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1. 대전 오류동 먹자골목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1. 대전 오류동 먹자골목

2023년 11월 기준 요리주점 38곳 영업
먹자골목 월평균 매출액 지난 4월 기준 1095만원... 1년전(1295만원) 보다 15.4%↓
유동인구는 월평균 3만여명 대… 남성이 55.4%, 50대 이상 중·장년층 비율 높아

  • 승인 2024-07-16 16:35
  • 수정 2024-08-28 10:58
  • 신문게재 2024-07-17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오류동 먹자골목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1. 대전 중구 오류동 먹자골목



정년퇴직을 앞둔 50대 김(대전 중구) 씨는 고민이 많다. 퇴직 후 어떤 미래를 그려 넣을지에 대한 생각에 밤잠을 설친다. 그는 곧잘 음식을 잘한다. 직장 동료나 지인들을 집에 초대해 요리를 만들어주는 걸 좋아한다. 고된 직장생활 중 유일한 취미다. 김 씨는 이를 십분 활용하기로 한다. 술과 자신만의 강점인 요리를 곁들인 소규모 요리 주점을 고민 중이다. 김 씨는 자신이 거주하는 곳과 가장 가까운 중구 오류동 먹자골목의 상권이 궁금하다. 그런데, 유동인구는 몇 명인지, 연령대는 어떤지, 같은 업종은 얼마나 있는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요리주점 업종 추이=김 씨가 원하는 요리주점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권분석 시스템을 통해 자세히 들여다봤다. 2023년 11월을 기준으로 오류동 먹자골목에 요리주점은 총 38곳이 있다. 2022년 11월 40개로 가장 많았는데 등락을 거듭하며 38곳을 유지 중이다. 오류동 먹자골목에서 반경 1km까지 확대하면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69곳이 존재한다. 중구 전체로 보면 332곳으로 오류동 먹자골목 요리주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11%다. 업종 수가 늘어나면 경기가 좋다는 걸 의미하는데, 1년 내 2곳이 줄어든 것과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은 걸 감안하면 그리 나쁜 편은 아니란 걸 알 수 있다. 중구에서 요리주점을 하는 이들의 업력 기간은 2022년 12월 기준으로 366곳 중 43곳이 5년 이상 업을 유지 중이며, 3~5년 19곳, 1년 미만 15곳, 1~2년 12곳, 2~3년 11곳 순이다. 상권 타겟이 제대로 먹혀든다면 유지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평균 매출액은 어떻게 될까. 오류동 먹자골목의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4월 기준 1095만원이다. 1년 전(1295만원)보다 15.4% 감소한 수준이다. 중구 전체 요리주점 매출액이 같은 기간 1298만원에서 1211만원으로 6.7%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두 배 넘게 하락한 수치이다. 오류동 먹자골목 요리주점 요일별 평균 매출액은 토요일이 261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금요일이 159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매출액은 수요일로 96만원이다. 주중 매출이 높다면 직장인과 근로자를 중심으로 소비가 이뤄진다고 볼 수 있고, 주말과 주중의 매출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라고 분석시스템은 설명했다.





▲유동 인구와 소비력=오류동 먹자골목 유동인구는 올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 월·일 평균 추정 데이터이다. 2024년 1월 3만 8705명이던 유동인구는 같은 해 2월 2만 7331명으로 뚝 떨어진 뒤 3월 2만 9401명, 4월 3만 1690명으로 3만명대를 회복했다. 인구는 4월 기준 남성이 55.4%, 여성이 44.6%의 비율이었으며,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이다. 60대 이상이 29%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1%, 40대 19%, 30대 13%, 20대 13%, 10대 5%다. 일 평균 유동인구는 일요일을 제외한 월~토요일 인구가 3만명대를 유지하며 양호한 모습이다. 또 금요일이 3만 5015명으로 일 평균이 가장 높았고, 토요일이 3만 2933명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일요일은 2만 7187명으로 가장 낮았다. 주중 평균은 3만 2347명, 주말은 3만 60명으로 격차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5시부터 저녁 9시까지 평균 8374명으로 사람이 가장 많이 모였으며, 오전 6~11시에도 7556명 방문했다.

상권 내 주거 인구는 몇 명이며, 소득은 어떨까. 상권 내 주거 인구는 2024년 상반기 기준 9073명으로, 1년 전(9095명)과 차이가 없었다. 주거인구 소득은 오류동만 놓고 보면 2023년 하반기 270만~314만원이었고, 소비는 162만~188만원이다. 오류동과 밀접한 태평1동, 문화1동, 목동, 유천2동, 용두동을 포함한 연령대별 소득은 40대가 2023년 하반기 372만~432만원으로 가장 많고, 소비 역시 40대가 272만~316만원으로 우위를 점했다. 유동인구 연령대와 소비가 높은 연령대를 공략할 메뉴와 아이템을 찾는다면 승산이 있어 보인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10여년 숙원이었던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 공약이 결국 이행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확보에 오랜 시간을 소모했지만 끝내 추진에 실패하면서 차기 교육감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까지 추진했던 유성구 복용동 설립이 결국 무산됐다. 당초 AI 특성화 대안학교를 설립하려던 계획이었지만 교육부가 1월 중앙투자심사에서 대안교육 중심의 학교 설립을 주문하면서 제동을 걸었다. 대안학교 성격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교육청은 주민 설득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부지를 알아보겠다고 물러..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