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시간당 118㎜ 폭우에 3명 사망…"작년 피해 회복도 못했는데" 토로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충남 시간당 118㎜ 폭우에 3명 사망…"작년 피해 회복도 못했는데" 토로

396㎜ 쏟아진 논산 탑정호 방류 겹쳐 침수 잇따라
시간당 118㎜ 서천 읍내 주택과 상가 물에 잠겨

  • 승인 2024-07-10 17:35
  • 신문게재 2024-07-11 3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논산2
7월 10일 논산시 논산천 제방에서 탑정호 방류 후 물이 새는 파이핑현상이 발견돼 덤프트럭으로 흙으로 덮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지난 나흘간 396㎜ 비가 쏟아진 충남 논산에서 지난해 이어 올여름 인명피해와 농경지 침수가 잇따랐다. 시간당 118.5mm의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쏟아진 서천에서는 주택을 덮친 토사에 주민이 목숨을 잃고 읍내에 주택과 차량에 침수가 빚어졌다.

10일 오후 1시에 찾은 논산시 부적면 아호리 일원 농경지는 밤사이 내린 빗물이 배수되지 못해 큰 웅덩이처럼 물에 잠겼다. 논둑 밑으로 바퀴가 빠져 기울어진 트럭이 밤사이 물이 차오르고 대피하던 긴박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었다. 빗물을 강제로 배출하는 양수장이 가까이 있으나 노후되고 용량이 부족해 충분히 배출되지 않으면서 침수에 이르게 된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이곳은 출렁다리의 탑정저수지로부터 4㎞ 하류 지점으로 만수위에 도달한 탑정호가 전날까지 초당 170톤씩 방류하던 것에서 이날 800톤으로 방류량을 늘리며 하천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며 논산대교 지점에 오전 5시 홍수경보가 발령될 정도로 위태로웠다. 논산천에 수위가 상승해 수압이 오르면서 탑정호 하류 1.4㎞ 논산천 제방에 미세 틈이 벌어져 물이 농경지로 유입되는 파이핑 현상이 발견돼 논산시가 25톤 덤프트럭 30대 분량의 흙을 쏟아 유실을 가까스로 막았다. 연무읍에서는 강경천의 지류인 마산천이 범람하면서 지난해 이어 올해도 주택과 농경지가 침수됐고, 방울토마토와 딸기를 주로 재배하는 채운면에서도 비닐하우스가 물에 잠겼다.



논산3
초당 800톤씩 방류를 시작한 탑정호 하류 논산천 제방 보수공사 현장에 김태흠 도지사와 백성현 논산시장이 찾아 점검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채운면 우기리에서 만난 박모(78) 씨는 "비만 오면 하천이 넘쳐 농경지가 그대로 물에 잠기고 벼는 괜찮겠지만, 하우스 작물은 뿌리째 뽑아 다시 식재해야는데 작년 피해도 회복 못했는데 감당이 안 된다"고 토로했다.

서천은 물폭탄을 맞은 것처럼 서천읍, 화양면, 기산면, 비인면, 마서면 등에서 도로유실 등으로 인한 교통통제 16곳, 가축 12만1000수 폐사, 시설하우스 포함 농경지 33.5㏊가 침수됐다. 오전 4시께 시간당 84.1㎜의 200년 빈도의 비가 쏟아진 금산에서도 산사태가 잇달아 발생했다. 금산군 진산면의 한 조립식 주택에 토사가 밀려들면서 거주자인 60대 여성이 매몰돼 숨졌다.



10일 집중호우로 논산에서 오피스텔 엘리베이터 침수로, 서천에서 토사 유출로 인한 주택 매몰로, 금산에서 산사태로 1명씩,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주택 반파, 축대 유실, 옹벽 붕괴 등 24건에 농경지 침수는 잇따랐다.

김태흠 도지사는 이날 백성현 논산시장과 논산천 제방 보수현장을 방문해 "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큰 바위를 쌓고 수위가 낮아지면 근본적 대책을 세워달라"고 지시했다.
본사종합

논산1_edited
논산시 부적면의 한 마을 농경지에서 한 트럭이 기울어진 채 빗물에 잠겨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5.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