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사진=김정식 기자> |
그러나 기대했던 시너지 효과는 크지 않았고, 오히려 일부 지역에서는 상권 침체와 행정 한계가 드러나면서 분리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마산 오동동과 반월동 통술거리는 대표적 사례다.
오동동 상권은 통합 이후 인허가 기능이 창원으로 이관되고 상남동으로 중심지가 이동하면서 점포 절반 이상이 공실로 남았다.
반월동 통술거리 역시 활기를 잃고 소멸 위기를 맞았다.
셔터가 내려진 거리가 밤이면 어둠 속에 잠기고, 불빛 대신 적막이 자리를 채운다.
행정 시스템의 한계도 지적된다.
통합창원시는 인구 100만을 넘는 특례시지만, 여전히 옛 창원시 50만 규모의 행정 틀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로 인해 마산과 진해는 물론, 창원 중심지인 성산구조차 쇠락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시의회는 통합 이후 여러 차례 분리안을 상정해 통과시킨 전례가 있다.
마산·진해 지역 의원들은 지역 예산과 상권 침체 문제를 이유로 분리안을 발의했고, 시의회는 이를 가결했으나 국회와 중앙정부 단계에서 진전은 없었다.
전문가들은 통합 시너지를 살리지 못한 현 체계가 지속된다면, 행정 효율과 지역 발전을 위해 분리 논의가 불가피하다고 본다.
다만 분리 추진에는 행정비용과 재정 자립도 문제 등 실질적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된다.
통합은 더 큰 도시의 미래를 약속했지만, 그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사이 골목은 텅 비고 거리는 생기를 잃었다.
이제 남은 질문은 단순히 '함께 갈 것인가, 나눌 것인가'가 아니다.
이 도시가 어떤 방식으로 다시 숨을 불어넣을지, 어떤 길 위에서 살아남을지에 대한 선택의 시간에 들어섰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