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요리는 전통적으로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조리법이 특징입니다. 볶음, 튀김, 기름에 절이는 방식이 많고, 조리 중 고온의 기름을 활용해 재료의 풍미를 극대화합니다. 그 결과 음식이 진하고 강한 맛을 내며, 입안에서 느껴지는 기름의 풍부함이 중요한 미각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식문화는 식사 중 물을 거의 마시지 않는 중국인의 습관과도 연결됩니다. 기름진 음식을 먹은 후 곧바로 찬물을 마시면 소화에 부담이 된다는 인식이 강하며, 대신 따뜻한 차를 곁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국의 오랜 차 문화는 단순한 기호를 넘어 기름기 많은 음식의 균형을 맞추는 기능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반면 한국의 식문화는 상대적으로 기름 사용이 적고 조리 방식이 담백합니다. 찌기, 삶기, 굽기 등의 방식이 주를 이루며,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데 집중합니다. 특히 밥, 국, 나물, 반찬으로 구성된 한상차림은 저지방·저당 식단으로 건강식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물과 함께 식사를 하는 한국인의 습관은 자연스럽게 식사 중 수분 섭취를 유도하며, 이는 기름이 많은 음식과는 다른 식사 리듬을 형성합니다.
기름 사용의 차이는 식사 후의 신체 반응, 음료 선택, 식사 환경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중국인이 뜨거운 차를 즐기는 반면, 한국은 식사 후 커피를 즐기는 문화가 발달해 있어 식후 음료 선택에서도 차이가 두드러집니다.
이처럼 중국과 한국의 식문화는 조리 방식과 기름 사용량에 따라 식습관과 건강 인식, 심지어 식사 중 행동까지도 달라집니다. 두 나라 모두 자신들만의 철학과 역사 속에서 독특한 음식 문화를 발전시켜 왔으며, 서로 다른 매력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송치팡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