등급 학사후 교육 또는 영문학 전공자ㆍ공교육 1년 이상 경력자, 1등급 영어ㆍ교육전공자 또는 교사관련 자격증 소지자 및 공교육 2년 연속 경력자 등으로 분류되면 등급별로 190만원부터 240만원까지 보수가 책정된다.

대학들은 자체 공고를 통해 서류와 면접 등의 절차를 밟아 채용하고 있다. 각 대학 원어민 국적에서 중국과 일본은 영어권 다음으로 많지만 독일과 프랑스는 소수에 그치고 있다. 독어독문학과와 프랑스관련학과 학과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충남대는 미국인 12명, 영국 1명, 캐나다 1명 등 영어권 원어민 14명과 프랑스 1명, 러시아 1명, 인도네시아 1명 등 제2외국어 원어민 3명을 채용하고 있다. 충남대 언어교육원의 경우, 인도네시아 강의는 개설된 반면 독일어 강의는 열지 않고 있다.

한남대는 원어민 전임교원 31명, 강사 3명 등 모두 37명을 뽑은 상태이다. 이들 국적은 미국 21명, 캐나다 4명, 중국 3명, 일본ㆍ영국 각 2명씩 등 순으로 많았다. 독일과 프랑스 국적인 각각 1명에 불과하다.

한남대는 원어민 전임교원 채용 자격으로 해당전공분야의 석사학위 소지자에 한해 1년 이상의 대학 강의 경력이 있거나 박사과정 1년 이상 수료자의 경우, 학장의 제청과 교무연구처장의 승인을 받고 있다.

배재대는 캐나다 출신 13명을 비롯해 미국 9명, 중국, 8명, 일본 6명 등 모두 43명의 원어민 교원이 재직 중 이다. 프랑스와 독일 출신 교원은 각각 1명. 배재대는 석사 학위 소지자로 최소 2년 이상 교육 또는 연구 경력자에 한해 채용하고 있다.

목원대는 원어민 교원 22명 강사 8명 등 30명(미국 14명ㆍ캐나다 6명ㆍ중국 2명 등)을 자격심사와 면접심사(공개강의)를 거쳐 선발했다. 목원대도 중국와 프랑스 국적 원어민은 각각 1명에 불과하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태안 해루질 중 실종된 여성 숨진채 발견…천안 미용실서 화재
  4. 전 세계 셰프들이 선보인 '한식' 경연...최종 우승자는
  5. 대전교도소, 사회복지시설 방문해 사회온정 나눠
  1. 대전 대덕구서 면허 없이 훔친 오토바이 몰던 고등학생 3명 붙잡혀
  2. 문화유산회복재단, 교실에서 또는 환수박물관에서 '실감교육 확대'
  3. EU, 철강관세 50% 인상…韓, 철강 수출 위기감 고조
  4. [프리즘] 겉보기 사회, 배터리화재에, 속도 탄다
  5. '온세종학교' 디지털 시대 맞춤형 교육 혁신 선도

헤드라인 뉴스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방문객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그 흔한 집객 시설 자체조차 없는 세종시. '역외 소비와 공실률 최상위 도시', '자영업자의 무덤', '핵노잼 도시'란 수식어는 이제 등호(=)로 굳어지고 있다. 인구수는 4년째 39만 벽에 갇히고 있고, 2030년 '신도시 50만, 읍면 30만' 목표는 10년 이상 뒤로 미뤄진 지 오래다. 대전과 청주, 공주 등의 주요 도시들과 같은 인프라를 단시일 내 구축하기란 불가능한 현실이자 희망고문에 가깝다. 단적인 예로 2021년 대전 신세계 백화점, 2024년 청주 커넥트 더 현대 오픈으로 세종시의 첫 백..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