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이상향 그린《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이상향 그린《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03-2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이상향은 저마다 생각하는 지고지선의 이상적이고 완전한 상상의 세계다. 추구하는 미래의 모습 또는 방향이다. 더러는 삶이 이상향에 지배받기도 하겠지만, 늘 떠올리거나 염두에 두고 생활하진 않는다. 사는 이유가 이상추구 아닌가? 그를 추구하는 것이 당연한데 말이다. 아마도, 세파에 시달리다 잊거나, 나태하고 게으른 탓이리라.

인생관 가치관도 이상향에 포함되리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꾸고 키워야 한다. 개인 뿐 아니라 시대정신 속에도 이상향이 있다. 함께 꿈꾸고 추구하는 이상이다.



이상향의 범주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실현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실현되면 현실이지 이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어의 이상향은 유토피아다.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의 저서 《국가의 최선 정체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에 등장하는 상상의 섬 이름이다. 그 안에 가장 완벽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그린다. 독재, 화폐, 문의 자물쇠 등이 없다. 집은 모두 같고 10년 마다 이사한다. 시장은 모두 무료다. 동일한 시간 일하고 동일하게 먹는다. 일 한 다음 문화센터에 가서 자신에게 맞는 강좌를 듣는다. 뭔가 어색하고 어설프다. 플라톤이 구상한 아틀란티스, 이백(李栢)의 <산중답속인(山中答俗人)>에 등장하는 별유천지(別有天地) 등도 있다.

뿐인가, 종교에도 저마다 추구하는 이상세계가 있다. 에덴동산, 생명의 정원, 낙원, 천국, 극락, 황금기 인간사회, 신과의 결합, 쾌락의 동산 등을 제시한다.



유선경 저 《문득, 묻다 : 세 번째 이야기》마지막 장에 우리가 살고 싶어 하는 곳으로 제시되었던 사례를 소개해 놓았다. 첫째, 제너두. 원나라 초대황제 쿠빌라이 칸의 여름궁전 '상도'가 서양인에게 지상낙원으로 비춰져 붙여진 이름이다. 원이 명나라에 의해 멸망하면서 사라져, 실재 했으나 볼 수는 없다. 예술작품에만 남아있는 이상향이다.

둘째,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바벨탑. 노아의 후손들이 대홍수에 대비해 탑을 쌓으려 한다. 신이 다시는 대홍수를 내리지 않겠다고 했는데 불신한 것이다. 결국 신의 권위에 도전한 오만함으로 노여움을 샀다. 벌로서 서로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해 끝 까지 쌓지 못한 탑이다. 인간은 세계 곳곳으로 흩어졌다. 바벨탑은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고 말이 통해서 갈등이 없는 곳으로, 모두가 소통이 가능한 이상향의 세계다.

셋째, 이니스프리(자유의 섬). 아일랜드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시인 예이츠가 살고 싶어 한 섬이다. 책에 의하면, '길(Gill)'이란 호수는 길이 8킬로미터, 폭 2킬로미터 크기로 스무 개 가량의 무인도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이니스프리'라 한다. 작은 오두막집에서 농사짓고, 찰랑대는 호수의 물소리 들으며 살고 싶다 한다.

넷째는 무릉도원이다. 중국 동진시대 시인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에 등장한다. 복숭아꽃 피는 아름다운 마을에서 평화롭게, 본분에 따라 열심히 일함으로서 절로 기쁘고 즐거움이 따르는 세상이다. 평범하지만 이루기 힘든 소망이다.

무릉도원이 소재가 된 그림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다. 오늘은 북산(北山) 김수철(金秀哲, 생몰미상, 19세기 중반 활동)의 《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1862년 작, 150.5cm × 45.6cm, 지본 담채, 간송미술관 소장)》를 들춰 보자.

그림
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
김수철에 관한 자료는 매우 드물다. 박인석 · 유숙 · 유재소 · 이한철 · 전기 · 조중묵 · 허련 등 중인 화가들과 함께 회화 경연을 벌이고 김정희(金正喜)에게 평을 받은 내용, 전기의 중개로 그림 주문을 받고 매매도 하였다는 정도가 전한다.

대담한 생략과 간결한 필치, 맑고 투명한 채색이 돋보인다. 간략하게 묘사하였지만, 보아야 할 핵심은 다 보여준다. 그만큼 형상과 필선 하나하나에 신중을 기했다는 반증이다. 그림에는 복숭아나무로 보이는 것이 없어 의문이다. 관지에 의하면 송료음생이란 사람이 보산학사를 위하여 김수철의 그림에 제하였다고 되어있어, 시각이 서로 다르지 않았나 미루어 짐작한다. 산수화 자체가 이상향을 그리는 것이기에 의미엔 큰 차이가 없다.

'복숭아나무 심은 곳마다 무릉도원의 봄이거늘(種桃隨處武陵春)

어찌 꼭 구름 속으로 들어가 나루터 묻는가(那必雲中去問津)

그때의 도원(桃源) 속 나그네 만나보니(相見當年源裏客)

본분이 응당 농사에 힘쓰는 사람이로세.(多應本分力田人)'

무릉 뿐 아니라 복숭아나무 있는 곳 어디나 낙원이라 노래한다. 이상 또한 본분에 충실한 것이라 읊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2.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2.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3.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4.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5. '대덕특구 사이언스센터' 딥테크 혁신성장 허브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역인 충남에서 치사율 100%(급성형)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충남도는 ASF 확산을 막기 위해 도내 양돈농가 등에 상황을 전파하고, 이동 제한 등 긴급 차단 방역에 돌입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총 463두의 돼지를 사육 중인 당진시 송산 돼지농가에서는 지난 17∼18일 2마리가 폐사하고, 23∼24일 4마리가 폐사했다. 농장주는 수의사의 권고를 받아 폐사축에 대한 검사를 도에 의뢰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폐사축에 대한 ASF검사를 진행, 이날 오전8시 양성 판정을 내렸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