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쉼과 힘이 되어 주는 친구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쉼과 힘이 되어 주는 친구

오경운 진잠초등학교 교감

  • 승인 2020-10-22 10:11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진잠초교감 오경운 (1)
오경운 교감
"이거 뭔지 알아요?" 우리 학교 숲인 '감성숲'을 돌아보다 고목 사이로 올라온 굵은 줄기에 작은 불꽃 모양으로 피어난 하얀 꽃송이들을 가리키며 교장 선생님이 물었다. 내가 어떤 식물의 꽃인지 짐작도 못 하자, "두릅꽃이에요"라고 답했다. 감성숲에 심어놓은 자산홍과 앵두나무 사이에 저절로 땅두릅이 자라나 꽃까지 피운 것이었다.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해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하던 때에도 겨울 추위를 이겨낸 새싹은 얼굴을 내밀고 어느 날엔가는 저 혼자 꽃을 피우고 있었다. 연분홍 얼굴을 하고 수줍은 듯 하늘하늘 피어오른 ‘낮달맞이꽃’들을 보며 이렇게 예쁜 모습을 우리 아이들이 못 보고 꽃들이 다 지고 나면 등교를 하겠구나 싶어 안타까웠다.

지난겨울에 시작된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졸업식, 입학식은 물론이고 앞으로 학사일정을 어떻게 해야 하나, 코로나 19에 감염되는 학생이나 선생님이 나오면 어쩌나 하는 걱정에 늘 머리는 복잡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했다. 그럴 때면 감성숲으로 나가 씩씩하게 꽃망울을 맺고 무심하게 피어난 산수유, 해당화, 앵두꽃, 산딸나무, 작은 야생화들을 둘러보고 삼백 년이 넘은 팽나무 앞 벤치에 앉아 하늘을 바라보곤 했다.

노거수인 팽나무는 몸통의 반이 석회화돼 있음에도 봄이면 연둣빛 새잎을 피워내고 점점 무성하게 자라 작은 새들의 쉼터가 된다. 푸른 잎사귀들과 그 사이로 보이는 맑은 하늘, 나뭇잎을 흔드는 바람, 작은 새의 지저귐까지 10분여의 짧은 시간이지만 그것만으로 머리는 고요해지고 마음이 가라앉는다.



평교사 시절, 나는 우리 반 아이들이 각자의 소중함을 알고 서로 배려하며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게 하려고 강낭콩을 작은 화분에 심고 돌보며 기르기, 우리 반 나무를 정하고 사랑의 인사 해주기, 학교 뜰 탐험하기 등의 자연과 함께하는 활동을 했다. 지금도 흙을 밟고 식물을 가꾸며 자연과 가까이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인성을 기르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선생님들에게 이야기하곤 한다.

진잠초등학교 근무 3년이면 소위 '꽃알못'(꽃이나 식물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벗어날 수 있을 만큼 우리 학교는 학교 뜰과 숲에 많은 식물이 자라고 텃밭까지 가꾸는 학교다. 이런 환경으로 학교는 자연과 함께하는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학교에서 거둬들인 매실과 모과, 감을 가지고 5·6학년 학생들이 매실청과 모과청을 담고 감말랭이를 만든 후 자신들이 만든 것을 맛보는 메이커 활동을 했다. 외부 손님이 오실 때면 매실 음료와 모과차, 감말랭이를 내놓으며 학교에서 딴 것이라며 자랑하기도 했다.

또 유치원과 1·2학년 학생들은 팽나무가 있는 감성숲에서 뛰놀며 꽃과 나무와 친구 되기, 나뭇잎과 열매로 여러 가지 만들고 놀이하기, 앵두를 따서 먹어보기, 3·4학년 학생들은 우리 학교 뜰 탐험하고 나무 지도 만들기 활동을 했다.

올해 학교 텃밭에 토마토, 가지, 고추, 고구마, 상추, 쑥갓, 수세미 등을 심었다. 6학년 학생들은 등교하는 날이면 정성스레 물을 주고 잡초를 뽑으며 가꾸고 있다. 1·2학년 학생들은 거리두기를 하며 팽나무 교실에서 야외 수업을 하고 유치원 동생들과 함께 풀밭에서 방아깨비를 잡기도 한다. 마스크를 쓰고 있지만, 아이들의 눈은 빛나고 웃음이 느껴진다. 학교 텃밭에서 수확한 수세미를 삶으니 겉껍질이 뭉그러지면서 속에 있던 섬유질 모양이 드러난다. 수세미를 건져 껍질을 벗겨내고 씨앗을 툭툭 털어 말리니 천연 수세미가 만들어졌다. 감성숲을 산책하고, 텃밭과 학교 뜰의 잡초를 뽑고 토마토의 순을 따주고 가지를 수확하며 수세미를 만드는 동안 코로나19로 우울했던 마음이 평안해졌다.

코로나19는 어른이나 아이를 가리지 않고 생각지 못한 일을 겪게 하고 마음이 힘든 코로나 블루라는 현상을 가져왔다. 하지만 식물과 자연이라는 친구와 함께하는 한 우리에겐 어려움을 이겨낼 쉼과 힘을 줄 것이다.
오경운 진잠초등학교 교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태안 해루질 중 실종된 여성 숨진채 발견…천안 미용실서 화재
  4. 전 세계 셰프들이 선보인 '한식' 경연...최종 우승자는
  5. 대전교도소, 사회복지시설 방문해 사회온정 나눠
  1. 대전 대덕구서 면허 없이 훔친 오토바이 몰던 고등학생 3명 붙잡혀
  2. 문화유산회복재단, 교실에서 또는 환수박물관에서 '실감교육 확대'
  3. EU, 철강관세 50% 인상…韓, 철강 수출 위기감 고조
  4. [프리즘] 겉보기 사회, 배터리화재에, 속도 탄다
  5. '온세종학교' 디지털 시대 맞춤형 교육 혁신 선도

헤드라인 뉴스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방문객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그 흔한 집객 시설 자체조차 없는 세종시. '역외 소비와 공실률 최상위 도시', '자영업자의 무덤', '핵노잼 도시'란 수식어는 이제 등호(=)로 굳어지고 있다. 인구수는 4년째 39만 벽에 갇히고 있고, 2030년 '신도시 50만, 읍면 30만' 목표는 10년 이상 뒤로 미뤄진 지 오래다. 대전과 청주, 공주 등의 주요 도시들과 같은 인프라를 단시일 내 구축하기란 불가능한 현실이자 희망고문에 가깝다. 단적인 예로 2021년 대전 신세계 백화점, 2024년 청주 커넥트 더 현대 오픈으로 세종시의 첫 백..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