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탁식은 지난 19일 영동군청 상황실에서 열렸으며, 영동금요회 소속 기관·단체장 41명이 뜻을 모아 마련한 성금이 전달됐다. 이번 후원은 회의 시작 전 자발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금요회 측은 "엑스포는 지역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행사인 만큼, 작은 정성이지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영동=이영복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59분전
예산군의회, 극한호우 대응을 위해 제314회 임시회 조기 폐회59분전
예산군, 문화와 관광으로 머무는 도시 만든다!59분전
AI와 함께하는 상상체험버스 여행!59분전
농관원, 농업경영체 정보 정확도 제고에 팔걷어7시간전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등용과 정리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사람들
기획연재
추천기사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