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유통]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 두 자릿 수 이상 신규 창업 늘어
서구 시청역6번출구 세 자릿 수 이상 가게 생기며 인기
느리울중, 한우리아파트정류장, 선사유적지 등도 역주행

  • 승인 2025-04-02 16:18
  • 신문게재 2025-04-03 11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스크린샷_1-4-2025_172113_bigdata.sbiz.or.kr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월세가 장벽으로 다가온다. 재차 살아나는 상권에 미리 선점한다면 이 같은 고민을 덜 수 있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척도가 되는 매출액과 현재 상권 등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빅데이터 플랫폼 '소상공인 365'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
▲대전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빅데이터는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을 신탄진역을 '역주행 핫플레이스'로 보고 있다. 역주행 핫플레이스란 창업하는 가게가 많아져 다시 살아나고 있는 상권을 뜻한다. 신규 점포 수만 따지면 매월 두 자릿수 이상 창업하는 가게가 늘고 있다. 2024년 2월과 3월 각각 20곳이 창업한 이후 4월 16곳, 5월 28곳으로 매월 늘고 있다. 그러다 그해 6월 36곳으로 최근 1년간 최고점을 찍은 뒤 7월 24곳, 8월 16곳, 9월 16곳, 10월 20곳, 11월 8곳, 12월 4곳이다. 올해 1월 기준으로는 16곳이 신규로 창업했다. 해당 상권 인기업종으로는 기타 의류 소매업이 109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카페가 43곳, 백반·한정식 40곳, 김밥·만두·분식 37곳, 돼지고기 구이·찜 35곳, 요리주점 34곳, 유아용 의류 소매업 31곳이다. 이어 여성 의류 소매업과 입시·교과학원 각 29곳, 생맥주 전문 24곳 등이 순위로 자리한다. 방문 고객 성별 비율로는 남성이 8351명, 여성이 8198명으로 비율로는 남성 50.46%, 여성 49.54%로 50대 50이다. 연령·성별 월 평균 소비 매출액은 20대 남성이 84만원, 여성 61만원, 30대는 남성 105만원, 여성 71만원, 40대 남성 108만원, 여성 78만원, 50대 남성 103만원, 여성 76만원, 60대 이상 남성 76만원, 여성 69만원 등이다.

서구 시청역 6번출구 상권
서구 시청역 6번출구 상권
▲대전 서구 시청역 6번 출구 상권=빅데이터에서 바라보는 서구 역주행상권 중 서구 시청역 6번 출구는 서구 중에서도 탑 상권 1위로 꼽히고 있다. 여타 상권과는 달리 해당 상권은 세자리 수 신규 창업 업소가 생기기도 하는 등 뜨겁다. 신규 창업은 매월 꾸준하다. 2024년 2월 64곳에서 3월 들어 128곳까지 크게 늘어났다 4월 72곳으로 재차 낮아졌으나 신규 창업 업소가 요소 곳곳에 생긴다는 건 그만큼 지역에서 각광받는 상권으로 불린다는 뜻이다. 2024년 5월 60곳, 6월 72곳, 7월 52곳, 8월 92곳, 9월 68곳이다. 이어 10월 들어 104곳으로 또 다시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11월 72곳, 12월 84곳, 2025년 1월 96곳이다. 해당 상권 인기업종 탑10에는 교육과 관련된 업종 수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입시·교과학원이 260곳으로 가장 많았고, 백반·한정식 169곳, 카페 147곳, 요리주점 121곳, 부동산 중개·대리업 119곳, 일반 유흥 주점 85곳, 돼지고기구이·찜 57곳이다. 편의점과 일식 회·초밥, 김밥·만두·분식 각 44곳 등의 순이다. 방문고객 성별로는 남성이 2만 2108명, 여성 1만 9831명으로 남성 52.71%, 여성 47.29%다. 소비 평균 매출액은 20대 남성 96만원, 여성 70만원, 30대 남성 118만원, 여성 79만원, 40대 남성 127만원, 여성 87만원, 50대 남성 123만원, 여성 89만원, 60대 이상 남성 92만원, 여성 80만원 등이다.

대전 느리울중
서구 느리울중 상권
▲서구 느리울중 상권=이 상권은 인근 아파트 세대수를 반영하듯 백반·한정식 집이 가장 많다. 백반·한정식 업소가 144곳으로 상권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기타 의류 소매업은 120곳, 돼지고기 구이·찜 117곳, 카페 98곳, 김밥·만두·분식 75곳, 요리 주점 68곳, 입시·교과학원 67곳, 치킨 62곳, 빵·도넛 53곳, 화장품 소매업 48곳 등이다. 신규 창업 업소 수도 두 자릿수 이상되며 활발하다. 창업 점포 수 추이를 보면, 2024년 2월 40곳에서 3월 68곳, 4월 72곳, 5월 52곳, 6월 36곳, 7월 44곳, 8월 52곳, 9월 48곳, 10월 32곳으로 꾸준하다. 11월 들어 76곳으로 1년 중 가장 많은 신규 점포 수가 발생한 뒤 12월 52곳, 2025년 40곳으로 가게가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방문 고객 성별로는 남성이 1만 27666명, 여성은 1만 919명으로 남성 53.9%, 여성 46.1%의 비율이다. 성별·연령별 소비 패턴을 봤을 땐 30·40대가 주를 이뤘다. 40대 남성 108만원, 여성 76만원으로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소비를 했으며, 30대는 남성 108만원, 여성 72만원이다. 이어 50대 남성 98만원, 여성 68만원, 20대 남성 87만원, 여성 61만원, 60대 이상 남성 78만원, 여성 61만원 등이다.



한우리아파트정류장1
한우리아파트정류장 상권
▲한우리아파트정류장 인근 상권=해당 상권은 다른 역주행 핫플레이스로 지정된 곳들 보다는 작은 편에 속한다. 그럼에도 신규 창업이 꾸준하게 이뤄지는 곳이기도 하다. 2024년 2월 기준 12곳이 신규 창업했고, 3월 20곳, 4월 12곳, 5월엔 1년 중 가장 많은 28곳이 새로 생겼다. 6월과 7월엔 각 8곳, 8월 16곳, 9월 20곳, 10월 24곳, 11월 8곳, 12월 4곳이다. 2025년 1월 현재 4곳이 새롭게 생기며 수요가 꾸준한 곳이다. 인기 업종으로는 기타 의류 소매업이 84곳으로 업종 중 가장 많았으며 입시·교과학원 48곳, 카페 36곳, 백반·한정식 35곳, 부동산 중개·대리업 28곳, 요리 주점 26곳, 화장품 소매업 25곳, 돼지고기 구이·찜 19곳, 여성 의류 소매업 18곳, 남성 의류 소매업 17곳 등이다. 방문 고객은 여성이 8577명, 남성 8473명으로 여성 50.3%, 남성 49.7%로 비슷했다. 연령대별 소비 평균 매출액은 40대가 주도했다. 40대 남성 134만원, 여성 94만원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지출을 했다. 이어 50대 남성 129만원, 여성 88만원, 30대 남성 120만원, 여성 81만원, 60대 이상 남성 109만원, 여성 87만원, 20대 남성 101만원, 여성 72만원 등이다.

둔산 선사유적지
둔산 선사유적지 상권
▲둔산선사유적지 인근 상권=선사유적지 인근 상권도 새롭게 역주행하는 상권으로 꼽힌다. 신규 창업 수가 꾸준하게 늘어나며 상권을 유지한다. 신규 창업 수를 보면 2024년 2월 20곳, 3월 24곳, 4월 48곳으로 최근 1년 중 가장 많은 창업수를 기록했다. 이어 5월 16곳, 6월 36곳, 7월 20곳, 8월 12곳, 9월 24곳, 10월 12곳, 11월 44곳, 12월과 2025년 1월 각각 32곳으로 지속해서 업소가 늘어나는 걸 볼 수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업종별로는 백반·한정식이 49곳으로 가장 많았고 카페 42곳, 요리 주점 31곳, 화장품 소매업 28곳, 입시·교과학원 27곳, 돼지고기 구이·찜 26곳, 김밥·만두·분식 20곳, 부동산 중개·대리업 19곳, 건강보조식품 소매업과 생맥주 전문이 각각 17곳 등의 순이다. 방문고객 주요 성별 비율로는 남성이 9579명, 여성은 7981명으로 남성 54.55%, 여성 45.45% 비율이다. 성별·연령별 소비 평균 매출액은 4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40대 남성 117만원, 여성 83만원으로 전체 중 1위다. 이어 50대 남성 116만원, 여성 79만원, 30대 남성 102만원, 여성 70만원, 20대 남성 88만원, 여성 65만원, 60대 이상 남성 82만원, 여성 72만원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4. 대전 중구, 국공립어린이집 위·수탁 협약식 개최
  5. 충청권 국립대·부속병원·시도교육청 23일 국정감사
  1.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충남지사, 23일부터 일본 출장
  2.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3. 대전관평초 '학교도서관 운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
  4.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5.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 ‘한국-베트남 글로벌 청년 경진대회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이하 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대전시와 KAIST가 나섰다. 대전시와 KAIST는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차입금 부담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충남대병원의 누적 적자액이 1300억 원이 넘고 재원 환자도 줄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23일 충북대에서 연 충남대·충북대·부속 병원 국정감사에서다. 이날 오전 피감기관 대표로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김원섭 충북대병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문정복(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 의원은 "누적적자가 충남대병원은 1374억 원, 충북대병원은 1173억 원"이라며 "독립 재산제로 운영되는 국립대병원에서 차입금 상환은 어떻게 할 것이냐"며 따져 물었다. 최근 3년간 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