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다모, 우리나라 여자 경찰의 효시

  • 문화
  • 송교수의 우리말 이야기

[우리말]다모, 우리나라 여자 경찰의 효시

송교수의 재미있는 우리말 이야기-52. 다모 茶母

  • 승인 2016-05-27 09:18
  • 송백헌 충남대 국문학과 명예교수송백헌 충남대 국문학과 명예교수
‘그때 그 코너’를 기억하십니까? ‘송교수의 재미있는 우리말 이야기’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본보의 홈페이지를 통해 네티즌 독자들을 위해 서비스됐었습니다. 무심코 사용하는 우리말 속에 담긴 유래와 의미를 송백헌 충남대 국문학과 명예교수가 출간한 ‘송교수의 재미있는 우리말 이야기’ 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게재됐었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으로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추억의 코너를 되살려보기 위해 ‘송교수의 재미있는 우리말 이야기’ 시즌 2를 시작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편집자 주>

▲ MBC 드라마 '다모' 자료사진.
▲ MBC 드라마 '다모' 자료사진.


조선조의 여자 경찰관을 다모茶母라고 불렀다. 이 다모는 한국 역사상 최초의 여자 경찰관인 셈이다. 그런데 우리가 다모라 하면 언뜻 다방의 마담쯤으로, 아니면 포청에서 차를 심부름하는 사환이나 여자 심부름꾼으로 생각하기 쉽다. 조선조에서 다모의 직책이 본래 관청의 식모 노릇을 하는 천비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결코 무리는 아니다.

조선조에는 포교나 포졸들이 여인들이 범죄를 수사하는 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남의 집 내정에는 함부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다모로 위장시킨 여자 경찰관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다모로 위장한 비밀 여자 형사인 셈이었다. 이렇게 위장 수단으로 쓰였던 다모가 차츰 여자 경찰관이라는 명칭으로 굳어졌던 것이다.

다모의 자격 기준은 키가 5척이 되어야 하고 막걸리 3사발을 단번에 마셔야 하며, 쌀 5말을 번쩍 들어야 했다. 또한 시아버지나 남편의 이름을 서슴없이 불러야 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아마 기운이 세고, 남성적이며, 괄괄한 성격의 소유자를 선발했던 것 같다.

이 다모는 포청 외에 형조, 의금부에도 있었는데 다모의 주된 임무 중의 하나는 가택수색이었다. 예전에는 남의 집 내정은 남자들이 못 들어가는 법이지만, 다모는 여자라 아무 집이나 들어갈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집의 종이나 식모 등을 자유롭게 유인하여 정탐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모는 대개 역적 모의를 하는 집에 많이 갔다. 그들은 치마 속에 60cm 정도 되는 쇠도리깨와 죄인을 묶을 때 사용하는 오라를 숨겨 차고 다녔다. 그러다 그들은 죄가 분명한 사람의 집이라 확증이 되면 도리깨로 들창을 부수고 들어가 죄인을 묶어서 올 수 있었다.

다모는 신분증이 비슷한 통부를 꼭 가지고 다녀야 했다. 이 통부는 길이가 2치쯤 되고 두께가 1푼쯤 되는 단단한 나무 조각의 중간에다 포장의 수결 즉 현재의 사인을 새기고, 그 수결이 있는 곳을 양쪽으로 쪼개어서 한 쪽은 다모가 가지고 다니었으며, 다른 한 쪽은 포장이 가지고 있었다. 다모가 죄인을 잡을 때나 꼭 신분을 밝힐 필요가 있을 때는 이것을 보여 신분을 확인시켰으니, 오늘날 신분증과 같은 것이었다.

이 통부는 주로 평민층을 잡을 때에만 사용했고, 양반은 감히 잡지 못했다. 양반을 잡는 데는 자주통부를 보였는데 이것은 대궐 안에서 임금의 명을 받는 선전관청에 보관되어 있었다.

그러다 중대한 일이 생기면 선전관이 임금께 아뢰고 나서 포교에게 내주었다. 표교는 한번 자주통부를 받으면 다시 반환하지 않고 포교직을 그만둘 때까지 가지고 다니었고, 그 자주통부를 받은 포교는 팔을 뽐내면서 양반도 무섭지 않은 양 거들먹거렸다.

다모는 도리깨를 가지고 범인 집의 들창문을 부수고 들어가기도 하지만, 만약 사람을 쳐서 죽여도 살인을 하였다고 처형당하지는 않았고 다만 귀양을 가는 정도에 그쳤다.

따라서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 다모는 오늘날 우리 여자 경찰의 효시인 셈이다.

/송백헌 충남대 국문학과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2.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3.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4.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5. 대전 서남부권 특수학교 '서남학교' 교육부 중투심 통과

헤드라인 뉴스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의 가을야구가 대전에서 펼쳐지는 날 기차와 고속·시외버스 이용해 대전을 오가는 발길이 전주보다 최대 2만6000여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많은 사람이 운집하는 한화의 대전 홈경기가 할로윈과 같은 시기에 개최되면서 경기 시작 전후와 은행동 지역에 인파가 밀집해 발생하는 사고 예방관리가 요구된다. 한국시리즈 엘지를 상대로 두 번의 패배를 당한 한화이글스가 29일부터 3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연전 홈경기를 앞둔 가운데 경기 시작 전후의 안전관리가 화두가 되고 있다. 중도일보가 한화이글스 대전 홈경기가 개..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두고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세금 문제에 대해서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지난 기자 간담회 과정에서 (밝힌 것처럼)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보유세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에서 윤종오 진보당 의원은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대체로 0.15% 이내 수준으로 OECD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국제 수준에 맞추려면 보유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