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군 지진 대전·세종·충남서도 감지… 오전 신고 74건 (종합)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전북 부안군 지진 대전·세종·충남서도 감지… 오전 신고 74건 (종합)

오전 10시 기준 대전 22건, 세종 9건, 충남 43건 지진 감지 신고

  • 승인 2024-06-12 14:01
  • 수정 2024-06-12 14:50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40612110315
자료=기상청 제공
전북 부안군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대전·세종·충남에서도 74건의 지진 감지 신고가 접수됐다.

12일 대전·세종·충남 119 상황실에 따르면, 전북 부안군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119에 접수된 지진 감지 신고 건수(오전 10시 기준)는 대전 22건, 세종 9건, 충남 43건이다. 인명피해나 대피신고는 없었다.

대전에 사는 임모(50대)씨는 "전북에서 일어난 지진 재난 문자를 받자마자 대전에서도 창문과 테이블이 흔들릴 정도의 진동이 느껴졌다"고 설명했다. 충남에 거주하는 이모(30대) 씨 역시 "미세한 소리와 함께 침대가 몇 초간 흔들려 지진이 일어난 것을 단박에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세종에서도 "책상에 앉아 있는데, 심한 흔들림을 느꼈다"는 시민 증언이 이어졌다.

앞서 이날 오전 8시 26분께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에서 진도 4.8 지진이 일어났다. 진앙은 북위 35.70, 동경 126.72으로 행정구역상 전북 부안군 행안면 진동리다.



전북은 진도 5, 전남은 진도 4, 경남, 경북, 광주, 대전, 세종, 인천, 충남, 충북은 진도 3의 흔들림이 전달됐다. 진도 5는 '거의 모든 사람이 느끼고 그릇·창문이 깨지는 정도'다. 진도 4는 '실내에 많은 사람이 느끼고 그릇과 창문이 흔들리는 정도'이며, 진도 3은 '실내, 건물 위층의 사람은 현저히 느끼고 정차한 차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다.

이번 지진은 올들어 최대 규모로 2.1~2.8 사이의 울산 동구와 경기 연천, 경북 김천, 함경북도 길주, 강원 속초시, 북한 강원 회양, 제주시 리히터 규모를 2배 가까이 넘나드는 수치로 확인됐다.

국내에서 규모 4.5 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은 2023년 5월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 해역에서 4.5 지진이 발생하고 1년여만이다.

한편 지진 발생으로 산림청은 이날 오전 9시부로 전북지역에 산사태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했다. 이날 오전까지 피해 신고상황은 없었으며, 여진으로 인한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산림과학원과 산림·토목·지질 등 산사태 관련 분야 전문가를 투입해 산사태 취약지역, 땅 밀림 우려 지역 등에 대한 현장점검에 나섰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덕구 명예구청장협의회, 민주당 현수막에 반발…"구청장 음해 중단하라"
  2. 세종시, 새 정부와 '행정수도 완성' 44개 국정과제 추진
  3. 대전교육청 지방공무원 정기인사, 우창영 평생학습관장·최현주 기획국장
  4. [시작된 장마, 준비는?] 이상기후에 밤낮없는 대전기상청…주민 안전도 지킨다
  5.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1. 배재장학재단, 배재대 학생 15명에 장학금 1500만원 전달
  2.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완성' 시급...대한민국 악순환 끊는 해법
  3. 대전대 인근 대학로에 '오상욱 거리' 조성… 동구 26일 선포식
  4. 대전문화재단, 문화예술정책 포럼 성료…“AI는 동반 예술가”
  5. 가원학교 진동 원인 에어컨 실외기? 다음날엔 감지 안 됐다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이전 부적절" 충청권 4개 시도지사 강력 반발

"해수부 이전 부적절" 충청권 4개 시도지사 강력 반발

이재명 정부가 집권 초 해양수산부 부산이전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행정수도 완성에 역행하는 부적절한 처사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하게 밝혔다. 중도일보가 해수부 탈(脫) 세종을 막기 위해 충청권 시도 공조가 시급하다고 보도(6월 12일자 1면)한 뒤 전격 회동한 자리에서 해수부 사수 의지를 다진 것이다. 충청 시도지사들은 또 야당 일각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경남 사천 이전 시도에 대해서도 정부의 공식 입장이 없지만 향후 강력하게 대응키로 했다. 지역 성장동력 양대 축인 세종 행정수도와..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17일 오전 최초 진동이 감지된 특수학교 대전가원학교에 대해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이 이뤄진다. 당초 대전교육청이 자체 조사로 진동 원인을 찾으려 했으나 추가 진동이 감지되고 구성원 불안감이 커지면서 계획을 변경한 것이다. 19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하루 뒤인 20일부터 학교 왼편 전체 층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다. 이 기간 학교는 정상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17일 처음 진동이 감지된 쪽이다. 가원학교는 앞서 2024년 9월부터 10월 말까지 한 차례 이 공간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바 있다. 2025년 2..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정부가 침체한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한다. 특히 건설 경기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미분양 주택 문제 해결을 정부 차원에서의 환매조건부 매입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이 충청권을 비롯해 전국 지방 도시에서 심화하는 건설 경기 침체 현상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건설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2조 7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미분양 주택 환매, 사회간접자본(SOC) 조기 착공, 중소 건설사 유동성 지원 등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

  •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안장식…‘영면 하소서’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안장식…‘영면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