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의이슈토론] 내년 대전 관광의 해… "지속 향유될 수 있는 콘텐츠 만들어야"(영상)

[신천식의이슈토론] 내년 대전 관광의 해… "지속 향유될 수 있는 콘텐츠 만들어야"(영상)

지역 역사·문화 콘텐츠와 결합…'새로운 가치' 강조
관광객 500만명 목표… 시민 참여·관심 이끌어내야

  • 승인 2018-11-22 21:16
  • 수정 2018-11-24 00:39
  • 신문게재 2018-11-23 4면
  • 서혜영 기자서혜영 기자
신천식
신천식의 이슈토론이 21일 오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대전방문의 해 성공을 위한 조건 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좌측부터 박정우 독일 PK music entertainment 대표, 정해교 대전시 문화체육국장, 신천식 박사, 황희곤 한림대 교수, 하홍국 한국 마이스 협회 사무총장

2019년인 내년은 대전시 지자체 출범 70주년이자 광역시로 승격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다. 이에 대전시는 내년을 '대전 방문의 해'로 정하고 관광객 500만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1일 오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는 '대전 방문의 해! 성공을 위하여'라는 주제로 황희곤 한림대 교수, 하홍국 한국 마이스 협회 사무총장, 박정우 독일 PK music entertainment 대표, 정해교 대전시 문화체육국장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관광의 해 기간에만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향유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같이했다.

정 국장은 "도시의 미래를 봤을 때 문화예술관광이 도시 성장을 견인한다고 본다"며 "내년을 대전 관광의 틀을 마련하는 첫 번째 디딤돌로 보고 있다. 시민들이 관광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독일의 사례를 예로 들며 "시설물이 들어왔다가 끝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닌 지역의 문화·역사적 콘텐츠와 결합시켜 도시 재생과 문화재생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동안 대전은 관광에 대한 투자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대전을 찾은 관광객은 350만명으로 광역시 중 꼴찌 수준이었으며 예산도 70억원에 불과했다.



하 사무총장은 이러한 부분을 지적하며 대전시의 예산과 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또 "대전이 가지고 있는 과학 등의 장점을 어떻게 부각시키며 그 위에 새로운 가치를 더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하면 최우선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아무래도 과학이다. 황교수는 '과학과 예술이 뒷받침하는 관광 개발'을 강조하며 막연하게 과학이 아닌 구체적 이야기를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미있는 음식, 의미있는 즐길거리 등 '대전은 역시 다르구나'라는 생각이 들게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국장은 "과학과 예술의 결합인 '아티언스'등을 어떻게 상품화하고 상업화 할 것인가 고민하고 있다"며 "시민참여 부분 관련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다. 많이 도와달라"고 시민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서혜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