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 서구보건소·유성구 한빛아파트 인근 등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유통]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 서구보건소·유성구 한빛아파트 인근 등

점포 수 다시 늘어나는 역주행핫플레이스 상권 눈길
서구보건소, 한빛아파트 인근, 노은역 3번출구 등
최근 들어 매장 수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며 역주행

  • 승인 2025-06-11 10:29
  • 신문게재 2025-06-12 10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스크린샷_1-4-2025_172113_bigdata.sbiz.or.kr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월세가 장벽으로 다가온다. 재차 살아나는 상권에 미리 선점한다면 이 같은 고민을 덜 수 있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척도가 되는 매출액과 현재 상권 등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빅데이터 플랫폼 '소상공인 365'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서구보건소 상권
서구보건소 상권
▲서구 보건소 인근 상권=빅데이터는 서구 보건소 인근 상권을 '역주행 핫플레이스'로 진단했다. 역주행 핫플레이스란 창업하는 가게가 많아져 다시 살아나고 있는 상권을 뜻한다. 신규 점포 수만 따지면 매월 두 자릿수 이상 창업하는 가게가 늘고 있다. 최근 들어 창업 점포 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2024년 4월 4곳, 5월 8곳, 6월 16곳까지 신규 점포가 확산됐고, 잠시 주춤하다 2024년 11월 4건, 2025년 1월 4건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당 상권 인기 업종으로는 카페가 2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백반·한정식 14곳, 요리 주점 12곳, 핸드폰 소매업 9곳, 치킨, 생맥주 전문이 각 8곳, 돼지고기구이·찜 7곳, 편의점과 컴퓨터·소프트, 무도 유흥주점 각 6곳 등으로 집계됐다. 방문 고객 성별 비율로는 남성이 5128명으로, 여성(3123명)보다 많았다. 비율로 놓고 보면 남성 62.15%, 여성 37.85%다. 해당 상권은 단골고객보다 신규 고객이 더 많았다. 신규 고객은 14만 4191명인데 반해 단골 고객은 1만 2223명이다. 여기서 단골 고객이란 월 3회 이상 방문한 사람을 뜻한다. 연령·성별 월 평균 소비 매출액은 20대 남성 106만원, 여성 82만원, 30대 남성 129만원, 여성 88만원, 40대 남성 144만원, 여성 119만원, 50대 남성 141만원, 여성 114만원, 60대 이상 남성 111만원, 여성 94만원 등이다.

한빛아파트정류장상권
한빛아파트 정류장 상권
▲유성구 한빛아파트 정류장 인근 상권=해당 상권은 인근 아파트와 대학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으로 손꼽힌다. 그만큼 매장에 방문할 수 있는 고객이 많다는 뜻이다. 때문에 신규 점포 수가 두 자릿수 이상을 기록하며 성장세가 가파른 모양새다. 2024년 3월과 4월 각 36곳, 5월 40곳, 6월 44곳, 7월 40곳, 8월 24곳, 9월·10월 각 20곳, 11월 32곳, 12월 40곳으로 지속적으로 매장 수가 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2024년 1월 8곳, 2·3월 각 32곳 등으로 꾸준한 확장성을 보인다. 인기 업종을 살펴보면 백반·한정식이 120곳으로 전체 중 최다 업종을 차지했다. 이어 카페 108곳, 요리 주점 95곳, 돼지고기구이·찜 59곳, 치킨 45곳, 경양식 29곳, 중국집 26곳, 김밥·만두·분식과 생맥주 전문 각 23곳, 일식 회·초밥이 19곳 등으로 나타났다. 방문 고객은 남성이 53.56%로, 여성(45.44%)보다 높았다. 고객별로는 신규 고객이 88.77%로 단골 고객(11.23%)보다 높다. 연령·성별 월 평균 소비 매출은 20대 남성이 87만원, 여성 63만원, 30대 남성 114만원, 여성 84만원, 40대 남성 123만원, 여성 87만원, 50대 남성 118만원, 여성 84만원, 60대 이상 남성 81만원, 여성 75만원 등이다.

노은역3번 출구 상권
노은역3번 출구 상권
▲노은역 3번출구 인근 상권=노은역 상권도 최근 들어 다시 뜨는 핫플레이스로 각광받고 있다. 신규 창업 점포 수가 두 자릿 수 이상을 기록한다. 점포별로 살펴보면 2024년 3월 44곳, 4월 48곳, 5월 60곳, 6월 20곳, 7월 60곳, 8월 48곳, 9월 32곳, 10월 40곳으로 유지하다 11월 84곳으로 가장 큰 확장세를 보였다. 이어 12월과 2025년 1월 각 32곳, 2월 68곳, 3월 12곳 등이다. 인기 업종으로는 카페가 96곳으로 가장 많이 포진해있다. 이어 백반·한정식 82곳, 입시·교과학원 79곳, 김밥·만두·분식 63곳, 치킨 48곳, 돼지고기구이·찜 43곳, 기타 의류 소매업 42곳, 여성 의류 소매업 40곳, 화장품 소매업 36곳, 요리주점 35곳 등이다. 방문 성별 비율로는 남성이 53.37%로 여성(46.63%)보다 높았다. 신규 고객은 84.76%였고, 3회 이상 방문한 단골 고객은 15.24%였다. 매출 비중으로는 40대가 나머지 연령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40대 남성 113만원, 여성 78만원이었다. 이어 50대 남성 106만원, 여성 73만원, 30대 남성 102만원, 여성 68만원, 60대 이상 남성 79만원, 여성 68만원, 20대 남성 79만원, 여성 61만원 등이다.



대전동화중학교 인근 상권
대전동화중학교 인근 상권
▲유성구 동화중 인근 상권=현대프리미엄아울렛 인근 상권으로도 분류되는 해당 상권도 역주행상권으로 분류되고 있다. 신규 창업 수를 보면 두 자릿 수 이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뜨고 있다. 2024년 3월 40곳, 4월 28곳, 5월 48곳, 6월 28곳으로 증가하다 7월 들어 최근 1년 새 가장 많은 점포 수인 52곳이 새롭게 들어섰다. 이어 8월 36곳, 9월 32곳, 10월과 11월 각 12곳, 12월과 2025년 1월 각 24곳, 2월 20곳, 3월 16곳 등으로 꾸준하게 매장 수가 신규로 들어서고 있다. 인기 업종 순으로는 저녁 회식으로 선택받는 고기와 주점 등이 많았다. 돼지고기구이·찜이 101곳으로 전체 중 가장 많은 매장 수를 차지했다. 이어 백반·한정식 88곳, 요리 주점 76곳, 카페 68곳, 입시·교과학원 43곳, 김밥·만두·분식 42곳, 생맥주 전문 31곳, 국·탕·찌개류와 치킨, 일반 유흥 주점이 각 28곳 등으로 조사됐다. 방문 고객 비율로는 남성이 61.89%로 여성(38.11%)보다 월등히 많았다. 신규 고객은 83.71%였고, 단골 고객은 16.29%다. 매출은 30·40·50대가 주로 차지했다. 40대 남성이 113만원, 여성 81만원으로 전체 중 높은 매출 매출을 기록했다. 이어 50대 남성 112만원, 여성 80만원, 30대 남성 105만원, 여성 73만원, 60대 이상 남성 96만원, 여성 71만원, 20대 남성 84만원, 여성 65만원 순이다.

구죽우체국 상권
구즉우체국 상권
▲구즉우체국 일대 상권=이 일대 상권도 신규 매장 수가 증가하는 모양새를 보인다. 2024년 3월 20곳, 4월 16곳, 5월 24곳, 6월 16곳, 7월 24곳, 8월 4곳으로 소강상태를 보이다 9월 들어 최근 1년 중 가장 많은 28곳이 확장됐다. 이어 10월 8곳, 11월과 12월 각 12곳, 2025년 1월 24곳, 2월 12곳, 3월 8곳 등으로 매월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 인기 업종으로는 백반·한정식이 58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치킨 47곳, 김밥·만두·분식과 요리주점이 각 33곳, 돼지고기구이·찜 31곳, 여성의류 소매업 26곳, 기타의류 소매업 22곳, 카페 21곳, 핸드폰 소매업 20곳, 피자 18곳 순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59.44%로 여성(40.56%)보다 많았다. 신규 고객은 77.78%, 단골 고객은 22.22%로 여느 역주행 상권보다 단골 고객이 많다는 특성이 있다. 매출은 40대가 가장 많았다. 40대 남성 104만원, 여성 69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50대 남성 95만원, 여성 69만원, 30대 남성 94만원, 여성 62만원, 20대 남성 72만원, 여성 56만원, 60대 이상 남성 66만원, 여성 57만원 등이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장맛비에 대전·세종·충남에 비 피해신고 132건…오후까지 호우 주의
  2. 충남창경센터, '4시즌 데모데이 인 충남 x 나비' 개최
  3. 한기대, 세계적 로봇공학자 김주형 교수 초청 특강
  4. 고용노동부 천안지청, 산업단지 대상 '찾아가는 산업안전보건 설명회' 개최
  5. '행복한 교실'로 가는 쉼표의 시간..교직원 '다스림 명상' 연수 눈길
  1. 중진공대전본부-한남대 '대전 전략산업 창업 생태계 조성' 맞손
  2. 천안검찰, 택시기사 숨지게 한 10대 무면허 운전자 구속기소
  3. 천안시, 자립준비청년 독립 응원 '세상으로 첫걸음, 첫 집들이'
  4. 충청권에 최대 200㎜ 물폭탄에 비 피해신고만 200여 건 (종합)
  5. 대전시장과 국회의원 만남... 현안 해결 한뜻 모을까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논란 행정수도특별법 연내처리로 결자해지 해야

해수부 논란 행정수도특별법 연내처리로 결자해지 해야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이전 추진으로 충청권에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행정수도특별법 연내 처리로 결자해지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해수부 논란으로 의구심이 불거진 정부 여당의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을 스스로 입증하고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 행정수도 법적 지위를 확고히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세종을)은 20일 세종시당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세종시에 국회의사당과 대통령실을 완전 이전하는 내용을 담은 (가칭)행정수도특별법 발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법안은 진성준 국정기획위원회와 당 지도부 등 논의를 거쳐 이르면 이..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행정수도'의 미래를 놓고 의미 없는 '남 탓·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을 놓고서다. 국힘은 과거 박근혜 전 정부 당시 이 카드를 먼저 꺼냈으나 성사시키지 못한 바 있고,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 들어 다시 이 의제를 꺼내 들었다. 문제는 현재 논의가 단순히 해수부 이전에만 매몰되면서,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대의에 다가서지 못하는 데 있다. 한쪽에선 '지역 이기주의', 또 다른 쪽에선 '내년 지방선거용 전략'이란 프레임을 씌우며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 민주당 세종시당이 6월 20일..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건설경기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불경기를 맞으면서 건설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충청권에서는 건설 투자가 줄고 폐업이 늘어나면서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일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표한 '지역별 건설산업 및 건설근로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내 1일 이상 근로 내역이 있는 건설근로자는 64만 711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18.3% 줄어든 수치다. 충청권에서도 감소세가 꾸준했다. 대전의 경우 1만 6524명으로 1년 새 13.5% 줄었으며, 충남은 19.5% 줄어든 4만 5436명으로 집계됐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