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바이오의약학과 연구팀, 세계 최초 레이저 반응형 펩타이드-약물 결합체 개발

  • 전국
  • 충북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바이오의약학과 연구팀, 세계 최초 레이저 반응형 펩타이드-약물 결합체 개발

기존 ADC 한계 극복…ACS Nano 저널 게재로 국제적 성과 인정받아

  • 승인 2025-01-13 19:16
  • 홍주표 기자홍주표 기자
양성빈-side
양성빈(사진 왼쪽)·이준혁 학생연구원.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바이오의약학과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투과도가 향상된 혁신적 레이저 반응형 펩타이드-약물 결합체(Peptide drug conjugate; PDC)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3일 건국대에 따르면 이번 연구 성과는 나노분야 최고 권위지인 ACS Nano에 게재돼 2025년 1월 2주차에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현재 항암치료 분야에서는 엔허투와 같은 항체-약물 결합체(ADC)가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만 수십 개의 ADC 물질이 개발 중이다.

그러나 ADC는 종양선택성이 전적으로 항체의존적이며, 전달할 수 있는 약물의 양이 극히 제한적이고 단단하거나 큰 조직은 투과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보여왔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건국대 바이오의약학과 연구팀은 '조직 및 세포 투과형 PDC 활용 항암치료'라는 새로운 개념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혁신신약 후보물질 'CPPD1'은 PD-L1이라는 유명한 항암 표적을 타겟으로 하며, 약물전달함량과 투과성이 높아 기존 ADC의 단점을 크게 개선했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특수 제작된 나노 펩타이드-약물 결합체를 활용해 암세포의 면역 회피 기능을 무력화하고, 면역 체계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레이저 기반 면역항암 요법을 개발한 것이다.

특히 레이저를 사용한 표적치료 전략으로 특정 부위에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치료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건국대 이준혁·양성빈 학생연구원이 주도하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진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건국대 BK21팀 바이오의약학과 박주호 교수와 임지홍 교수의 지도하에 진행됐다.

연구 성과는 'Cell-Penetrating Peptide Like Anti-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Peptide Conjugate-Based Self-Assembled Nanoparticles for Immunogenic Photodynamic Therapy'라는 제목으로 발표됐으며, 저자들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한국을빛낸사람들(한빛사)'에 1월 등재됐다.

연구를 주도한 이준혁·양성빈 학생은 "앞으로도 미래사회를 이끌 새로운 치료 전략을 고안하고, 면역학적 치료법의 발전을 위한 추가 연구와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며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혁신소재 글로벌선도연구센터(RLRC),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등 다양한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정식 출판은 1~2개월 후에 이뤄질 예정이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2.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3.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4.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