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9강 육참골단(肉斬骨斷)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9강 육참골단(肉斬骨斷)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07-05 20:07
  • 수정 2022-07-05 20:0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29강: 肉斬骨斷(육참골단) : 자신의 살을 베어내주고 상대의 뼈를 끊는다.

글 자 : 肉(고기 육) 斬(벨 참), 骨(뼈 골), 斷(끊을 단)으로 구성되어있다.

출 전 :삼십육계비본병법(三十六計秘兵本法)목록 2번째 적전계(敵戰計)중 이대도강(李代桃?)에 실려 있다.

비유 : 당장은 자기 살을 도려내 주는 것처럼 뼈아픈 손실과 고통이 있지만, 마지막으로 중요한 적의 뼈를 취하는 전술로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가진다'는 뜻.



6월[호국보훈의 달]이 지나고 시간은 벌써 7월로 접어들었다.

이제는 더위와 싸우며, 때로는 휴식을 가지면서 내일의 재충전을 생각하고 실천할 시기이기도 하다.

인생의 삶이 하도 복잡하고 다양하여 좀 색다른 고사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조국(祖國)이나 군주(君主)를 위해 한 목숨 희생했던 고사에 팀장과 한 팀이 되어 슬기롭게 나라의 위기를 극복한 전국시대 손빈(孫?)에 관한 간략한 고사이다. 물론 여기서 소개되는 손빈(孫?)은 손자병법의 저자인 손무(孫武/기원전 545년경 ~ 470년경)의 손자이며 손자병법을 보완하여 완성시킨 병법가이다.

우선 부하가 자발적으로 희생하겠다고 나선 초한쟁패(楚漢爭覇)시 유방(劉邦)을 구출한 기신(紀信),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등장하는 손견(孫堅)을 대신해서 죽은 조무(祖茂)나 조조(曹操)를 구한 전위(典韋),

한반도 후삼국시대에 왕건(王建)을 구한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등, 이들은 군주를 위해 죽음을 선택한 충신(忠臣)이기에 앞서 군주와 한 팀이 되어 조국과 군주를 위해 기꺼이 희생된 참 인간임을 먼저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들은 자신 한 사람의 목숨을 바쳐 군주와 나라 구원의 큰 목적을 달성시킨 '육참골단(肉斬骨斷)'의 표본들이다.

육참골단(肉斬骨斷)의 본래 뜻은 '살을 베고 뼈를 깎을 만큼의 강인한 정신력'이라는 의미이나 '작은 손실을 보는 대신 큰 승리를 거둔다'는 전략적 용어로 많이 사용된다. 이는 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 장군 전기(田忌)와 그의 전략참모 손빈(孫?)사이 기사(騎射/전차경주)의 필승방법에서 나온 고사성어이다.

제(齊)나라의 장군인 전기(田忌)와 귀족들은 기사(騎射)라는 게임에 천금의 돈을 걸고 즐기고 있었다.

당시의 기사(騎射)게임은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를 일개 조(一介 組)로 해서 3개조가 각각 한 번씩 차례로 세 번 경기를 벌이게 되어있는데 세 번 경기에 두 번 이상을 이긴 자가 승리하여 상금을 가져가는 일종의 투기게임이다.

장군인 전기(田忌)가 매번 경기에 져 불만을 하자 손빈(孫?)은 그 3개조의 말을 각기 비교한 끝에 말의 속력 역시 3등급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깨달았다. 어느 날 손빈은 그 내기를 구경하다가 경마의 허점까지 간파하였다.

손빈(孫?)은 전기(田忌)를 부추겼다. "내기를 다시 해 보십시오. 제가 장군을 이기게 해 드리겠습니다." 전기(田忌)는 손빈(孫?)을 믿고 왕과 공자들에게 다시 천금을 걸고 내기를 하자고 제안했다.

경기 시작 전에 손빈은 전기에게 승리할 수 있는 비방을 알려 주었다.

"장군의 제일 느린 하등 수레를 상대방의 가장 빠른 상등 수레와 경주케 하고, 장군의 상등 수레는 상대방의 중등 수레와, 장군의 중등 수레는 상대방의 하등 수레와 달리게 하십시오."

손빈의 계책에 따른 결과 전기는 2승 1패의 전적으로 승리하여 천금을 얻었다.

이 일로 전기는 손빈을 더욱 신임하게 되었고, 드디어 그를 왕에게 천거했다. 왕은 손빈과 병법에 관한 문답을 가진 뒤로 그를 스승으로 받들었다.

그 후 전기와 손빈은 잘 맞는 한 팀이 되어 위(魏)나라 장수 방연(龐涓)의 대군을 격파하는 공적을 세우는 반면 할아버지 손무(孫武)의 병법에 추가하여 불후(不朽)의 병법인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세상에 남겼다.

우리는 흔히 작은 것에 집착하여 큰 것을 잃어버리는 경우를 경험하곤 한다.

사람들은 "인생이 다 그런거지 뭐~~"하고 가볍게 지나치지만 실은 그 작은 집착이 큰 변수가 되어 돌이킬 수 없는 곳으로 추락하는 경우가 의외(意外)로 많다.

평소 '매사를 신중하게' 또는 '다시 한 번 더'의 지혜를 발휘하면 참다운 삶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매사 조급함을 앞세우지 말고 작은 것을 주고 큰 것을 얻는 육참골단(肉斬骨斷)의 지혜가 평생의 행복을 보장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206070100031920000928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