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쉼과 힘이 되어 주는 친구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쉼과 힘이 되어 주는 친구

오경운 진잠초등학교 교감

  • 승인 2020-10-22 10:11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진잠초교감 오경운 (1)
오경운 교감
"이거 뭔지 알아요?" 우리 학교 숲인 '감성숲'을 돌아보다 고목 사이로 올라온 굵은 줄기에 작은 불꽃 모양으로 피어난 하얀 꽃송이들을 가리키며 교장 선생님이 물었다. 내가 어떤 식물의 꽃인지 짐작도 못 하자, "두릅꽃이에요"라고 답했다. 감성숲에 심어놓은 자산홍과 앵두나무 사이에 저절로 땅두릅이 자라나 꽃까지 피운 것이었다.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해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하던 때에도 겨울 추위를 이겨낸 새싹은 얼굴을 내밀고 어느 날엔가는 저 혼자 꽃을 피우고 있었다. 연분홍 얼굴을 하고 수줍은 듯 하늘하늘 피어오른 ‘낮달맞이꽃’들을 보며 이렇게 예쁜 모습을 우리 아이들이 못 보고 꽃들이 다 지고 나면 등교를 하겠구나 싶어 안타까웠다.

지난겨울에 시작된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졸업식, 입학식은 물론이고 앞으로 학사일정을 어떻게 해야 하나, 코로나 19에 감염되는 학생이나 선생님이 나오면 어쩌나 하는 걱정에 늘 머리는 복잡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했다. 그럴 때면 감성숲으로 나가 씩씩하게 꽃망울을 맺고 무심하게 피어난 산수유, 해당화, 앵두꽃, 산딸나무, 작은 야생화들을 둘러보고 삼백 년이 넘은 팽나무 앞 벤치에 앉아 하늘을 바라보곤 했다.

노거수인 팽나무는 몸통의 반이 석회화돼 있음에도 봄이면 연둣빛 새잎을 피워내고 점점 무성하게 자라 작은 새들의 쉼터가 된다. 푸른 잎사귀들과 그 사이로 보이는 맑은 하늘, 나뭇잎을 흔드는 바람, 작은 새의 지저귐까지 10분여의 짧은 시간이지만 그것만으로 머리는 고요해지고 마음이 가라앉는다.



평교사 시절, 나는 우리 반 아이들이 각자의 소중함을 알고 서로 배려하며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게 하려고 강낭콩을 작은 화분에 심고 돌보며 기르기, 우리 반 나무를 정하고 사랑의 인사 해주기, 학교 뜰 탐험하기 등의 자연과 함께하는 활동을 했다. 지금도 흙을 밟고 식물을 가꾸며 자연과 가까이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인성을 기르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선생님들에게 이야기하곤 한다.

진잠초등학교 근무 3년이면 소위 '꽃알못'(꽃이나 식물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벗어날 수 있을 만큼 우리 학교는 학교 뜰과 숲에 많은 식물이 자라고 텃밭까지 가꾸는 학교다. 이런 환경으로 학교는 자연과 함께하는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학교에서 거둬들인 매실과 모과, 감을 가지고 5·6학년 학생들이 매실청과 모과청을 담고 감말랭이를 만든 후 자신들이 만든 것을 맛보는 메이커 활동을 했다. 외부 손님이 오실 때면 매실 음료와 모과차, 감말랭이를 내놓으며 학교에서 딴 것이라며 자랑하기도 했다.

또 유치원과 1·2학년 학생들은 팽나무가 있는 감성숲에서 뛰놀며 꽃과 나무와 친구 되기, 나뭇잎과 열매로 여러 가지 만들고 놀이하기, 앵두를 따서 먹어보기, 3·4학년 학생들은 우리 학교 뜰 탐험하고 나무 지도 만들기 활동을 했다.

올해 학교 텃밭에 토마토, 가지, 고추, 고구마, 상추, 쑥갓, 수세미 등을 심었다. 6학년 학생들은 등교하는 날이면 정성스레 물을 주고 잡초를 뽑으며 가꾸고 있다. 1·2학년 학생들은 거리두기를 하며 팽나무 교실에서 야외 수업을 하고 유치원 동생들과 함께 풀밭에서 방아깨비를 잡기도 한다. 마스크를 쓰고 있지만, 아이들의 눈은 빛나고 웃음이 느껴진다. 학교 텃밭에서 수확한 수세미를 삶으니 겉껍질이 뭉그러지면서 속에 있던 섬유질 모양이 드러난다. 수세미를 건져 껍질을 벗겨내고 씨앗을 툭툭 털어 말리니 천연 수세미가 만들어졌다. 감성숲을 산책하고, 텃밭과 학교 뜰의 잡초를 뽑고 토마토의 순을 따주고 가지를 수확하며 수세미를 만드는 동안 코로나19로 우울했던 마음이 평안해졌다.

코로나19는 어른이나 아이를 가리지 않고 생각지 못한 일을 겪게 하고 마음이 힘든 코로나 블루라는 현상을 가져왔다. 하지만 식물과 자연이라는 친구와 함께하는 한 우리에겐 어려움을 이겨낼 쉼과 힘을 줄 것이다.
오경운 진잠초등학교 교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2.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3.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4.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5.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1.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2.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3. [문예공론] 한글날에 드리는 마음
  4.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5.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