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금톡] 1인1닭 무서워서 못 먹겠다… 치킨값 어디까지 오를거니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뜬금톡] 1인1닭 무서워서 못 먹겠다… 치킨값 어디까지 오를거니

  • 승인 2016-04-25 16:44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치킨을 시켜먹으며 주말 예능을 보는 것이 삶의 낙이었던 A씨. 카드값을 보다 새삼 놀랐다. 치킨 값이 올랐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렇게 비쌌던가. 주말마다 치킨 값으로 빠져가나는 돈이 꽤 출혈이 컸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치킨 금식'을 선언했다.

치킨값이 오르다, 오르다 드디어 2만원을 넘어섰다. 기존 후라이드와 양념은 16,000원 선이었고 그 외에 치즈를 넣었다거나 파를 넣은 특색 있는 치킨은 대략 19,000원 선에서 판매됐다. 이제 2만원 마의 벽이 뚫리면서 치킨값 인상은 불 보듯 뻔한 일이 됐다.

치킨 한 마리에 2만원, 소비자들은 당황하는 입장이다. 1인1닭, 치느님이라 부르며 닥찬(닥치고 찬양)하던 마니아들도 이건 아니다 싶다는 반응이다. 치킨은 워낙 인기있는 베스트셀러 푸드지만, 최근 몇 년간 한국인의 치킨사랑은 다소 유별났다. 닭 소비량이 2014년 기준 1인당 15.4kg이었다. 일본과 중국을 앞서는 것은 물론 세계 평균인 13.2kg보다도 높았다.

치킨값은 해마다 상승하고 이와 달리 산지에서 판매되는 닭 가격은 현재 1300원대로 계속 하락중이다. 아이러니하다. 치킨 한 마리는 똑같은데 튀김옷을 입고 양념옷을 입었다는 이유로 130% 폭등했다니. 물론 치킨을 만드는 부가재료비, 인건비, 홍보비 등을 포함 한다는 면에서는 이해가 되지만, 여기서 문제는 치킨값이 프랜차이즈 업체로 대다수 쏠리게 된다는 점이다.

양계장은 수천마리의 닭을 키워 팔아도 죽을맛, 프랜차이즈 업체는 아이돌이나 인기 있는 연예인을 모델로 사용하며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닭으로 이어진 두 업체의 희비가 너무나 뚜렷하다.

치킨값이 2만원까지 오르자, 소비자들은 대형 프랜차이즈보다는 저렴한 업체로 입맛을 돌리고 있다. 2만원이나 내면서 비싼 닭을 먹어야 하는 이유가 딱히 없다는 여론이다.

국민음식 치킨의 높은 몸값에 서민들이 떨고 있다. 치킨이 아니라 서민들이 변심할 태세다. 요즘 물가에 2만원이 비싼 것이냐 묻는다면, 비싸다 말하고 싶다. 양계장 농가는 갈수록 빈곤해지는데, 프랜차이즈만 배불리는 행태, 소비자만이 바로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이해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대전영시축제 개막식 인사말 하는 이장우 대전시장
  2. 아산배방도서관, 온라인 필사프로그램, 나날이 필독' 운영
  3. 한국서부발전(주), 아산 수해복구지원 5천만원 성금
  4. 아산시,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2년간 지적측량 수수료 감면
  5. ‘여름 휴가는 대전 0시 축제로’
  1. 이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최대한 빠른 속도로 직접 보고” 지시
  2. 관세리스크 벗어나나 했더니 이젠 ‘노동입법 리스크’
  3. 장대B구역 사업시행인가 고시 11개월만에 관리처분인가 득
  4. 폭염에 폭우까지... 수박··대파 등 농산물 가격 상승 꺾이지 않네
  5. [문예공론] 저출산 시대에 손자 지호의 첫 돌을 축하하며

헤드라인 뉴스


[르포] 더욱 풍성해진 볼거리, 그칠 줄 모르는 열기… 0시 축제 인산인해

[르포] 더욱 풍성해진 볼거리, 그칠 줄 모르는 열기… 0시 축제 인산인해

"뜨거운 여름을 더욱 뜨겁게 즐기는 방법…대전 0시 축제에 있습니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은 대전 0시 축제가 화려한 시작을 알리면서 중앙로 일대는 거대한 축제의 용광로로 탈바꿈 했다. 8일 개막 첫날부터 주말 내내 축제를 즐기기 위해 찾은 관람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고, 퍼레이드부터 과학 수도 명성에 걸맞은 AI 체험까지 현장을 찾은 이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 블랙이글스의 에어쇼로 축제의 서막을 알리면서부터 시민들의 뜨거운 호응이 쏟아졌다. 시작부터 축제를 즐기는 시민들로 발 디딜 틈 없이 북적였다. 올해 0시 축제는 '잠들지..

기후에너지환경부 유력… 脫세종 논란 종지부 찍나
기후에너지환경부 유력… 脫세종 논란 종지부 찍나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공약한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기존부처로 관련 업무를 통합하는 방안으로 최근 급선회, 부처 위치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신설 부처를 호남에 유치하자는 주장이 제기됐었지만, 국정기획위원회 논의과정에서 기존 환경부를 확대 개편하는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세종시에 있는 환경부가 그대로 존치될 가능성이 커진 것인데 충청권 여당 의원들도 이런 기류에 힘을 싣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광복절에 앞서 정부 조직 개편 방향을 포함한 일부 국정 과제에 관한 논의를..

더불어민주당 "0시 축제 3無" vs 국민의힘 "무지성 발목잡기"
더불어민주당 "0시 축제 3無" vs 국민의힘 "무지성 발목잡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대전시당이 16일까지 원도심 일원에서 열리는 대전 0시 축제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콘텐츠, 정체성, 시민이 없는 '3무(無) 축제'라고 혹평한 반면 국민의힘은 "무지성 발목잡기를 하고 있다"며 비판을 가했다. 국민의힘 이장우 시장의 민선 8기 대전시정이 들어선 이후 0시 축제는 매년 양당의 충돌 지점이었다. 올해도 민주당 대전시당은 논평을 내 "시민의 일상을 파괴하고, 희생을 강요하는 예산 낭비의 전형인 0시 축제가 또 다시 시작됐다"며 "시민이 즐거워야 마땅하지만, 현실은 그와는 정반대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여름 휴가는 대전 0시 축제로’ ‘여름 휴가는 대전 0시 축제로’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