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① 수도권 중심 철길… 이제는 지역 거점 중심으로
② 충청권 메가시티 마중물… 광역 철도 조성 속도 내야
③ 철도는 충청 수부도시 대전 중심으로 풀자
④ 멈춰선 '세종역'은 필요한가
⑤ 철도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자
![]() |
2월 국토부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으로 선정된 대전 조차장 철도 지하화사업 구상도. 사진제공은 국토교통부 |
1978년 대덕구 읍내동에 조성된 조차장은 중리동과 대화동 일대에 걸쳐져 있는데, 과거 여객열차와 화물열차를 분류 중계하던 시절 철도 도시 대전의 상징으로 꼽혀왔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기능이 축소됐다. 특히 도심을 동·서로 가르면서 대덕구 발전을 가로막는 애물단지로 취급받아왔다.
이런 상황에서 조차장역 철도 지하화 사업이 정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돼 추진됐다. 철도지하화는 지역 개발의 큰 축을 담당하는 역점 사업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 경기 안양·대전·부산 등 일부 노선을 철도지하화개발의 선도사업으로 선정한 가운데 이재명 정부에서도 종합계획 수립을 마무리 짓고 대상 사업지를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 조차장 철도 지하화 사업은 현재 국토부에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준비 중이다.
대전은 대전조차장을 외곽으로 옮기고 이 구간 경부선 선로 2.4㎞를 지하화한다. 이에 따라 37.8만㎡의 업무 복합 용지가 개발된다. 사업 규모는 1조4000억 원이다. 이 부지에 청년창업지구, 빅테크, 미디어 등 IT 관련 특구지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철도 지하화 사업을 통해 침체 됐던 건설 경기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고 있다.
반면, 대전역 개발은 조차장 사업과 함께 신청했지만, 정부 지하화 사업에 담지 못했다. 대전시는 올 연말 예정된 국토교통부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담겠다는 목표로 추진 중이다. 대전역 철도입체화 통합개발 사업은 동구 정동 일원 11만 5235㎡ 부지에 철도시설 입체화(데크 설치), 역전시장 정비·개발, 부지 조성 등을 토대로 도심 공간을 재구조화하는 게 골자다. 추산 총사업비는 6418억 원이다. 철도로 단절된 도심 공간을 재구조화해 금융행정비즈니스 플랫폼과 광역·연계교통 거점지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대전역 일원은 현재 도심융합특구와 혁신도시, 역세권재정비촉진계획 등 각종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이들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클 전망이다.
대전선 폐선 활용도 필요하다 여론이 크다. 대전선은 1912년 부설됐으나 철도의 직선화·고속화로 수요 및 활용성이 떨어지면서 운행이 중단됐다. 폐선 후 해당 구간을 숲길로 조성하고 주변 상권을 활성화해 '서울 경의선숲길'처럼 만들자는 의견이다.
철도공공기관 유치 전략도 필요하다. 대전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국가철도공단이라는 우리나라 대표 철도 공공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혁신도시 시즌2로 수도권 공기업이 이전 할 경우 철도 관련 기관 유치의 최적지로 꼽힐 수 있다. 이를 통해 철도산업의 메카로 거듭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역 정가 한 인사는 "도시 확장 등 공간 구조 변화로 철도가 도심을 단절하는 애물단지로 보이지만, 지하화 등을 통해 교통 편리성과 지역 연결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도 있다"면서 "다만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인 만큼, 경제성과 균형발전 측면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끝>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