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사업 수행지역이 시도 단위에서 권역으로 확장되면 지역대학들의 시도 간 협업이 가능해지지만, 공동과제 부담이나 경쟁이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초 광역화 개편 시점에 대한 우려가 크다. 기존에 각 시도가 사업 수행 과제를 정하고 대학들이 이에 맞추는 경직된 구조가 이어진다면 권역 단위에서도 공동과제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1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내달 발표되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에 라이즈 사업 재구조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교육부는 17개 시도 라이즈 센터와 각 지자체 사업 담당자들을 만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 개편 방향을 두고 초 광역화에 따른 권역별 대학 간 공동과제 수행,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연계한 지역 거점 국립대와 일반 국립대·사립대 간 네트워킹 구축, 시도 라이즈 센터 독립·법인화 등의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대학가도 초 광역화 계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학 입장에선 '기회이자 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대학 재정 지원 주요 사업들이 교육부에서 시도 지자체로 이관되면서 올해 3월부터 라이즈 사업이 시작됐다.
초광역으로 가면, 시도를 넘나드는 산학연 협업이 가능할 것이란 긍정적 반응이 나온다. 사업 첫해인 올해는 시도별로 지역 발전, 특화 산업과의 연계, 청년 취업·지역 정주를 목표로 과업과 수행 과제를 정해 지역대학 예산 배분이 이뤄졌다. 이렇다 보니 대학들은 같은 권역이라도 예산을 지원받은 시도 밖을 벗어난 사업 수행이 어려웠다. 산학연 협력이 골자지만, 지역 특화 산업과 거리가 먼 계열 혹은 전공은 소외될 수 있고 기업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들의 애로점도 있다.
대전의 A 대학 라이즈 사업 단장은 "이전 주요 국책 사업이던 링크(LINC)의 경우 전국 대학 간 사업 공조·협업이 가능해 지역 대학들이 타지 대학과의 파트너십이나 협력 관계가 구축돼 있었는데 단절된 점이 라이즈 사업의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라며 "선박·해양 등 우리 지역 특화 산업에 맞지 않는 전공 계열은 라이즈 사업에 참여하기 어려웠는데, 수행 지역 범위가 권역으로 확대되면 참여 기회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려도 존재한다. 권역으로 넓히면 그만큼 경쟁도 치열해지기 때문이다. 교육부, 지자체의 평가에 따라 대학별로 받는 라이즈 사업비가 제각각이라 산업체·연구기관과의 협업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걱정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대전의 B 대학 라이즈 사업 단장은 "지금도 연구기관 협력 과제 수행을 위해 정부 출연연에 협업을 제안할 때 제시한 사업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추진 가능 여부가 판가름 되는 상황"이라며 "우리 지역에서 배분받은 국비나 대학이 받는 사업비·여유 자금이 충남·북보다 적다면 충청권역으로 범위를 넓혔을 때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사업 개편 시점을 두고도 말들이 많다. 라이즈 2차연도 사업이 내년 3월부터 시작되지만,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에는 각 시도 사정에 따라 권역별 공동과제 추진도 어려울 수 있다는 예상에서다. 대전의 C 대학 라이즈 사업 단장은 "초광역 개편은 내년도에 하는 것보단 3차연도쯤 하는 것이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지역 안에서 공동과제 참여대학을 구성하는 것도 애로사항이 많았는데, 권역에서도 대학에 자율성을 주지 않고 지금처럼 지자체가 알아서 단위별 수행과제를 모두 정하고 시작한다면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라고 우려했다.
한편 교육부는 17일 5극3특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 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국회토론회를 열고 권역별 거점국립대 중심의 협력체계와 라이즈 연계 지역대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제안된 의견을 검토해 12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바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