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챠] 사랑의 리본, 유기묘에게 희망을 묶다

[펫챠] 사랑의 리본, 유기묘에게 희망을 묶다

대학생 봉사단체 '리본', 유기동물 보호소에 따뜻한 손길 전해
체계적인 봉사 시스템으로 접근성과 안전성 높여
SNS 활용한 홍보로 유기동물 문제 인식 제고에 앞장

  • 승인 2025-01-01 12:19
  • 수정 2025-01-02 15:27
  • 신문게재 2025-01-02 11면
  • 김주혜 기자김주혜 기자
'펫챠(Petcha)'는 영어 'pet'(반려동물)과 'betcha'(확신해)의 합성어로, 반려동물에 대한 강한 애정과 확신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기 위해 준비한 '연중 기획 시리즈'이다. 반려동물을 단순한 애완용이 아닌 인간의 동반자로 여기는 현대적 관점을 반영하며, 독자들에게 친근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반려동물 관련 정보를 전달하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 <편집자 주>



"처음엔 고양이를 좋아하는 마음에서 비롯됐지만, 이제는 이곳이 제 삶의 일부가 됐어요"



유기동물 봉사단체 리본 이종은 단장(이하 이 단장)의 말이다. 그녀는 "유기동물에 대한 봉사는 단순한 돌봄이 아닌 동물들에게 새로운 삶을 심어주는 기부"라고 정의했다. 충남대에 소속된 유기동물 봉사단체 '리본'은 2021년에 창립해 유기동물 봉사의 접근성과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 단체다.

0I3A0992
12월 28일 '리본' 봉사 전 단체사진/사진=김주혜 수습기자
리본의 봉사활동은 매주 주말마다 진행된다. 사전 신청을 통해 모인 참여자들이 활동 전 충분한 교육과 안전 지침을 숙지하면 본격 봉사에 들어간다. 주말임에도 오후 2시가 되자 대전 서구에 위치한 '냥블리네 유기묘 보호소' 앞으로 봉사자들이 하나 둘 모여 들였다. 기자도 이 단장의 도움을 받아 일일 회원으로 봉사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 단장은 본격적인 봉사활동에 앞서 "유기묘들이 낯선 사람들을 보고 탈출하지 않도록 조심하라"며 주의를 요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동물들의 돌발 행동으로 인해 봉사자들이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모두 방진복과 보호 장갑을 착용했다.



0I3A1155
고양이 '토토'/사진=김주혜 수습기자
기자가 만난 첫 유기묘는 치즈색 털과 맑은 눈을 가진 유기묘 '토토'였다. 토토는 봉사로 어수선해진 분위기를 경계하는 듯했으나 시간을 갖고 천천히 다가가자 이내 경계 서린 눈빛은 온데 간데 없었다. 용기 내 손을 내밀자 코로 탐색하더니 몸통을 살짝 들이밀었다. 토토와의 교감을 지켜보던 이 단장은 "여기 있는 고양이들은 낯선 사람이라도 조심스럽게 접근하면 이내 마음을 여는 편"이라며 "유기묘 보호소가 아니라 온순한 고양이들의 쉼터 같다"고 했다.

0I3A1120
리본 봉사자들이 공간을 청소하고 있다./사진=김주혜 수습기자
봉사는 화장실 청소를 비롯해 물그릇 교체, 케이지 정리 등 다양했다. 유기묘 봉사가 처음인 대학생 김진일(24)씨는 "봉사를 망설였던 시간이 아까울 만큼 어렵지 않고, 좋아하는 고양이들과 함께라 두배로 기쁘다"고 했다. 그는 도착해 구내염으로 분리된 방에 있는 고양이 화장실을 치우고, 캣휠을 분리해 청소했다. 단골 봉사자도 있었다. 또 다른 대학생 김민석(22)씨는 능숙하게 거실 고양이 화장실을 치우고, 물그릇을 세척해 물을 채워넣기를 반복했다. 올해만 세 번째 방문인 그는 "참여를 거듭할수록 일이 점점 익숙해지고 여기 있는 고양이들로 힐링하고있다"며 베테랑 면모를 보였다.
0I3A1064
리본 봉사자들이 고양이 화장실을 청소하고 있다./사진=김주혜 수습기자
조금은 난잡했던 보호소가 봉사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자 금세 정돈됐다. 이 단장은 "매번 봉사 후 깨끗한 공간에서 활발하게 뛰어노는 고양이들을 볼 때 보람을 느낀다"고 미소 지었다.

리본의 활동은 현장에서 그치지 않는다. 봉사 후 봉사자들의 경험을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를 통해 홍보하며 유기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한다. 이 단장은 "유기묘는 버려진 동물이라는 인식으로 잘못 알려진 정보와 편견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유기묘도 다른 반려묘와 다를 것이 없다. 조금만 사랑해주면 마음을 열고 친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학생 김진일(24)씨는 "2시간 동안 유기동물 봉사의 의미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내년도 함께하고싶다"고 했다. 이 단장은 "리본은 앞으로도 봉사의 접근성을 높여 더 많은 사람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더욱 많은 시민들이 봉사에 참여해 유기묘들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다짐했다.
김주혜 수습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