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아주 보통의 하루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아주 보통의 하루

고영실 예산 삽교중 교사

  • 승인 2025-04-17 16:43
  • 신문게재 2025-04-18 18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20250417_예산 삽교중 교사 고영실
고영실 예산 삽교중 교사
'우와~ 어떤 부지런쟁이 선생님이 벌써 달력을 정리해 놓으셨네? 오늘부턴 4월인 거야? 이렇게 추운데 벌써 4월이라니. 수행평가 도서는 도착을 안 했네? 어쩐지 오늘 수업 도서실로 오라는 말을 미리 하고 싶지 않더라니. 오후에는 가져다 주시겠지? 오늘 수업은 1, 2, 3학년이네? 그럼 1학년 수업 가면서 오늘 2, 3학년도 교실 수업이라고 안내해야겠다. 아차차! 1학년 주제 선택 수업자료 출력해야지.'

방학이라 수업이 없는 것이 다행이다 싶을 정도로 정신없는 2월, 3월을 보내고 맞이한 4월도 첫날부터 정신이 없다. 하지만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오늘은, 만우절이니까. 작년에는 아이들이 반을 바꿔서 들어와 앉아 있기도 했었던 터다. 올해는 학년마다 한 학급뿐이라 반이 섞일 일은 없겠지만 그래도 만우절은 만우절 아닌가.

하지만 아이들에게 미안할 만큼이나 아주 고요하게 1학년 수업이 끝났다. 하긴, 국어 선생님에게나 '슬기롭게 고사성어(故事成語)'지 아이들에게도 고사성어 이야기가 슬기로울 리가 있나. 주제 선택 주제가 이게 뭐냐고 짜증내지 않고 한자 쓰기, 단어 뜻 쓰기 학습을 따라와 주는 것만 해도 고마운 일이다. 게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꾀가 생긴 선생님은 학습지에서 아이들이 채워 넣어야 할 부분을 교묘하게 늘려가고 있지 않은가. 양면 가득 학습지를 채우느라 힘이 드는 듯 팔을 두드려 대면서도 아이들은 불평 한마디 던지지 않는다. "얘들아, 내년에는 주제 선택 다른 걸로 바꿀까?" 물어볼까 잠시 망설였지만 지금 만들고 있는 자료를 이번 한 번만 쓰고 말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에 말을 꾹 참는다. '얘들아, 미안. 하지만 선생님도 자료 만드느라 힘들단다.'

2교시 수업 시간. 당당하게 교실 문을 열고 들어간다.



"얘들아, 안녕? 오늘 수행평가 아닌 것 알지?", "어, 저희 국어 수업 아닌데요?", "(요 녀석들, 만우절이라고 장난치는구나! 누가 속을 줄 알고?) 왜~애? 난 시간표 안 바꿨는데?", "원래 국어 수업 3교신데요?", "정말? 쌤이 시간표 잘못 봤나?", "우하하~"

휴대전화 배경 화면으로 설정해 둔 시간표를 확인한다. 역시나, 나를 믿어서는 안 되는 거였다. 1, 2, 3학년은 어제 시간표다. 오늘은 1, 3, 2학년. 하지만 당황한 티를 낼 수는 없지.

"그러네? 국어가 3교시네? 근데 지금 국어 시간 맞아. 수업 바뀌었어.", "정말요?", "뻥이야!"

아무렇지 않은 척은 했지만 교실을 나오는 뒤통수가 간지럽다. 아, 이놈의 정신머리. 아니, 눈이 문제인가?

3교시. 이번엔 진짜 2학년 수업이다. 복도를 걸어오는 머리만 보여도 냅다 "안녕하세요!" 인사하는 아이들이다. 귀여운 녀석들이라고 생각하며 교실을 들어서는 데 뭔가 분위기가 이상하다. 앞을 보고 앉은 아이, 뒤돌아 앉은 아이, 사과머리를 묶은 남학생들까지. "어제는 AI 버전으로 책을 읽더니 오늘은 사과머리야? 너무 귀여운 것 아니야?" "엥? 귀여워요?" "진수 좀 보세요~, 진수는 어디가 앞이게~요?" "에이, 돌아앉아 있는 거라고 생각하기엔 얼굴에 머리카락이 너무 많잖아?" 그러면서도 아이들은 "선생님, 수업해요!" 한다. "그럼, 수업해야지. 근데 그러고 수업할 거야?" "만우절이잖아요~. 아까 '뻥이야'에 대한 소심한 복수죠. 저희도 당하고만 있을 수는 없잖아요?" "하하. 근데 얘들아, 어쩌면 우리 1학기 1권 읽기 책 바꿔야 할지도 모르겠어. 아까 서점에서 전화왔는데, 일시품절이라 주문을 할 수가 없대. 인터넷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는 할 건데, 안되면 바꿔야 할 것 같아." "아… 아쉽다. 근데 사장님도 만우절 장난치시는 것 아니예요?" "쌤도 그랬으면 좋겠다."

임용 후 다섯 번째 학교에서 맞이하는 네 번째 만우절이다. 앞으로 몇 번의 만우절을 아이들과 보내게 될지는 자신할 수 없지만, 앞으로의 만우절에는 올해의 만우절 이야기가 생각이 날 것 같다. 그리고 소망해 본다. 앞으로의 하루하루도, 오늘처럼 이렇게 특별한 일 없이, 잔잔하게 웃을 수 있는 날들이 이어지기를. 모두에게 그런 날들이기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괴정동서 20대 남성 전 연인 살해 후 도주
  2. [사설] 광역교통사업도 수도권 쏠림인가
  3. 과기계 숙원 'PBS' 드디어 폐지 수순… 연구자들 "족쇄 풀어줘 좋아"
  4. 이재명 정부 첫 '시·도지사 간담회'...이전 정부와 다를까
  5. 의대생 복귀 방침에, 지역 의대도 2학기 학사운영 일정 준비
  1.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2. '전교생 16명' 세종 연동중, 5-2생활권으로 옮긴다
  3. 농식품부 '인공지능 융합 미래 식·의약 첨단바이오 포럼' 개최
  4. [대입+] 정원 감소한 의대 수시, 대응 전략은?
  5. [춘하추동]폭염과 열대야,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헤드라인 뉴스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지역균형발전은 대한민국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선 과정에서부터 강조한 5극(5개 초광역권) 3특(3개 특별자치도) 등 국가균형발전 국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공정한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모든 문제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양극화를 완화해 나가겠다"며 갈수록 심각해 지는 수도권 1극체제 극복을 위한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사건으로 교제폭력 특별법 부재, 반의사불벌죄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사건 한 달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의 폭행에도 처벌을 원치 않았고 경찰의 안전조치 권유도 거절했으나, 그 기저에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피해자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를 처벌하고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하지만 관련 법 제정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 서구 괴정동의 주택가에서 A(20대)씨가 전 연인 B(30대·여성)씨를 살해한 혐의로 경찰에..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상가 공실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종시가 상가 허용 업종을 대폭 확대하고, 관광숙박시설 입점 조건을 완화한다.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상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족쇄'를 일부 풀겠다는 전략인데, 전국 최고 수준인 상가공실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도일보 7월 5일 온라인 보도> 세종시는 행복도시 해제지역의 상가공실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을 고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상가의 허용업종 확대, 일반상업지역 내 관광숙박시설 입지 허용(총 8필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