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기본이 되어있어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기본이 되어있어야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11-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문묘는 공자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준 말이다. 문선왕은 공자를 이른다. 당 현종이 공자를 문선왕으로 추증하였기 때문이요, 따라서 공자묘라고도 한다. 공자를 정위로 하여 4성, 공문10철(孔門十哲) 및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의 명현 18현(十八賢)을 종사(從祀)해 태학생(太學生)들의 사표(師表)로 삼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1949년 전국유림대회 결의로 동무와 서무에 종사한 중국 명현의 위판(位板)을 매안(埋安)하고, 우리나라의 명현 18위를 대성전으로 승당(陞堂)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묘에 종사된 18현을 '동방18현' 또는 '동국18현' 이라고도 부른다. 유명세나 높은 벼슬, 권력에 의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독창적 학문세계, 양심과 도덕에 따른 실천이 주이다. 뛰어난 학식과 덕망, 학자로서 위상, 업적이 높아야 선정된다고 한다. 유학자로서 최고의 영예가 아닐 수 없으며, 만인의 칭송을 받는다.

동무 3번째에 종사되어 있는 인물이 김굉필(金宏弼, 1454~1504, 문신학자)이다. 김종직의 제자이며, 조광조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맥을 있게 했다. 별도로 언급하는 것은 오늘의 주제를 위해서다.

어려서는 꽤 폭력적이었던 모양이다. 사람들이 그를 만나면 피했다고 한다. 좋게 말하면 성품이 호방하고 거칠었던 것이다. 늦게 분발하여 학문에 힘썼다. 김종직 문하에 들어가 <소학>을 배웠는바, 그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일컬었다.



소학은 8세 안팎의 어린이 유교 입문서로 수신서(修身書)이다. 기초학습은 물론, 수신과 수양, 관계 및 생활규범, 생활철학이 주로 담겨있다. 거칠었던 자신의 성품을 <소학>으로 반추해보니 잘 못이 충격적으로 다가와 크게 깨닫게 되고, 깊은 감동으로 다가왔던 모양이다. 사람노릇을 제대로 해야겠다고 다짐한다. 깊고 성실하게 <소학>을 따라 처신한다. 나이 삼십에 이르러서야 다른 책을 접하고 경서를 섭렵하였다.

그럼에도 문묘에 종사 되었던 것은 경학에 치중하여 '치인(治人)'보다는 '수기(修己)'에 힘쓴 까닭이다. <소학>에 입각한 처신(處身),복상(服喪)·솔가(率家) 자세는 당시 사대부들의 귀감이 되었으며, '한훤당(김굉필의 호)의 가범(家範)'으로 숭상되었다.

기본이 잘 되어있어야 확장성이 크다. 넓고 깊게 된다. 기본이 되어있지 않으면서 정치적 술수로 차지하는 자리는 자신과 세상에 해악이 된다. 불치의 병에 들게 한다. 악업을 쌓는 일이다.

거짓과 부허(浮虛)에 더해 독선과 독설, 욕설, 비방이 난무하는 국회를 보자니 드는 생각이다. 기본조차 되지 않은, 미숙아보다 못한 사람들이 설치고, 지도자라 으스댄다. 그런 세상이 개탄스럽다. 바라만 보고 있는 것도 역겹다. 또, 그런 사람을 선출한 나는 무엇인가? 반성하게 된다. 또 한 번 강조하건데, 잘못을 알면서 고치지 않는 것, 그것이 잘못이다.(過而不改 是謂 過矣, <論語>) 더 큰 잘못이다.

다시 일깨워본다. 중요 내용을 네 글자씩 묶은 것이 <사자소학>인데, 수신편에 나오는 내용 몇 마디 다시 새긴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행동은 반드시 바르고 곧게 하고, 말은 미덥고 성실하게 하며, 용모는 단정하게 하고, 의관은 바르고 가지런하게 하라."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자기가 하고 싶지 아니한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선행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뒤에 경사가 있고, 불선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뒤에 재앙이 있다."

"남을 손해 보게 하고 자신을 이롭게 하면 마침내 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재앙과 복은 특정한 문이 없어 오직 사람이 불러들인 것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최종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2.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3.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4.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5.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1.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2.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