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올 시즌 한화이글스는 새 구장인 '대전한화생명볼파크'로 이전하며, 홈경기마다 티켓이 매진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지난 시즌을 8위로 마감했던 한화는 올해 베테랑 선수들이 팀의 중심을 잡고, 외국인 선수와 신인 선수들이 맹활약을 펼치며 정규시즌 2위라는 놀라운 성적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기자는 한국에 온 뒤 남편의 영향으로 한화 팬이 되었다. 정규시즌은 물론 플레이오프도 직접 관람하고 싶었지만, 티켓 경쟁이 치열해 번번이 예매에 실패했다. 대신 가족과 함께 TV 앞에 모여 한마음으로 응원하며 경기를 즐겼다.
한화는 플레이오프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마침내 19년 만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이 역사적인 쾌거에 한화 팬들은 물론, 많은 야구팬이 열광했다. 기자 역시 남편과 함께 티켓 예매에 도전했지만 끝내 실패했다. 그러나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서울에서 열린 한국시리즈 1·2차전을 대전한화생명볼파크 전광판을 통해 가족과 함께 관람했다.
집에서 TV로 보는 것과 달리, 실제 야구장 스크린으로 경기를 지켜보는 현장의 열기는 남달랐다. 관중의 함성, 음악, 응원가가 어우러진 그 분위기 속에서 마치 선수들이 눈앞에서 뛰는 듯한 생생함을 느낄 수 있었다. 비록 우승은 놓쳤지만, 한화이글스는 준우승이라는 값진 성과로 시즌을 마감했다.
기자는 일본에서도 야구를 즐겨 봤지만, 한국과 일본의 응원 문화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일본의 경우 외야석이 응원의 중심이 되는데, 한국은 내야에도 응원석이 마련돼 치어리더와 응원단장이 이끄는 응원가와 춤으로 경기 내내 열기가 이어진다.
또한 한국은 선수마다 개성 있는 응원가가 준비되어 있으며, 독특하고 귀에 남는 멜로디가 많다. 여기에 유니폼이나 응원 도구, 기념품 등 구단 굿즈의 디자인 수준도 높아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다. 각 구단이 캐릭터와 협업해 제작한 상품은 젊은 세대와 신규 팬층의 관심을 끌고 있다.
반면 일본은 전통적인 응원 스타일이 확립되어 있어 응원 방식이 비교적 통일되어 있고, 경기 자체의 관전과 응원단의 조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응원 자체가 또 하나의 문화로 발전했으며, 관람객이 함께 참여해 열정을 표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한국의 응원 문화는 열정적이고 표현력이 풍부한 국민성, 가족과 동료를 아끼는 정(情), 그리고 함께 즐기는 공동체 의식이 어우러져 형성된 독특한 문화로 평가된다. 세계적으로도 드문 형태의 응원 문화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꼭 한 번 경험하기를 추천한다.
다가오는 시즌에도 한화이글스의 활약과 함께, 한국 특유의 뜨거운 응원 문화를 다시 즐길 날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시바타노조미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황미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