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대전세종충남본부, MZ세대 3인방 '나눔의 가치' 실현

  • 경제/과학
  • 공사·공단

한전 대전세종충남본부, MZ세대 3인방 '나눔의 가치' 실현

김현모 대리, 헌혈 100회 유공 명예패 "앞으로도 꾸준히 봉사"
이현지·김윤수 대리, 조혈모세포 기증으로 새 생명의 기쁨 나눠

  • 승인 2022-09-07 13:39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1011101000723500030021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전경.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MZ세대 3인방이 나눔의 가치를 실현해 화제다.

김현모, 김윤수, 이현지 대리가 주인공으로, 헌혈과 조혈모세포 기증을 통해 생명 나눔에 앞장서고 있다.

3-horz
왼쪽부터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김현모, 김윤수, 이현지 대리.
먼저 김현모 대리는 최근 헌혈 100회 유공 명예패를 수상했다. 군 복무 시절 헌혈 봉사에 참여한 것이 계기였다. 제대 후에도 헌혈 봉사는 이어졌고, 헌혈증 기부에도 앞장섰다. 헌혈증이 있으면 수혈을 받아야 하는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서다.

김 대리는 "헌혈의 집이 제가 자주 이용하던 미용실 근처이다 보니 미용실 가기 전에 일종의 루틴처럼 꾸준히 헌혈을 하게 된 것 같다"며 "헌혈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도 확인이 가능해 봉사도 하고 검사도 한다는 마음으로 임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헌혈은 꾸준히 하겠다는 목표다. 그는 "혈액은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 매일 적정 보유량을 유지해야 한다"며 "건강 상태가 허락할 때까지 앞으로도 꾸준히 헌혈할 생각이다. 고민하지 마시고 가끔씩 헌혈에 참여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앞서 김윤수, 이현지 대리는 조혈모세포를 기증해 새 생명의 기쁨을 나눴다.

김윤수 대리는 평소 기회가 된다면 좋은 일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으로 조혈모세포를 기증했다. 물론 기증 전엔 어떤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 우려도 했지만, 기증 후 우려보다 더 큰 보람을 느꼈다고 한다.

그는 "수혜자 분에게 잘 전달되었고 회복도 잘 되었다고 전달받아 너무 기뻤다"며 "약간의 시간을 들여야 하지만 들인 시간보다 더 큰 보람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현지 대리는 가족의 반대가 심했지만, 백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조혈모세포 기증이 유일한 방법이란 사실을 듣곤 기증을 결심했다. 한 생명을 살렸다는 것에 자긍심을 갖고 생활하고 있다.

이 대리는 "사실 큰 아픔보다는 조금의 용기를 내 시간을 냈을 뿐"이라며 "제가 한 생명을 살렸다는 것에 자긍심이 생겼다. 조금이라도 조혈모세포 기증에 대한 인식이 좋아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3.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4.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5.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1.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2. 집현동 테크밸리, 나성·어진·대평동 공실 지역 연계 필요
  3.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4.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헤드라인 뉴스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9월 22일부터 지급할 예정인 제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고액 자산가를 제외하고 가구별 특성을 적용하기로 했다. 또 사용처를 생활협동조합 등으로 확대하고, 군 장병이 근무지 인근에서 쓸 수 있는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2일 국회에서 행안위 당정 협의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협의 후 브리핑을 통해 “2차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 2021년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와 마찬가지로 가구별 건강보험료를..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에 필요한 비용이 32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2026년 해양수산부 전체 예산안 7조 3279억 원의 약 4.4%를 차지한다. 예산 총액은 전년의 6조 7816억 원보다 8.1%(5471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일 이 같은 편성안을 공표했다. 예산 증가의 초점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 사업 예산에 맞췄다. 역시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규 예산으로 편성된 해수부 부산 이전 비용 322..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전국 지방자치단체 3곳 중 1곳이 기준금리(2.5%)보다 낮은 금리로 은행 금고에 여유자금을 맡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과 세종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평균 이자율이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 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43개 지자체 금고 예치금은 95조 9844억 원, 이자수입은 2조 8925억 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이자율은 2.87%로 기준금리 2.5%를 약간 웃돌았다. 그러나 79개 지자체는 여전히 기준금리에도 도달하지 못..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