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다문화]일본에서 과일이 비싼 이유…최고 상품으로 상대의 가치를 높여주는 문화 때문

  • 다문화신문
  • 금산

[금산다문화]일본에서 과일이 비싼 이유…최고 상품으로 상대의 가치를 높여주는 문화 때문

'유바리 멜론' 2개 짜리 한 묶음 5000만원 최고가 경매
일반 소비자 구매 과일은 대부분 저렴

  • 승인 2024-12-09 16:56
  • 신문게재 2024-12-10 10면
  • 송오용 기자송오용 기자
유바리멜론
동남아 지역은 다양한 여러 가지 열대과일이 있어 여행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과일의 순위를 보면 바나나가 1위이고 2위는 사과, 포도, 망고, 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과일의 품종개량을 통해 과일을 최고 수준으로 만드는 나라가 일본이다.

주식회사 센비키야의 기획·개발부 총괄 책임자인 오시마씨는 "일본의 과일은 품질과 맛에 있어서 당연 세계 최고"라고 자랑스럽게 말한다.



그런데 일본의 과일은 맛있기도 하지만 엄청 비싸기로도 유명하다.

세계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과일 순위를 보면 1위부터 5위 중 4개가 일본에서 생산되어 팔린 과일이다.

1위는 일본 훗카이도 지역 유바리에서 재배되는 '유바리 멜론'이다.

2019년 첫 경매에서는 2개짜리 한 묶음에 한화로 약 5,000만원에 팔린 적이 있다.

색깔이나 당도, 모양새가 완벽 그 자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위는 일본 이시카와에서 재배된 '루비 로만' 포도인데 일본인들이 14년간 개발하여 만든 품종으로써 2023년 첫 경매에서는 한 송이에 한화로 약 1600만원에 팔렸다고 한다.

포도알 한 개에 50만원 꼴이다.

3위는 영국 콘웰에서 생산되는 파인애플이다.

한화로 1개당 약 1500만원에 판매된다.

4위는 일본 훗카이도에서만 재배된다는 '덴스케 수박'이다.

겉이 검은색이고 줄무늬가 없는 것이 특색이다.

이 수박은 2019년 첫 경매에서 한화로 1개당 약 750만원에 팔린 기록이 있다.

5위 또한 일본 미야자키현에서 재배되는 '타이요 노 타마고' 망고다.

타이요 노 타마고은 태양의 알이라는 뜻이다.

2024년 첫 경매에서 2개(약 1kg) 환화로 약 700만원에 낙찰된 바가 있다.

매년 첫 경매에서 가장 비싼 가격으로 낙찰되는데 일본의 모든 과일이 다 이런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사람들은 마트에서 저렴하게 과일을 구입한다.

그러나 백화점 등에서 판매되는 비싼 과일은 보통 선물용으로 구매한다.

때문에 맛이나 모양, 색깔 등이 미학적으로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고 완벽한 과일 선물을 통해 상대의 가치를 높여주는 문화이다.

그래서 이런 비싼 과일을 선물 받는 사람도 대단한 사람인 것이다.

암튼 일본은 언제나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과일의 품종을 개량하며 세계 최고의 과일 맛을 자랑한다. 아사오까 리에 명예기자(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람내음] 19살부터 30년 간 동네 치안 파수꾼… 유성철 태평1동 자율방범대장
  2. "광역시도 통합으로 균형발전…대전충남 우선고려"
  3. '국립세종수목원', 한국관광 100선...세종시 효자 관광지
  4. 세종북부서, 설 명절 맞아 대규모 합동 순찰
  5.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1. 건양대-(사)한국창업기업가협회, 초광역 청년창업지원체계 구축 MOU
  2.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한국자유총연맹, 설맞이 사랑의 나눔 행사
  4. [사설] 공공공사 발주, 지역경제 숨통 트이길
  5. 대전가정법원 공주지원, 면접교섭센터 개소식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교육시설의 자동소화장치(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된 가운데 대전교육청이 관리하는 유치원의 화재 안전 대책은 허술한 실정이다. 대전교육청은 사립유치원의 스프링클러 설치 유무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어 화재 위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3일 대전교육청 등에 따르면 대전 국공립유치원 92곳 중 31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다. 지역 사립유치원은 대전교육청의 관리·감독하에 운영되고 있지만 스프링클러 설치 지원 대상엔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21일 교육부는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서해선 복선전철-경부고속철도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조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충남도는 23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에서 서해선 KTX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은 했지만, 일부 경기도 서화성 이후 단절된 구간을 서울역과 용산역까지 잇는 대안으로 철도 연결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이다. 노선은 경기 평택 청북 서해선에서 화성 향남 경부고속선까지 상하행 7.35㎞로, 총 투입 사업비는 2031년까지 7299억 원이다. 이번 예타에서 서해선 KTX..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에서 3800여 세대가 집들이를 예고했다. 전국적으로는 2만여 세대가 입주에 나선다. 2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7개 단지, 2만 1404세대로 전월(3만 3723세대)보다 크게 줄었다. 특히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7250세대로 전월(1만 3980세대)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2024년 7월(2318세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전체의 66%에 해당하는 물량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충청권은 3870세대가 입주를 예고했는데, 이는 전국 물량의 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설 앞두고 북적이는 시장 설 앞두고 북적이는 시장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