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7년 11월 대전시장직 상실과 피선거권이 박탈된 권선택 전 시장이 2025년 6월 3일 대선을 앞둔 5월 30일 중구 태평동 신평초에서 사전투표를 한 후 투표함에 넣고 있다. |
논쟁의 핵심은 더불어민주당 복당 여부다. 권 전 시장은 소속 정당이 없다. 2017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아 피선거권 등 자격이 정지되면서 자동으로 당적을 잃었다. 7년 가까이 야인(野人)으로 지내다가 2024년 8월 15일 광복절 특별 사면복권을 받았다. 말 그대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회복했다.
하지만 사면복권 전후 과정에서 보인 행보는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사면복권이 된 때가 전임 정부 시절인 데다, 국민의힘 인사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물론 사면복권은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지속적으로 요청했었다. 특히 대전 국회의원이던 박병석 국회의장과 박범계 법무부 장관 재임 당시인 2020년에는 기대가 한껏 부풀었었다. 하지만 물거품이 되면서 상실감에 빠졌고, 민주당에 대한 측근 그룹의 원망은 더 커졌다. 권 전 시장은 “구원의 손길을 요청했는데, 외면당하고 무시당해 내상을 많이 입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3년 후인 2023년 국힘 정부가 출범했고, 3개월 후에 지방정부까지 장악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민주당의 사면복권 거부를 계기로 국힘에 합류한 권 전 시장의 측근 그룹이 권 전 시장의 사면복권 요구에 나서면서다.
오랜 칩거와 민주당의 무관심에 지친 권 전 시장도 측근 그룹의 요구에 흔들렸다. 당시 그는 "피선거권 박탈로 6년간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 두 번 등 모두 여섯 번의 선거에서 한 번도 투표하지 못했다. 처참했다"고 했을 정도다. 급기야 최근 복당을 놓고 가장 논란이 되는 “사면복권에 도움을 주는 곳이 있다면 정당을 가리지 않고 신의를 지키겠다”는 발언까지 했다.
![]() |
2025년 5월 16일 민주당 중앙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은 염홍철 전 대전시장과 정부혁신제도개선위원장에 임명된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꽃다발을 받은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박정현 국회의원, 염홍철 전 대전시장, 권선택 전 대전시장, 허태정 전 대전시장. |
중앙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인 염홍철 전 대전시장, 대전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인 허태정 전 대전시장과 함께 합류하면서 새 정부 출범에 기여했다. 중앙선대위 당직에 임명됐음에도 일부의 반발로 복당하지 못해 무거운 마음으로 선거운동에 나섰지만, 공로를 인정받아 당 대표 1급 포상까지 받았다.
권 전 시장이 복당에 대한 기대감이 컸던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8월 민주당 대전시당은 당내 이견을 이유로 복당을 보류했고, 중앙당도 일단 대전시당의 의견을 존중해 보류한 상태다.
권 전 시장 측 인사는 “과거 일부 행보에 대한 비판은 인정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대선 당시 당직을 맡아 정부 출범에 기여했고 포상까지 받은 것도 사실”이라며 “그런데 지금 와서 복당조차 허용하지 않는 건 너무 과한 처사”라고 했다.
반면 A 국회의원은 “복당은 말이 안 된다. 윤석열 정부 당시 사면복권 혜택을 받았고, 국힘 인사들이 사면복권을 위해 노력했다. 그 사람들의 도움을 받고도 복당을 바라는 건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음 주 예정된 민주당 대전시당 당원자격심사위원회를 앞두고 논쟁의 핵심은 복당 허용 후 권 전 시장의 행보다.
중앙당 고위 관계자는 “여러 사항과 상황을 고려했을 때 당연히 복당은 허용하는 게 맞다”면서도 “다만, 내년 지방선거 등 공직 선거에 출마하려는 의지나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인다면 심각한 당내 분란을 초래할 수 있어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