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금강휴양림 폐원 D-5...미래 활용계획은 전무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금강휴양림 폐원 D-5...미래 활용계획은 전무

충남도와 산림자원연구소, 당초 입장과 달리 모든 수목·시설물 그대로 존치키로
산책로 등 일부 개방에 동의...세종시, 재정여건상 임시 활용안 마련 난색
지역구 시의원·국회의원 무관심, 사실상 방치 수순...시민단체, 국가지원 촉구

  • 승인 2025-06-25 10:29
  • 수정 2025-06-25 18:56
  • 신문게재 2025-06-26 4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304_144200264_01
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 입구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이 7월 1일 완전 폐원 수순을 밟지만, 30여년 간 공들여온 수목과 산림, 임도, 시설 등의 인프라 활용 계획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는 산림자원연구소와 협의 결과 30년 이상된 소나무와 각종 수목, 모든 시설물을 그대로 남겨둔다. 당초 즉시 철거나 이전 식재 등도 고려했으나 예산 지출이 커 방향을 바꿨다. 인수 대상자에게 이의 가치를 합산한 금액으로 매각하겠다는 구상이다.

세종시 입장에선 매각 전 임시 활용안을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가 생긴 셈이다. 충남 청양으로 이전을 서두르고 있는 충남도 역시 일부 개방에 대해선 긍정적 의견을 표명한 상태다.

하지만 재정난에 발목이 잡혀 있는 세종시는 7월 이후 활용 계획 추진에 대해 엄두를 못 내고 있다. 대선 기간 지역 정치권의 관심에서도 멀어져 있다. 지역구 시의원부터 국회의원 등 어느 누구도 미래 활용안에 대한 관심이나 대안 마련을 하지 않는 모습이다.



예컨대 시민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메타세콰이어 숲길 맨발 산책로(500m) ▲잔디광장 및 캠핑장, 카라반, 캐빈하우스 ▲펜션 ▲순환 산책로 및 청벽에 이르는 등산로만이라도 임시 개방하는 안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현재 고려 지점은 아니다.

KakaoTalk_20240504_212958654_01
메타세콰이어 숲길 맨발 산책로.
시의 한 관계자는 "임시 개방을 할 경우, 시설물 관리 및 인건비 투입이 불가피하다. 재정여건상 쉽지 않다"는 입장을 내보였다.

충남도 산림자원연구소는 청양 이전을 앞두고 오는 6월 29일까지 금강수목원과 금강자연휴양림을 무료 개방하고 있다. 이 기간 시민들은 다양한 의견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된다. 막상 7월 1일부터 이 곳에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더더욱 임시 개방 요구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세종시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휴양림 없는 도시'가 된다. 매년 20만 명 이상의 효자 관광지(TOP3) 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시가 검토(2021년 타당성 용역) 중인 전동면 '동림산 자연휴양림' 조성 시기 자체도 요원하다.

김기호 도 산림자원연구소장은 "그동안 수목원을 찾아주신 많은 분께 감사드린다"라며 "청양에서 새로운 시작을 맞는 연구소 또한 도민과 함께하는 열린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시민사회는 장기 방치를 넘어 난개발 등의 민간 매각 우려를 지속 제기하고 있다. 더 이상 중부권 최대 규모 수목원이자 휴양림이란 공공성과 가치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판단에서다, 현재는 1개 민간 업체가 인수부터 사업 구상안을 도 및 세종시와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세종환경운동연합과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세종YMCA, (사)세종여성, 세종교육희망네트워크, 장남들보전시민모임, 416세종시민모임, 세종통일을만드는사람들, 세종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최근 민간매각 반대와 공공 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부터 국가지원과 매입을 촉구하는 대국민 서명운동(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onGoingAll/3273C8706F225CC0E064B49691C6967B)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세종시가 시민 공익에 밀접한 사안임에도 공론화 과정 없이 졸속 행정과 충남도의 민간 매각과 민간 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금강수목원의 보전·운영을 채택하고 지역 국회의원 시의원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라"라고 촉구했다.

한편, 1994년 충남도 산하의 충남산림자원연구소로 문을 연 뒤, 2012년 세종시 출범과 함께 '소유권은 충남도, 행정권은 세종시'란 특수 상황을 맞이했다. 이후 여러 논의를 거쳐 시설 일체가 2027년 전·후 시점까지 청양군으로 옮겨간다.

금강자연휴양림(184만㎡)은 13동 18실과 38면의 야영장을 갖춘 시설로, ▲수목원(61만 5000㎡) : 산림유전자원 2383종 보존 ▲산림박물관(3173㎡) : 5개 전시실에 1869건, 3541점 전시 ▲동물마을(7065㎡) : 8종 186마리 ▲야생화원(1만 1000ha) : 196종 ▲열대온실(1685㎡) ▲홍교 등 연못(4310㎡) ▲창연정(118㎡) ▲동물마을(7076㎡) : 4동 5개소, 8종 186마리 ▲맨발 걷기장(편도 400m)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밀양시 홍보대사, 활동 저조 논란
  2. 대전에서 날아오른 한화 이글스…19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
  3. 7-1로 PO 주도권 챙긴 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할까
  4. 충남도-나라현, 교류·협력 강화한다… 공동선언
  5. [2025 국감] IITP 매점 특혜? 과기연전 노조 "최수진 의원 허위사실, 규탄"
  1. [2025 국감] "출연연 이직 대책 마련 시급… 연봉보단 정년 문제"
  2. 대전사랑메세나, 대신증권 박귀현 이사와 함께한 '주식 기초 세미나' 및 기부 나눔
  3. 배움의 즐거움, 꽃길 위에서 피어나다
  4. '내 생의 최고의 선물, 특별한 하루'
  5. 유성장복, 잠실 ‘월드웹툰페스티벌’ 통한 1:1 잡매칭 모색

헤드라인 뉴스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5단독은 폭력 등으로 현행범 체포되자 경찰관을 폭행하고 인치된 후 대소변을 던져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중국 국적 A(46)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2025년 8월 25일 동남구 신부동에서 112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에게 "때려도 돼요?"라고 말하며 발등을 밟고 복부를 수회 가격하는 등 정당한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그는 현행범으로 체포돼 동남경찰서 형사과 인치실에서 소란을 피우던 중 경찰관을 향해 신발을 던지거나 소파 위에서 대변을 본 뒤..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천안동남경찰서(서장 송해영)는 최근 성착취 목적 대화죄 미수범 처벌규정 신설에 따라 아동·청소년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 달 간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경찰관이 아동으로 위장해 피의자에게 접근·대화 시 '아동 성착취 결과' 발생 가능성이 없어 처벌하지 못했으나 이번 개정으로 미수범 처벌이 가능해 현장에서 위장 수사를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아울러 온라인상 행위에 제한되었던 처벌 범위가 오프라인으로 확대돼 직접 만나 성착취 목적으로 대화하는 오..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5단독은 억대의 '짝퉁 명품'을 판매해 상표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A(39)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B(42)씨에게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들은 2023년 위조상품 판매사이트를 개설해 아미(AMI) 등 위조상품 총 933개를 판매하면서 1억1754만원(정품가액 합계 32억170만원) 상당을 판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류봉근 부장판사는 "판시 범행은 정당한 상표권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시장경제질서를 교란하는 범죄로 그 죄책이 가볍지 않다"며 "피고인이 상표권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