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Make Good Life"- 새마을금고의 새로운 시작

  • 오피니언

[기고] "Make Good Life"- 새마을금고의 새로운 시작

강수정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홍보담당관

  • 승인 2025-02-12 17:18
  • 신문게재 2025-02-13 18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강수정
강수정 홍보담당관
MG새마을금고의 상호명 컨셉인 MG는 글자 그대로 'Maeul Geumgo'를 의미하는 동시에 'Make Good Life'라는 슬로건 아래 모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사회와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새마을금고의 목표와 운영 철학을 담고 있다. 금융협동조합인 새마을금고는 한국 고유의 자율적 협동조직인 계, 향약, 두레 등의 상부상조 정신을 계승하는 한편 협동조합의 원리에 의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여 회원 뿐 아니라 지역공동체와 국민 경제의 균형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새마을금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정책을 이끌어 갈 대표자를 선출하는 선거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오는 3월 5일 실시하는 제1회 전국동시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는 이 슬로건의 가치를 현실로 구현하는 중요한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는 금고 자체적으로 실시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 금고에서 간선제 방식으로 선거를 실시하면서 금품제공 등의 문제가 발생하자 지난 2021년 새마을금고법을 개정해 선거관리위원회가 의무 위탁을 받아 전국 새마을금고 이사장을 동시에 선출하게 되었다. 1963년 농촌 주민의 경제적 자립과 생활 개선을 목적으로 설립된 새마을금고는 현재 전국적으로 290여조 자산규모, 1,300여개 금고, 2,300만여 명의 고객을 보유한 지역경제 중심축으로 성장했다. 이러한 규모의 성장과 함께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가 중요시되는 요즘 1,117개 금고 이사장을 동시에 선출하는 이번 선거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치른다면 새마을금고는 지역 주민들의 견고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금융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선거관리위원회의 공정한 선거관리는 물론 후보자와 유권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먼저 후보자는 그동안 선거과정에서 발생했던 선거인에 대한 금품 제공, 살포 등 기부행위를 근절하는 것은 물론 선출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선거공보, 선거벽보, 어깨띠·윗옷·소품, 전화, 정보통신망, 명함. 선거일 소견발표, 공개행사 정책발표를 활용한 선거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법에 허용된 적법한 선거운동 방법으로 공약을 홍보하고 금고의 비전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통해 회원들에게 신뢰를 얻어야 한다. 정책선거를 통해 유권자는 후보자의 역량과 비전을 비교 검토할 수 있으며, 이는 금고 운영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유권자의 참여도 중요하다. 새마을금고는 지역사회의 경제적 발전과 상호 부조를 위해 주민 상호 협력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조직이다. 따라서 금고 운영을 책임질 대표자를 선출하는 과정에 유권자의 참여는 곧 지역 공동체의 가치를 실현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또한 투표 참여와 함께 정책선거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금품, 학연, 지연 같은 외부 요인에 흔들리지 않고 후보자의 공약과 정책을 중심으로 판단하고 선택해야 한다. 후보자의 공약이 현실적이며 실현 가능한지, 또한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단순히 한 명의 대표자를 뽑는 절차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금고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회이기도 하다.'Make Good Life'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역사회의 금융을 선도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노력은 이제 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 과정을 통해 새마을금고가 진정으로 회원과 지역 주민들의 신뢰 받는 기관으로 성장하길 기대해 본다.

/강수정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홍보담당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