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 2027년 충남 이전 현실화?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 2027년 충남 이전 현실화?

최민호 세종시장-김태흠 충남지사, 7월 3일 충남산림자원연구소 이전 협약 체결
'행정구역 세종시·소유권 충남도' 딜레마 해소 노력...TF 통해 민간 매각 본격화
난개발과 부실 PF 개발 우려 씻어내야...대체 시설도 주목

  • 승인 2024-07-03 17:02
  • 수정 2024-07-03 17:08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장미원
금강자연휴양림 내 장미원 전경. 사진=충남산림자원연구소 제공.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란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딜레마가 빠른 시일 내 풀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민들에겐 금강자연휴양림으로 더욱 잘 알려진 곳이다.

문제의 발단은 2012년 7월 세종시 출범과 함께 비롯했다. 행정구역이 충남 연기군 금남면에서 세종시 금남면으로 바뀌면서, 양 지역 모두가 불편한 상황을 겪어왔다. 연구소는 1994년 문을 열고 30년째 현재 입지를 지켜왔다.

주된 이용 수요는 접근성 측면에서 세종시민들 몫이 됐다. 정작 요금 50% 할인 혜택은 관련 규정상 충남도민에만 해당했다. 금남면 거주자들만 여기에 포함됐고, 나머지 23개 읍면동 주민들은 전국 16개 시·도와 같은 이방인 신세가 됐다. 전 국민적 건강 트렌드로 떠오른 맨발걷기장만 방문하고 싶어도 문턱은 높았다. 입장할 때마다 주차료부터 입장료를 지불해야 했기 때문이다.

KakaoTalk_20240504_212958654_01
역으로 충남도민은 주인 노릇을 제대로 하기 어려웠다. 2022년부터 공주시와 보령시, 태안군, 금산군, 청양군 간 유치전이 본격화된 배경이다. 도는 현재 최종 입지를 저울질 중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종시와 충남도가 7월 3일 체결한 협약은 미래 기대감을 갖게 했다.

충남도는 산림자원연구소 이전이란 숙원 사업 해결과 함께 지역 균형발전 가치를 실현하고, 세종시는 새 기능 유치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민호 시장과 김태흠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만나 공동 노력을 전개하기로 했다. 향후 가동될 부지 매각 공동 대응 TF(단장 양 기관 기획조정실장)가 민간 매각 절차의 중심에 선다.

세종-충남 업무협약식 단체
양 지역이 부지 매각 공동 TF 구성을 통해 충남산림자원연구소 이전안의 해법을 찾기로 했다. 사진=세종시 제공.
아직 넘어야 산은 많다. '3000~4000억 원 안팎의 부지 매입비를 누가 부담할 수 있겠는가'란 근본적 물음표가 우선 따라 붙는다. 국비 지원 가능성도 없어 보인다.

난개발과 함께 부실한 PF 사업자 참여 우려도 씻어내야 할 대목이다. 과거 마이스(MICE) 산업 중심지 구상안이 있었으나 시간이 꽤 흘렀고, 금강을 배경으로 한 테마파크 조성안도 수면 위에 올라왔으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마이스는 기업 회의와 인센티브 관광, 컨벤션, 전시가 종합적으로 이뤄지는 산업을 뜻한다.

변변한 대체 시설이 들어오지 못할 경우, 세종시 정주 여건도 퇴색될 전망이다.

산림자원연구소와 같은 부지에 있는 금강자연휴양림 일대는 광릉수목원에 이어 2번째로 큰 산림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는 등 중부권 최대 휴양림 입지를 굳혀왔다.

주요 시설은 1150종을 갖춘 수목원(61.5ha)과 숲속의집 7동 12실 등의 자연휴양림(184ha), 야생화원 196종(1.1ha)을 기본으로 한다. 여기에 산림박물관 5개 전시실(3173㎡)과 339종의 열대 온실(1685㎡), 홍교 등 연못(4310㎡), 창연정(118㎡), 동물마을 4동 5개소(7076㎡), 맨발 걷기장 등이 포진하고 있다.

최민호 시장은 "이번 교류는 세종시와 충남도가 상생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충남도와 최대한 협력해 앞으로 이전할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부지에 충청 지역민의 문화 향유 시설이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흠 지사는 10년 이상 방치된 이전론에 대해 "세종시 출범 시점에서 중앙정부를 상대로 교환이나 매입 등을 강하게 요구했어야 했다. (도지사) 취임 후 국가 매입 건의를 해왔으나 여의치 않아 민간 매각의 방식을 찾고 있다"며 "현재 여러 기업의 관심이 나타나고 있다. 세종시와 원팀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화답했다.

양 지역이 목표 시기로 내세운 2027년까지 산림자원연구소 이전과 대체 개발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3.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4.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