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국가균형발전' 구상...세종시 희생양 삼나

  • 정치/행정
  • 세종

이재명 대통령의 '국가균형발전' 구상...세종시 희생양 삼나

문재인 전 정부의 '탈청와대' 움직임으로 시작된 '청와대 국민 품'으로 무색
도로 청와대 유턴, 21년 '사회적 합의' 키워드만 반복..세종 집무실 희망고문
여가부·법무부 등의 이전 언급 없이 '해수부 부산 이전 카드' 강행

  • 승인 2025-06-08 08:58
  • 수정 2025-06-08 18:19
  • 신문게재 2025-06-09 1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508_111513336_09
문재인 전 정부의 '탈청와대' 시도에서 시작된 '청와대 국민 품으로' 캐치프레이즈는 개방 3년 만에 또 다시 역행의 길에 들어서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국가균형발전 구상이 '수도권 과밀 해소'는 외면한 채, '세종시=행정수도' 완성에 역행하는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은 도로 청와대 유턴으로 '수도권 중심의 권력 구도'를 다시 고착화하고 있고, 서울~세종~부산을 오가며 업무 비효율을 심화할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카드마저 결국 꺼내 들었다.

2004년 신행정수도 위헌 판결 후 21년의 세월을 흘려보낸 '행정수도 이전' 대의는 여전히 기나긴 사회적 합의란 문구로 희망고문을 시작했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입법·사법·행정의 이원화 구도를 개선해도 모자랄 판인데, 해수부 기능만 쏙 빼내려는 시도 자체가 수도권 과밀 해소와 거리감을 갖게 한다.

2013년 박근혜 전 정부 당시 논란 끝에 잔류한 중앙행정기관을 또 다시 흔들어 '무슨 득을 보려는 것인지' 저의도 의심케 한다. 일각에선 대선 과정에서 확인한 부산지역 패배(김문수 51.4% vs 이재명 40.1%)를 만회하려는 전략이란 해석을 내놓고 있다. 다가오는 2026년 지방선거와 2028년 총선을 겨냥한 포석에서다.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시민사회의 한 관계자는 "전국 3위의 지지율(55.6%)을 기록한 세종시는 잡아놓은 물고기로 생각하는 것 같다"라며 "문재인 전 정부 당시에도 위기 때마다 세종시를 희생양으로 삼았다. '같은 면적 대비 5배 이상 비싼 수도권과 동일한 잣대로 투기지역 지정' '2021년 수도권 투기 논란의 희석 수단으로 활용' 등이 대표적"이라고 성토했다.

이 같은 비판 여론은 세종시를 넘어 충청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해양수산부 노조의 내부 조사에서도 86% 이상의 직원들이 이전에 반대하는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현재의 흐름이 숙의 민주주의 절차를 생략한 채 진행되고 있어 비판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취지와도 동떨어진 행보로 다가온다.

대통령 집무실은 2022년 6월 해당 법 16조의 2(대통령과 그 소속기관의 집무실 설치)란 조항 신설로 이미 법률적 뒷받침을 받고 있다. '대통령과 그 소속기관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행정중심복합도시에 집무실을 설치할 수 있다'로 명시된 만큼, 보다 속도감 있고 전향적인 '세종 시대'를 열 수 있으나 또 다시 제자리 걸음이다.

제16조(중앙행정기관 등의 이전계획)에 따라 수도권에 잔류한 중앙행정기관 중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감사원 등은 그대로 놔둔 채, 해수부 이전만 서두르려는 움직임도 조급해 보인다. 5항에 적시된 '행정안전부장관은 이전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공청회를 열어 국민 및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듣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등의 숙의 민주주의 절차도 생략되는 모습이다.

과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의 세종시 이전도 공청회 절차 등을 거치며 진통 끝에 현재의 골격을 갖췄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박근혜 전 정부의 '밀실 청와대 정치' 폐해를 목도하면서, '청와대 국민 품으로' 캐치프레이즈가 역사의 대세로 흘러왔으나 3년 천하로 막을 내리게 됐다"라며 "대통령 집무실과 달리 해수부 이전은 왜 사회적 합의를 강조하지 않는가. 민주당 지역 인사들은 왜 침묵하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박현경골프아카데미]성심당 튀소 깔고 쳤는데 홀인원! 골프장 주인 프로도 처음이라 당황
  2. 대전신용보증재단, 대덕지점 개점식 개최
  3. 천안의료원, 사별가족모임 개최
  4. 경찰 내부 자료인데…대전 교제살인 피의자 신상정보 온라인 유포
  5. 세종시, 8월부터 청년 근로자에 교통비 쏜다
  1. "중단 진료 재개"…총파업 건양대병원·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사 합의
  2. 천안시, 집중호우 피해 하천 신속 복구 총력전
  3. 또 교제폭력… 전 연인 폭행하고 달아난 20대, 세종서 붙잡혀
  4. 한기대 박지섭 교수 연구팀, 자율주행차 윤리 딜레마 해결 핵심요인 발견
  5. 한화이글스, 독서 캠페인 '함께 읽는 여름의 한 권' 진행

헤드라인 뉴스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와 국립공주대가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해 '대학본부 차원의 실무 간담회'와 '직원 인사 방침에 대한 공식 합의'를 연이어 진행했다. 양 대학은 8월 1일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 컨벤션홀에서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한 대학본부 구성원 간담회'를 열고 본지정 실행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부서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교무처·학생처·기획처·연구처를 비롯해 국제교류본부·대학원·대외협력본부 등 양 대학 본부 소속의 처장과 부처장, 팀장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초광역 대학 통합, 초연결..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