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혼밥하는 당신께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혼밥하는 당신께

  • 승인 2024-01-17 10:02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혼밥 그림
연합뉴스 제공
평일인데도 손님이 많았습니다. 이 분식집은 주말엔 자리가 없어 밖에서 사람들이 줄지어 서는 곳이에요. 지지난주 오전 일을 끝내고 대흥동에 볼일이 있어 서둘러 시내로 갔지요. 일을 마치고 중앙로 지하상가에 있는 그 분식집으로 들어갔어요. 도대체 얼마나 맛있을까 궁금했거든요. 떡볶이를 시켰어요. 가래떡과 어묵, 튀긴 김말이가 빨간 고추장 양념에 버무려 먹음직스러웠습니다. 과하게 맵지 않아 제 입맛에 맞았어요. 배가 고픈지라 국물을 떠먹으며 정신없이 먹었습니다. 그러다 맞은편 사람하고 눈이 마주쳤습니다. 혼자서 참 맛있게 먹네. 그 표정이더군요. 낯설지 않아요. 혼자 식당에 갈 때마다 종종 받는 시선이니까요.

전 '혼밥'이 불편하거나 어색하지 않아요. 1인 가구여서 삼시세끼 혼밥하는 셈이죠. 점심도 도시락을 싸가니까요. 고요 속에서 혼자 밥을 먹는, 뇌의 휴식시간이죠. 지난 휴일 점심엔 동태찌개를 끓였는데 아주 맛있었어요. 얼큰하면서 시원하고. 추운 겨울에 이만한 음식이 없죠. 전 여행도 혼자 합니다. 영화도 혼자 보고요. 혼자로서 누리는 자유,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행복입니다. 이런 저를 주위에선 특이한 사람이라고 봅니다. 성격에 문제가 있는 '외톨이' 로 여기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전 개의치 않아요. 타인의 시선이 중요하지 않으니까요. 물론 좋아하는 사람들과의 식사도 아주 좋아합니다.



이런 제가 요즘 울적합니다. 목감기가 심해 2주 정도 앓았거든요. 침도 삼키기 힘들 정도로 아프고 기침은 얼마나 나오는지요. 의사가 "아이고 목이 많이 부었네요"라며 무리하지 말고 푹 쉬라고 하더군요. 항생제와 여러 가지 약이 한 줌이었어요. 몸도 안좋고 약이 독해서 밥 먹는 게 고역이었어요. 거기다 며칠전 배탈로 된통 혼이 나 고생 중입니다. 입맛이 없으니 아무 의욕도 없습니다. 더럭 겁이 났습니다. 나중에 늙으면 여기저기 몸이 고장날테고 혼밥이 결코 즐겁지만은 않겠구나 생각하자 우울합니다.

'혼밥'이 트렌드가 된 세상입니다. 1인 가구가 40%를 넘었다는 통계도 나옵니다. 자발적인 혼밥도 있지만 어쩔 수 없는 환경으로 혼밥하는 사람도 많다고 합니다. 혼자사는 사람은 고령층과 청년층의 비중이 높다고 하네요. 그런데 1인가구의 경제 사정이 열악한 상태라고 합니다. 그러니 밥상은 오죽할까요. 이들에게 밥은 생존이지요. 경기불황과 극심한 취업난에 화장실에서 혼밥하는 청년들이 많다는 기사를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배설의 공간이 청년들의 심리적 도피처가 됐다니요. 이 청년기의 고립이 노년까지 이어지고 결국 고독사 하는 불행으로 삶을 마감하는 비율이 높답니다.



제가 전에도 거론했던 국민일보의 '빈자의 식탁'은 가난한 사람들의 궁핍한 밥상을 리얼하게 묘사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식비 지출을 최소화한답니다. 방세와 병원비 등을 제하고 나면 식비에 쓸 돈이 없어서죠. 이들에게 고기와 과일은 사치입니다. 하루 한 끼만 먹는 게 다반사라죠. 라면이나 국수를 신물나게 먹거나 즉석밥과 김치 하나가 한 끼 밥상입니다. 그 중 죽은 자의 마지막 음식은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고독사한 청년의 자취방에서 발견된 햇반과 카레, 참치캔. 그의 일기엔 "가만히 안 움직이면 배는 별로 안 고픔…" 이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역시 고독사한 노인의 냉장고도 휑했습니다. 이들에게 따뜻한 밥 한 끼는 무얼 의미할까요. 민생, 민생 외치는 정치인의 구호는 공허합니다. 부자들은 더 많이 가지려는 욕심밖에 없습니다. 허나 가난한 사람들과 기꺼이 '연대의 밥상'을 함께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종건 같은 사람 말입니다. 혼밥하는 당신. 혹여 의지할 가족이 없거나 돈이 없으면 도움을 청하세요. 가난은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 사회 구조적인 문제니까요.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