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문화의 힘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문화의 힘

김병곤(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 승인 2023-01-11 11:03
  • 신문게재 2023-01-12 19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필진=김병곤(신)
김병곤(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중략)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백범 김구 선생의 말씀이다. 21세기는 문화가 국가의 경쟁력이고 국력이 되는 시대다. 한류가 세계 문화를 이끌어 가고 이를 뒷받침하는 국악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대전에는 1981년 7월 14일 개원한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 있고, 올해로 42주년을 맞았다.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은 연정 임윤수 선생이 육십 평생 자신이 모아온 국악기 및 국악 관련 고서적 등 2만여 점을 대전시에 기증하면서 비롯됐다. 백범 김구 선생과 연정 임윤수 선생과의 연관성을 놓고 의문을 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연정 선생은 1917년 경북 영천 출신으로 17살 때 국악에 입문하여 경주의 최윤(1888~1973) 선생을 만나 거문고를 배우고 '예기', '악기' 등 한문으로 된 국악의 이론뿐만 아니라 한문 고전 및 철학을 배웠다. 이후 만주에서 국악 활동을 함께한 박헌봉(1906~1977, 대한국악원장·서울국악예고 창설자)과 경남 사천에 있는 다솔사(일제항일 운동 기지)에서 효당 최범술(1904~1979·다솔사 주지)을 만나 애국청년단으로 활동했다.

다솔사에서 독립운동가 산강제 변영만(1889~1954, 전 성균관대 교수)을 만나게 되고, 변영만은 연정에게 '막신일호(莫新一好)'하라. 즉 (한 가지 일에 몰두해서 크게 성취하는 것보다 더 신명 나는 일은 없다)는 순자의 말을 연정에게 건네어 "국악으로 국혼을 살리는 일"을 해야 한다는 말을 들은 연정은 다솔사를 내려와 민족혼 살리는 일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연정 선생은 일찍이 국악이 세계적인 음악이 될 거라는 것을 예견한 선각자이셨다. 그러기에 평생 국악 계몽운동만을 생각하며 살아가신 분이다.



대전시립연정국악단은 연주단, 성악단, 무용단의 악·가·무 총체적 종합예술기관이다. 연주단에서는 국악관현악과 창작음악 그리고 궁중음악과 민속 음악 궁중무용 반주와 민속무용 반주 그리고 타악 연희단이 사물놀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희의 공연을 무대에 올린다. 성악단은 판소리, 가야금병창, 경기민요, 정가 전공자들에 의해 전통 성악의 깊이 있는 공연은 물론, 판소리 창극과 가무 악극 등 전통과 창작의 새로움을 대전시민들에게 선사하고 있다. 무용단은 궁중무용과 민속무용 그리고 창작무용 등 한국무용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공연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올해로 42주년을 맞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은 2023년을 더욱 다채롭고 새로운 공연으로 관객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그 첫 공연이 1월 19일(목) 오후 7시 30분에 공연되는 신년음악회다. '새해진연' 을 주제로 무대에 올려지는 공연에는 '조선의 음악, 빛으로 다시 태어나다' 부재로 미디어아트와 조선시대 풍경이 눈앞에서 펼쳐지면서 웅장하고 화려한 무대가 열린다. 전통과 현대의 첨단영상이 콜라보를 이루는 공연으로 궁궐에서 대취타와 가인전목단과 무산향, 춘앵무가 공연되고, 정가 태평가가 연주되며, 궁 밖에서 이루어지는 경기, 남도민요와 타악 연희가 환상적인 무대로 대전 시민들을 맞이할 것이다.

이러한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의 다채로운 문화적 가치는 국립국악원을 제외한 지방정부 최초의 전통음악 전승 기관이고, 전통을 바로 세우고 지키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42년을 지키며 발전시켜온 대전의 올곧은 자산이다.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전 단원은 이승훤 신임 예술감독과 함께 올해도 대전의 국악을 세계화하는데 많은 땀과 열정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3.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