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농어촌공사가 현지시각 지난 9일 캄보디아 몬둘끼리 지역에서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산지채소연구소 개소식을 열고 있다./한국농어촌공사 제공 |
준공식에는 옹 코살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차관, 김원집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서기관, 농림축산식품부 유영숙 주무관, 김우상 한국농어촌공사 기반사업이사 등 양국 관계자 1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산지채소연구소 시설을 소개에 이어, 연구소를 캄보디아 측에 공식적으로 인계하는 서명식 순으로 진행됐다.
농식품부와 공사는 2010년부터'쌀산업 일관 체계 구축사업'을 시작으로 캄보디아의 식량 주권 확립과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10개의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을 진행해 온 바 있다. 이번 '산지 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은 캄보디아의 자체적인 농업 경영을 위한 이정표가 됐다.
캄보디아는 채소 생산량이 국내 수요에 미치지 못해 상당량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자국 내 채소 생산량 확대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작물생산 농업 분야 발전 마스터플랜 2030'을 수립하는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같은 캄보디아 농정 방향에 맞춰 농식품부와 공사는 2021년 10월부터 2025년 8월까지 총 57억 2천만 원을 투입하여 산지 채소연구소 설립·운영 사업을 추진했다. 연구소는 씨감자 조직 배양실, 저온 창고, 수경 재배 온실, 육묘 하우스로 구성됐다. 여기에 각종 실험기기와 농기계 등을 함께 지원해 연구소가 본격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물적 기반을 갖췄다.
또한 채소 가치사슬 전반을 높이기 위해 병해충 관리, 채소 재배 기술, 유통 등 10개 분야 전문가를 캄보디아 현지로 파견해 기술을 전수하는 등 인적 기반도 함께 구축했다.
농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연구소 준공에서 한발 더 나아가 운영 내실화를 위한 중장기 운영계획도 수립했다. 한국의 유사 사례를 바탕으로 캄보디아 산지채소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연간 예산안을 마련했다.
특히 연구소의 자립성과 지속가능성 확보에 주목해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할 핵심 사업들도 체계적으로 계획했다. 생산-판매 체계를 구축하고, 몬둘끼리 지역 선도 농가들과 연계한 상생 협력 모델을 만들었다. 이런 운영 모델을 바탕으로 캄보디아는 다른 지역에도 채소 생산 연구소 확산을 계획 중이다.
농식품부 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 김신재 과장은 "이번 맞춤형 국제농업 협력사업은 감자와 채소 생산을 넘어 캄보디아 농업 생태계의 구조적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며, "캄보디아 당국과 지속적 협력을 통해 식량 주권 확립과 농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한국농어촌공사 김우상 기반사업이사는 "산지채소연구소가 캄보디아 농업 다변화 정책의 대표적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현재 캄보디아에서 추진 중인 '농업 비즈니스 및 농촌공동체 개발센터 지원사업', '식량안보 정보시스템 3단계 협력사업' 등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나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