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8. 진수성찬(珍羞盛饌)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8. 진수성찬(珍羞盛饌)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3-24 17:47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운동화
사람의 기억은 무섭다. 그래서 때론 수십 년 전의 흔적까지 추적할 수 있다. [홍찬선 첫 소설, 그해 여름의 하얀 운동화](넥센미디어 발간)를 보면서 느낀 감회다.

내가 천안성정초등학교에 입학한 것은 지난 1966년이다. 지금도 마치 어제 일인 양 또렷이 기억하는 채효숙 선생님이 나의 1학년 때 담임이셨다. 엄마도 없는 녀석이 줄곧 1등을 질주하자 기꺼이 관심을 드러내셨다.



수업이 끝나면 남으라고 하면서 잔무를 맡기셨고, 이런저런 주전부리까지 주셨다. 심지어 봄 소풍 때는 내 몫의 김밥 도시락까지 준비하여 주시는 바람에 감격하여 엉엉 울기까지 했다.

"울지 마. 반듯이 살면 반드시 좋은 날도 올 거야!" 홍찬선 작가의 첫 소설집 『그해 여름의 하얀 운동화』는 1부와 2부로 구성돼 있다. <1부 그해 여름>은 조국과 관련된 단편소설 9편을 모은 옴니버스다.



아직도 진행되고 있는 전임 장관 '조국 사태'를 소설 속 상상의 나라에서나마 풀어보려고 노력했다. <2부 하얀 운동화>는 단편 8편을 모았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고 있는 살아있는 이야기들이어서 거부감이 없다.

이런 가까운 이야기들이 팍팍한 '조국의 현실'을 조금이나마 보듬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라는 저자의 부언이 살갑다. 이 책에 담긴 17편의 작품 중 단연 눈길과 오감까지 끌었던 건 <하얀 운동화>(P.307~317)였다.

찢어지게 가난했기에 검정고무신을 신고 등교하는 초등학생 이소명과 홍현숙 담임선생님이 주인공이다. 수업에 이어 교실 청소까지 마친 소명은 그러나 집에 가지 못 한다.

가뜩이나 없는 살림이거늘 누군가 자신의 검정고무신을 신고 간 때문이다. 분한 마음에 눈가의 물기까지 가득한 소명에게 선생님은 자신의 하얀 운동화를 흔쾌히 내준다. 덕분에 다리 안 다치고 무사히 집에 온 소명이지만 아뿔싸~!!

잃어버린 고무신을 사려고 이튿날 엄마랑 천안 장날에 간 게 그만 화근이었다. 포장 안 된 진흙길을 오가는 바람에 하얀 운동화는 그야말로 '죽 쑤어 개 준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

집에 오자마자 기겁하여 하이타이에 운동화, 칫솔까지 동원하여 깨끗이 빨았으나 부뚜막에서 이를 말리던 중 그예 연탄불에 타고 만다. 분노한 엄마는 소명의 종아리를 회초리로 팼지만 소명은 전혀 아픔을 몰랐다.

그것은 선생님에 대한 고마움과 죄책감의 이중주가 빚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서두에서 50년도 더 지난 '역사의 흔적' 중 하나인 초등학교 1학년 때의 채효숙 선생님을 기억하는 건 그만큼 감사함이 대단한 때문이다.

고름은 살이 안 되지만 아름다운 추억은 삶을 더 풍요롭게 한다. 이 책이 바로 그렇다. 홍찬선 저자는 전 머니투데이 북경특파원과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한국경제신문과 동아일보 기자를 거쳤으며, 동국대 정치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서강대 MBA를 졸업했다. 서강대 경영학과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일본 中央大 기업연구소 객원연구원, 중국 청화대 경제관리학원 고급금융연수과정을 수료했다.

저서로는 『미국의 금융지배전략과 주식자본주의』, 『패치워크 인문학』, 역서로 『비즈니스 경제학』, 『철학이 있는 부자』 등이 있으며, 시집 『틈』, 『결』, 『길 - 대한제국 鎭魂曲』(2018), 『삶 - DMZ 解寃歌』(2019), 『얼 - 3.1정신 魂讚頌』(2019)이 있다.

한국에서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던 1970년대에 한 농촌 아이가 살았다. 베이비붐 세대 끝자락에 어울리게 많은 형제자매 속에서 태어났다. 그 아이는 부지런하고 선한 부모님 슬하에서 세상의 것들을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하며 자랐다.

산과 달과 별이 친구였고, 개울과 수풀이 놀이터였으며 나무와 꽃, 오소리와 물고기가 또 다른 교과서였다. 대학 진학으로 서울로 올라와선 도시의 심장부에서 일했다.

금융과 경제와 사회와 문화의 일선에서 뒤돌아 볼 사이, 숨 돌릴 틈 없이 일했다. 짝을 만나 가정을 일구고 자녀 넷을 알토란으로 키웠다. 이제 도심 속 장년이 된 그가 그 해 여름의 소년을 마주한다.

소년이 자라 청년이 되고, 부모가 되면서 어른이 된 시간들을 하나씩 더듬으면서 저자가 마주한 일상과 편린이 이 책 안에 고스란히 진수성찬(珍羞盛饌)으로 가득 담겨있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