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지역 내 총생산, 충남이 전국서 2위… 개인소득은 대전이 세 번째로 많아

  • 경제/과학
  • 대전정부청사

1인당 지역 내 총생산, 충남이 전국서 2위… 개인소득은 대전이 세 번째로 많아

통계청 2022년 지역 소득 조사결과 발표

  • 승인 2023-12-25 12:15
  • 수정 2023-12-25 17:54
  • 신문게재 2023-12-26 1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지역 총 생산
자료=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2022년 전국 17개 시·도의 소득을 조사한 결과,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전국에서 충남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개인소득은 대전이 전국에서 3위를 차지했다. 경제 성장률은 대전과 세종, 충북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지만, 충남은 다소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충청권 모두 소비는 늘었지만, 투자의 경우 충북도만 늘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2년 지역 소득'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역 내 총생산은 2166조 원으로 전년보다 82조 원(3.9%) 증가했다. 경기(547조 원), 서울, 충남 순으로 많고 세종(14조 원), 제주, 광주 순으로 적었다.

전국 1인당 지역 내 총생산은 4195만 원으로 전년보다 168만 원(4.2%) 증가했다. 지역 별로 보면 가장 많은 지역은 울산(7751만 원)이었고 충남(5894만 원), 서울(5161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지역은 대구(2674 만 원), 광주(3090만 원), 제주(3115만 원)였다.



충청권 내에서만 보면 충남(5894만 원), 충북(4862만 원)은 전국 평균보다 많았지만, 대전(3368만 원)과 세종(3788만 원)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역총소득은 2197조 원으로 전년보다 90조 원(4.3%) 늘었다. 경기(597조 원), 서울, 경남 순으로 많았고 세종(16조 원), 제주, 강원 순으로 적었다. 대전은 53조 원, 충남 105조 원, 충북 66조 원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 개인소득(가계 총 처분가능소득)은 2339만 원이었다. 지역별로 개인소득은 서울(2611만 원)이 가장 많았고 울산(2607만 원), 대전(2422만 원) 순이었다. 가장 적은 지역은 제주(2151만 원)였다.

충청권에서는 충남(2248만 원)과 충북(2253만 원), 세종(2321만 원)이 전국 평균보다 적은 편에 속했다.

소비
자료=통계청
지난해 전국 경제 성장률은 2.6%를 기록했다. 충청권 경제성장률은 대전과 충북이 4.5%, 세종 3.3%, 충남 2.5%로 조사됐다.

산업별 부가가치를 보면 대전은 사업서비스업(10.3%)과 부동산업(5.5%)에서 증가한 반면 건설업(-7.2%), 문화·기타서비스업(-2.2%)에서 줄었다. 세종은 사업서비스업(14.8%), 공공행정(2.2%)에서 늘었고 농림어업(-8.6%), 전기·가스업(-9.9%) 감소했다.

충남은 제조업(2.9%), 사업서비스업(9.3%)에서 증가하고 농림어업(-5.7%), 전기·가스업(-7.7%)에서 줄었다. 충북은 제조업(3.2%), 건설업(18.1%)에서 늘고 교육서비스업(-1%), 광업(-1%)에서 감소했다.

전국 최종소비는 민간 소비와 정부 소비에서 모두 늘어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충청권에서는 대전 4.7%, 세종은 4.1%, 충남 4.8% 늘었다. 충북은 1.4%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적게 소비한 지역으로 조사됐다.

전국 총고정자본형성은 전국 대부분의 시·도에서 감소해 전년 대비 0.2% 줄었다. 전국에서 울산(17.7%), 충북(13.2%), 경북(7.4%)만 지식재산생산물투자, 건설투자 등이 늘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 설비 투자 등이 감소해 대전은 1.8%, 세종은 4.9%, 충남은 1.4% 감소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4.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5.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1.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2.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3.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4.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5.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