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2. 도안동 카페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2. 도안동 카페

서구 도안동 카페 136곳, 평균 월 매출액은 1440만원
대전과 서구 전체 평균 매출 넘어... 주말에 최다매출
오전 11시~오후 5시 소비자 몰리며 일평균 400여 만원
여성이 쓰는 돈 694만원으로 1위... 여심공략 키포인트

  • 승인 2024-07-18 16:28
  • 수정 2024-08-28 10:58
  • 신문게재 2024-07-19 1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도안동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2. 대전 서구 도안동



30대 직장인 최 모(대전 서구) 씨는 매일 커피로 아침을 시작한다. 최 씨는 취미 생활로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할 만큼 커피에 '진심'이다. 하나 둘 모아오던 커피 기계는 어느덧 집 주방 공간을 가득 채웠다. 전국 유명 카페를 돌아다니는 게 그의 유일한 낙이다. 카페에 들어서면 어떤 기계를 쓰는지, 원두는 어떤지 꿰뚫는 경지에 이르렀다. 맛 평가는 덤이다. 최 씨는 자신만의 카페를 만들고 싶었다. 몇 년을 커피에만 몰두하다 보니 자신감이 한껏 올랐다. 이탈리아처럼 스탠딩 카페를 만들어볼까. 고급스러운 원두에 향을 더해볼까. 감성적인 카페를 만들어볼까. 고민이 많다. 지역은 깔끔한 신도심인 서구 도안동으로 잡았다. 그러나 선뜻 나서지 못한다. 주변 매출은 얼마인지, 유동인구는 어떤지, 지금 카페를 차려도 승산이 있을지 복잡하다.



▲도안동 카페 추이=최 씨의 고민인 카페 창업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권분석시스템을 통해 살펴봤다. 대전 서구 도안동 내 위치한 카페는 2023년 11월 기준 136곳이다. 2022년 11월 126곳이던 도안동 내 카페는 점차 늘어나기 시작해 2023년 2월 130곳을 넘어섰으며, 등락을 거듭하며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통상적으로 업종 수가 증가하게 되면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전 전체 카페 수는 2023년 11월을 기준 3939곳으로, 지역에서 도안동 내 카페가 차지하는 비중은 3.4%다.





▲월평균 매출은?=매출액은 줄어들고 있다. 2024년 4월 기준 도안동 내 카페 평균 매출액은 1440만원으로, 3월(1391만원)보다는 증가했지만, 가장 높았던 2023년 12월 1717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하향세다. 2023년 4월 1445만원에서 그해 5월 1575만원, 7월 1692만원으로 오름세를 보이다 2024년 2월 1589만원을 찍은 뒤 3월 1391만원으로 떨어졌다. 그래프로 보면 상승세를 그리다 하락한 뒤 반등하는 모양새다. 매출은 하락세지만 전체를 놓고 보면 상위권에 랭크됐다. 대전 전체 카페 매출액 평균은 2024년 4월 1131만원, 서구 전체를 놓고 봐도 1146만원으로 도안동이 앞선다. 매출은 주말에 집중됐다. 일주일 중 일요일 하루평균 매출이 25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토요일은 216만원이다. 금요일이 169만원으로 가장 저조했으며, 화·수·목요일은 170만원대를 나타냈다. 주중 매출의 비중이 높다면 주말엔 매출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 직장인·근로자 중심으로 소비가 주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주말 매출의 비중이 높다면 외지에서 찾아오는 소비자들의 소비가 중심이 된다.



▲유동인구 회복?=도안동 내 유동인구는 2024년 4월 기준 6만 6491명이다. 2023년 11월 7만 4921명에서 같은 해 12월 6만 3729명으로 하락한 뒤 올해 1월 4만 5272명, 2월 4만 3701명으로 뚝 떨어졌다. 이후 3월 5만 9146명으로 늘어난 뒤 6만 명대를 회복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만 3637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만 5776명, 50대 1만 2362명, 30대 9479명 순이다. 10·20대는 7000명대에 그쳤다. 요일별로는 일요일 5만 9180명으로 5만 명대를 제외하곤 월~토요일 모두 6만 명대 중 후반을 넘어서며 고루 분포됐다.



▲소비자 방문 시간대는=시간대별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가 가장 많이 소비자들이 몰렸다. 카페 특성상 점심 식사 후 커피를 먹는 소비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오후 2~5시가 470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는 411만원이었다. 오전 6~11시엔 215만원이다. 오후 9시부터 밤 12시까지는 매장 마감 시간 등과 겹치며 5만원으로 뚝 떨어지는 모습이다. 매출은 여성이 694만원으로 전체의 54%를 차지할 만큼 많았으며, 30대가 375만원으로 전체의 29.2%로 가장 많았다. 30대 여심을 공략하는 게 성공의 열쇠라 볼 수 있다. 최 씨의 커피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