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이상향 그린《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이상향 그린《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03-2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이상향은 저마다 생각하는 지고지선의 이상적이고 완전한 상상의 세계다. 추구하는 미래의 모습 또는 방향이다. 더러는 삶이 이상향에 지배받기도 하겠지만, 늘 떠올리거나 염두에 두고 생활하진 않는다. 사는 이유가 이상추구 아닌가? 그를 추구하는 것이 당연한데 말이다. 아마도, 세파에 시달리다 잊거나, 나태하고 게으른 탓이리라.

인생관 가치관도 이상향에 포함되리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꾸고 키워야 한다. 개인 뿐 아니라 시대정신 속에도 이상향이 있다. 함께 꿈꾸고 추구하는 이상이다.

이상향의 범주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실현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실현되면 현실이지 이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어의 이상향은 유토피아다.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의 저서 《국가의 최선 정체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에 등장하는 상상의 섬 이름이다. 그 안에 가장 완벽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그린다. 독재, 화폐, 문의 자물쇠 등이 없다. 집은 모두 같고 10년 마다 이사한다. 시장은 모두 무료다. 동일한 시간 일하고 동일하게 먹는다. 일 한 다음 문화센터에 가서 자신에게 맞는 강좌를 듣는다. 뭔가 어색하고 어설프다. 플라톤이 구상한 아틀란티스, 이백(李栢)의 <산중답속인(山中答俗人)>에 등장하는 별유천지(別有天地) 등도 있다.

뿐인가, 종교에도 저마다 추구하는 이상세계가 있다. 에덴동산, 생명의 정원, 낙원, 천국, 극락, 황금기 인간사회, 신과의 결합, 쾌락의 동산 등을 제시한다.



유선경 저 《문득, 묻다 : 세 번째 이야기》마지막 장에 우리가 살고 싶어 하는 곳으로 제시되었던 사례를 소개해 놓았다. 첫째, 제너두. 원나라 초대황제 쿠빌라이 칸의 여름궁전 '상도'가 서양인에게 지상낙원으로 비춰져 붙여진 이름이다. 원이 명나라에 의해 멸망하면서 사라져, 실재 했으나 볼 수는 없다. 예술작품에만 남아있는 이상향이다.

둘째,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바벨탑. 노아의 후손들이 대홍수에 대비해 탑을 쌓으려 한다. 신이 다시는 대홍수를 내리지 않겠다고 했는데 불신한 것이다. 결국 신의 권위에 도전한 오만함으로 노여움을 샀다. 벌로서 서로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해 끝 까지 쌓지 못한 탑이다. 인간은 세계 곳곳으로 흩어졌다. 바벨탑은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고 말이 통해서 갈등이 없는 곳으로, 모두가 소통이 가능한 이상향의 세계다.

셋째, 이니스프리(자유의 섬). 아일랜드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시인 예이츠가 살고 싶어 한 섬이다. 책에 의하면, '길(Gill)'이란 호수는 길이 8킬로미터, 폭 2킬로미터 크기로 스무 개 가량의 무인도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이니스프리'라 한다. 작은 오두막집에서 농사짓고, 찰랑대는 호수의 물소리 들으며 살고 싶다 한다.

넷째는 무릉도원이다. 중국 동진시대 시인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에 등장한다. 복숭아꽃 피는 아름다운 마을에서 평화롭게, 본분에 따라 열심히 일함으로서 절로 기쁘고 즐거움이 따르는 세상이다. 평범하지만 이루기 힘든 소망이다.

무릉도원이 소재가 된 그림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다. 오늘은 북산(北山) 김수철(金秀哲, 생몰미상, 19세기 중반 활동)의 《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1862년 작, 150.5cm × 45.6cm, 지본 담채, 간송미술관 소장)》를 들춰 보자.

그림
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김수철에 관한 자료는 매우 드물다. 박인석 · 유숙 · 유재소 · 이한철 · 전기 · 조중묵 · 허련 등 중인 화가들과 함께 회화 경연을 벌이고 김정희(金正喜)에게 평을 받은 내용, 전기의 중개로 그림 주문을 받고 매매도 하였다는 정도가 전한다.

대담한 생략과 간결한 필치, 맑고 투명한 채색이 돋보인다. 간략하게 묘사하였지만, 보아야 할 핵심은 다 보여준다. 그만큼 형상과 필선 하나하나에 신중을 기했다는 반증이다. 그림에는 복숭아나무로 보이는 것이 없어 의문이다. 관지에 의하면 송료음생이란 사람이 보산학사를 위하여 김수철의 그림에 제하였다고 되어있어, 시각이 서로 다르지 않았나 미루어 짐작한다. 산수화 자체가 이상향을 그리는 것이기에 의미엔 큰 차이가 없다.

'복숭아나무 심은 곳마다 무릉도원의 봄이거늘(種桃隨處武陵春)

어찌 꼭 구름 속으로 들어가 나루터 묻는가(那必雲中去問津)

그때의 도원(桃源) 속 나그네 만나보니(相見當年源裏客)

본분이 응당 농사에 힘쓰는 사람이로세.(多應本分力田人)'

무릉 뿐 아니라 복숭아나무 있는 곳 어디나 낙원이라 노래한다. 이상 또한 본분에 충실한 것이라 읊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몽골대법원 연수단 17명, 대전과 청주법원에서 전자소송 등 교류
  2.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3. [현장취재]2025 재전부여군민회 대전현충원 보훈둘레길 탐방
  4.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5. [편집국에서]거짓말에 무게가 있을까?
  1. 급식 갈등 대전교육청, 조리원 배치기준 완화로 근본적 문제 해결 나선다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하모니합창단 후원금 2300만원 기탁식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27일 당내 경선에서 압승을 거두며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마지막 순회경선 결과, 이 후보는 최종 89.77%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 투표 없이 과반 승리로 본선 직행이 확정됐다. 이 후보는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등 주요 지역에서 모두 90% 가량의 고른 지지를 받았다. 그의 압승은 본선에서 승리할 후보를 강력히 밀어준 정권교체 열망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경쟁 주자였던 김동연 후보는 6.87%, 김경수 후보는 3.36%에 그쳤다. 이 후보는 초반부터 대세론을 형성했..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대전 도심을 단절해 성장을 저해하는 도로나 철도시설에 대한 입체화를 반드시 관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시는 최근 6월 치러질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대한민국 미래 도약을 선도하기 위해 4대 분야 42개 발전 과제를 발굴했는데 이중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및 지하화, 도심철도구간 입체화 통합개발(대전조차장, 대전역) 등 도심 입체화 사업이 12개 핵심 사업에 들어가 각 후보에게 적극 전달된다.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이장우 대전시장의 민선8기 대표 공약 사업 중 하나다. 호남고속도로는 1970년..

대전 농산물 소매가 전반적 안정세... 배추·대파·당근 등 저렴해졌다
대전 농산물 소매가 전반적 안정세... 배추·대파·당근 등 저렴해졌다

봄철 출하량이 늘고 작황이 양호해지면서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 배추와 당근, 대파 등 집밥 필수품인 채소 등은 최근 한 달 사이 가격이 하락하며 지난해보다 저렴해졌고, 5월부터 본격적으로 출하하는 참외와 수박 시세도 작년보다 가격이 인하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채소류 중 대전 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는 25일 기준 4827원으로, 한 달 전(5599원)보다 13.79% 내렸다. 이달 중순까지만 하더라도 6380원까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며 강세를 보여왔다. 이후 봄배추가 본격적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 자연과 함께하는 차분한 주말 자연과 함께하는 차분한 주말

  •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