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특집] 1960년 '추석 그땐 그랬지' 신문속 모습 되돌아 보기

[추석특집] 1960년 '추석 그땐 그랬지' 신문속 모습 되돌아 보기

고향 가는 기차표 구하기 위해 밤샘 긴 줄 서는 풍경
1960년대 추석 선물은 설탕, 조미료, 양말 등 생활필수품 인기
1970년 9월 추석은 콜레라와 뇌염 유행해 침체된 모습
1988년 추석은 서울올림픽 열기 속 치러지며 메달 소식

  • 승인 2023-09-27 09:32
  • 신문게재 2023-09-27 4면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마음은 벌써 고향에." "귀성 전쟁 본격 시작 서울-부산 ○시간." 추석 명절이면 신문지면에 단골처럼 등장했던 문구다. 고향 가는 기차표를 구하기 위해 밤샘 긴 줄을 서는 풍경과 고속도로를 가득 메운 귀성행렬, 색동옷을 차려입고 차례를 지내고 덕담을 나누는 모습은 명절 전후의 주요 지면을 장식했다. 세월이 흐르며 지금은 명절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습도 많이 변화했다. 멀리 사는 친척들과 정을 나누는 명절에서 가족끼리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 신문 지면을 채우고 있다. 이에 중도일보는 1970년대부터 지면 속에 비친 명절 풍경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옛날 신문 속에서 20세기 추석의 모습을 되돌아봤다. <편집자 주>

19700916_01010103
1970년 9월 16일 추석 당일 추석 풍경을 담은 중도일보 지면(중도일보DB)
63년 전 1970년 9월의 추석은 콜레라와 뇌염이 유행하며 다소 침체한 분위기의 명절을 보냈다. 추석 당일에는 비까지 내리면서 우울한 추석을 맞이했다. 지난해까지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유지됐던 우리의 모습과 비교됐다. 추석 당일인 16일 자 중도일보 지면은 '보슬비 속에 성묘행렬, 물가고에 명절 뺏긴 서민은 우울'이라는 문구와 함께 한복을 입고 성묘하는 가족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기사에는 "오락가락 비를 맞으며 진잠, 산내 공동묘지에 성묘객들이 몰렸는데 미니스커트와 판타롱을 입은 근대화(?)된 성묘객들의 옷차림이 눈에 띄었다"며 달라진 성묘객들의 옷차림을 묘사했다.

88년9월25일
1988년 9월25일 서울올림픽 유도에서 금메달을 딴 김재업 선수가 한복 차림으로 시상대에 올랐다(중도일보 DB)
88년 9월24일
1988년 9월24일 고향을 가기위해 대전서부터미널(현서남부터미널)정류장을 가득 메운 시민들(중도일보 DB)
경제가 호황이던 1980년대 추석 풍경은 제법 활기찬 분위기가 느껴진다. 특히 1988년 추석은 서울올림픽의 열기 속에서 치러지며 메달 소식과 추석 풍경을 한 면에 담았다. 추석 하루 전인 9월 24일 1면에는 서부터미널(현 서남부터미널) 정류장을 가득 메운 귀성객들의 모습을 소개하며 "추석 연휴 기간 충청권 귀성인파 300만 명"이라는 문구가 크게 자리하고 있다. 추석 당일에는 유도에서 김재엽이 금메달을 따내며 국민에게 추석 선물을 선사했다. 김재업은 이날 한복을 차려입고 시상대에 오르며 민족 고유의 명절을 세계에 알렸다.

68년 10월4일
1968년10월 4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지면에 실린 추석선물세트 광고(중도일보DB)
91년 한가위
1993년 9월22일 중도일보 지면에 실린 대전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광고(중도일보DB)
명절에 선물을 주고받는 풍습은 시대가 변해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시대에 따라 변하는 명절 선물은 당시 생활상을 반영하기도 한다. 60년대 추석 선물은 설탕, 조미료, 양말 등 생활필수품이 인기 품목이었다. 1968년 10월 3일 3면에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담은 설탕과 조미료 세트가 하단 광고로 올라와 있다. 가장 고가인 설탕 8kg 한 통의 가격은 1,350원으로 현재 화폐 가치로 4만 원 초반대 가격이다. 90년대 추석 선물은 고급화된 패키지 상품과 중저가의 실속형 상품이 인기를 끌었다. 지금은 사라진 대전백화점 한가위 큰잔치 광고에는 10만 원대 명품 갈비. 정육 세트를 비롯해 2~3만 원대 참치선물세트 인삼혼합, 지갑, 넥타이, 와이셔츠로 구성된 잡화류가 한가위 특집 선물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명동데파트광고
1971년 10월1일 중도일보 2면 하단에 실린 명동데파트 상품권 광고 (중도일보DB)
상품권도 명절 선물로 인기 품목이었다. 국내 유통시장에서 상품권이 등장한 시기는 1961년으로 지정된 물품만 구매 가능한 '물품표시 상품권'이 등장했고 1971년부터 '금액표시 상품권'이 등장했다. 1971년 10월 1일 2면 하단에는 명동데파트가 발행한 상품권 광고가 등장한다. 상품권은 500원부터 5,000원까지 있는데 당시 5,000원 상품권은 현재 화폐 가치로 104,300원이다.

65년 9월9일 영화 탈주특급
1965년 중도일보 지면에 실린 추석 특선 영화 광고(중도일보DB)
65년 9월9일 영화 광과 상노
1965년 중도일보 지면에 실린 추석 특선 영화 광고(중도일보DB)
예나 지금이나 명절 영화관은 사람들로 붐볐다. 복합관 시대가 시작된 2000년대 이전까지 극장가는 명절 연휴에 맞춰 광고를 지면에 올렸다. 60년대 중반 대전에는 신도극장, 중앙극장, 시민관, 성보극장, 동화극장이 성업을 이뤘다. 당시 영화관은 사극을 앞세운 국내영화와 액션, 스릴러 위주의 외화가 경쟁하고 있었다. 1965년 추석 특선으로 '왕과 상노'라는 사극과 2차 대전을 배경으로 한 미국영화 '탈추특급'이 지면 하단 광고를 자리하고 있다.

19990922_01010107
1999년 중도일보 지면에 실린 추석 특집판(중도일보DB)
20세기 마지막 추석이었던 99년 추석 특집판에는 달라진 추석 풍경에 관한 기사를 비중 있게 실었다. 당시는 IMF 직후로 경기가 위축된 상황에서 우울한 추석을 보내는 서민들의 애환을 담았다. 갑작스러운 구조조정 칼바람으로 늘어난 '나 홀로 귀성객' 경제 한파로 움츠린 자식들을 위한 역귀성, 얇아진 주머니 사정으로 줄어든 선물 보따리를 소개하고 있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가족들, 명절 당일 교통 혼잡을 피해 미리 고향에 다녀오는 모습도 90년대 들어 생긴 추석의 풍경이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10월31일 금요일
  5. 대전YWCA 후원의 밤 지역사회에 사랑과 희망 전해
  1. [현장취재]대전을 밝히는 이름, 아너소사이어티
  2.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3.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4.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5.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