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부패 취약 분야에 대한 감시 강화와 예산 집행 투명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40명의 청렴시민감사관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이들은 감사부서에 사건·사고, 집단행동 등 지역 동향을 제보하고, 시민 불편·불만 사항, 공직자 부조리와 비위 및 부당한 행정처리에 관한 사항 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감사 수행과정에서 현장에 참여하거나 자문을 하는 기능이 결여된 것 아니냐는 비난을 사고 있다.
또 공공감사법에 의거해 운영되는 이 정책은 회계·보건·환경·건설 등 전문지식이나 실무경험 등이 요구되지만, 상당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여론이다.
규정상 전문분야 협회와 시민단체에서 추천할 수 있지만, 시는 경력과 상관없이 읍·면·동장의 추천에 의해 선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 8월 위촉되는 제6기 구성은 연임 29명, 신규 11명이 모두 읍면동장 추천으로만 이뤄졌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제5기의 경우 지난 2년간 감사 참여는 15회에 그쳤으며 제보나 건의 46건, 부설주차장 개방사업 점검 6건 등이 전부다.
따라서 이번 위촉을 시작으로 청렴시민감사관이 실제 감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규정에 맞게 전문성을 지닌 위원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유영채 천안시의원은 "이전에 직접 청렴시민감사관에 참여해봤는데, 업무에 비해 수당이 너무 과한 면이 있다"며 "정책 취지를 살리고, 수당에 맞게 업무를 부여하려면 이들이 직접 감사에 참여하게끔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청렴시민감사관이 보다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구상해보겠다"고 설명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